$\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묵재일기(默齋日記)』 속 상한(傷寒) 및 『상한론(傷寒論)』에 대한 인식 연구
A Study of the Concept of Cold Damage and The Shanghanlun (Treatise on Cold Damage) as They Appear in The Diary of Muk-Jae 원문보기

한국의사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history, v.32 no.1, 2019년, pp.77 - 86  

조성환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 ,  김동율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iary of Muk-Jae is a historical record that describes many social aspects of the Joseon period in the 16th century. It records many scenes of its author, Lee Mun-Geon, treating patients. This paper uses The Diary of Muk-Jae to examine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the concept of cold damage and ...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38) 이뿐만이 아니라 1555년 7월 5일부터 있었던 吉兒의 한열왕래증상과 이하선염의 증상을 학질로 진단하였는데 4일 후인 7월 9일39)에 서병이 같이 오자 이문건은 인삼백호탕을 달여서 서병을 고치고자 하였다. 일기에 인삼백호탕 뒤에 ‘欲與吉兒治暑’라는 글귀를 통 해서 이문건이 인삼백호탕을 사용한 의도가 서병을 다스리기 위함임을 알 수 있다.
  • 김성수는 󰡔묵재 일기󰡕에 존재하는 여러 치료행위들을 위주로 해서 16세기 조선 지방지역에서 이루어진 의료행태에 대해서 연구하였고7), 신동원은 󰡔묵재일기󰡕 뿐만 아니라 이규보, 이황, 정약용등의 치료사례들을 통해서 조선 전기부터 후기에 이르기까지 시대적으로 나타난 인간적인 고뇌와 의약생활의 사회 구조적인 측면 등을 상세하게 저술하였다.8) 본 연구는 이를 바탕으로 묵재일기 속에 존재하는 傷寒 혹은 󰡔傷寒論󰡕과 관련된 기사들을 분석하여 󰡔묵재일기󰡕에서 보이는 傷寒 과 󰡔상한론󰡕에 대한 관점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16세기 조선의 傷寒 및 󰡔상한론󰡕에 대한 관점을 유추하는 단초를 마련해보고자 한다.
  • 게다가 이문건은 ‘傷寒發熱’이라는 단어를 통해서 증상의 위급함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 1) 그러나 150여년이 지나 간행된 󰡔東醫寶鑑󰡕은 이와 달리 寒門 하나만이 약 1권 분량으로 존재하며, 風暑濕燥火 의 연속선상에 배치되어 있다. 본고는 이러한 변화의 바탕에 이 두 시기 사이에 傷寒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있지 않을까 하는 의문에서 시작하였으며, 두 시기 사이에 있었던 󰡔默齋日記󰡕의 傷寒기록에서 그 단초를 볼 수 있지 않을까 추측하여 진행한 연구이다
  • 본고는 󰡔묵재일기󰡕를 통해 15C 의서인 󰡔의방유취󰡕와 17C 저서인 󰡔동의보감󰡕사이의 傷寒 및 󰡔상한론󰡕에 대한 인식 변화를 유추해보고자 하였다. 시기적으로 이 두 의서의 사이에 쓰인 󰡔묵재일기󰡕에서 나타나는 傷寒에 대한 여러 기록들은 󰡔의방유취󰡕에서 󰡔동의보감󰡕으로 상한에 대한 인식들이 변화하는 과정들을 추정케 하였다.

