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피 약물전달을 위한 HA-PLGA 나노입자가 저장된 젤라틴 나노섬유 복합체 개발
HA-PLGA Nanoparticle-Incorporated Gelatin Nanofibers for Transdermal Drug Delivery

한국섬유공학회지 = Textile science and engineering, v.56 no.3, 2019년, pp.155 - 161  

이소윤 (부산대학교 유기소재시스템공학과) ,  정우엽 (부산대학교 유기소재시스템공학과) ,  이진홍 (부산대학교 유기소재시