가설 설정

  • ’고 하였다.32) 이렇게 소시호탕을 사용하는 󰡔상한론󰡕의 모습들은 󰡔묵재일기󰡕에서 소시호탕을 사용한 상황들과 일치하는 부분이 존재한다. 󰡔묵재일기󰡕에서 소시호탕을 사용한 경우들을 모두 모아본 결과, 󰡔상한론󰡕의 시호증으로 인식하고 있는 증상을 환자가 호소하고 있었음을 볼 수 있다(표 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문건은 누구였는가? ����묵재일기����는 당시 조선 사회, 생활상에 대한 세세한 묘사가 존재하여 다양한 방면으로 역사학적 연구들이 진행되어왔다.3) ����묵재일기����의 저자인 이문건은 1494 성주 출신의 양반으로 당시 조선에서 승지의 벼슬에 오를 때까지 중앙정부를 거쳐간 많은 사람들과 교류하였기에 이문건의 입지는 정치적으로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4)
����묵재일기����의 특징은 무엇인가? ����묵재일기����는 1535년 11월부터 1567년 2월까지 默齋 李文楗이 쓴 일기로 이문건의 귀양살이2)와 분실로 인해서 30여권이 온전히 전해지지 않고 중간부분이 누락되어서 현 재로써는 총 17년 8개월분(10권 분량)만이 남아있다. ����묵재일기����는 당시 조선 사회, 생활상에 대한 세세한 묘사가 존재하여 다양한 방면으로 역사학적 연구들이 진행되어왔다.3) ����묵재일기����의 저자인 이문건은 1494 성주 출신의 양반으로 당시 조선에서 승지의 벼슬에 오를 때까지 중앙정부를 거쳐간 많은 사람들과 교류하였기에 이문건의 입지는 정치적으로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묵재 이문건의 저서 내용은? 다만 묵재 이문건이 자신의 어머니가 가지고 있었던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서 의학적인 지식을 습득했다는 기록이 존재한다.5) 그리고 ����묵재일기����이문건이 수집을 통해서 보유하고 있는 의서가 상당한 수에 이른다는 것으로 보아 의학에 대한 이문 건의 관심은 높았다는 것은 알 수 있다.6) 이문건은 자신의 의학지식을 활용해서 자기 자신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을 치료한 경위를 자세하게 자신의 일기에 기록하였고, 일부 기록에서는 환자의 증상을 매일매일 확인하고 처방을 내려 醫案과 유사한 느낌을 주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江克明, 包明蕙. ?明方??典. 上海:上海科?技?出版社. 1989. 

  2. 顧武軍, 張民慶 主編. 김동희, 김성우, 김성훈, 김정범, 맹웅재, 문준전 외 共編譯. 現代傷寒論. 서울:한의문화사. 2008. 

  3. 신동원. 환자를 중심으로 본 의료 2000년 조선의약생활사. 서울:들녘. 2016. 

  4. 嚴世芸 엮음. 김달호, 김중한, 김훈, 이상협, 이해웅 옮김. 中醫基礎理論系列叢書 國譯 中醫學術史. 서울:대성의학사. 2011. 

  5. 劉渡舟. 정창현, 김혜일 역. 劉渡舟 傷寒論 講義. 서울:물고기숲. 2014. 

  6. 陳大舜, 曾勇, 黃政德 엮음. 맹웅재, 박현국, 박경남, 김남일, 신영일, 김용진 외 옮김. 各家學說 中國篇. 서울:대성의학사. 2004. 

  7. 김경숙. 조선시대 유배형의 집행과 그 사례. 역사연구. 1998;55(56):369-394. 

  8. 김성수. 16世紀 鄕村醫療實態와 士族의 對應 : 默齊日記에 나타난 李文楗의 사례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1. 

  9. 김성수. 16세기 중반 지방 사족의 의료활동 - 경상북도 성주의 이문건 사례 -. 한국한의학연구원 논문집. 2007;13(2):15-25. 

  10. 김성수. 묵재일기(默齋日記)가 말하는 조선인의 질병과 치료. 역사연구. 2013;(24):35-53. 

  11. 민정희. 16世紀 星州地域 兩班家의 巫俗信仰 硏究 : 默齋日記를 中心으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9. 

  12. 변정욱. 醫方類聚 傷寒門의 구성 체계와 내용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8. 

  13. 신규수. 朝鮮時代 流配刑罰의 性格. 한국문화연구. 2012;23;137-169. 

  14. 심범상. 傷寒論에서 發熱의 病理에 관한 文獻硏究.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15. 오준호. 양감상한(兩感傷寒)을 통해 본 조선 후기 의가들의 상한 인식. 한국의사학회지. 2012;21(1):1-23. 

  16. 殷鍾元. 傷寒論이 後世醫學에 미친 影響에 對한 硏究. 경희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4. 

  17. 이경록. 조선전기 의방유취의 성취와 한계: 상한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과학사학회지. 2012;34(3):461-493. 

  18. 李尙原, 車雄碩, 金南一. 東醫寶鑑의 傷寒에 대한 認識 : 六經形證用藥을 中心으로. 한국의사학회지. 2003;16(2):71-104. 

  19. 이상원. 東醫寶鑑의 傷寒에 대한 認識. 경희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4. 

  20. 이혜정. 16세기 노비의 삶과 의식세계 : 묵재일기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2. 

  21. 張星德. 默齋 李文楗의 流配時期 交遊樣相. 경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8. 

  22. 丁海鎭. 傷寒總病論에 대한 硏究. 대전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0. 

  23. 이문건(1494-1567). "묵재일기"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데이터베이스 (2019.04.20.)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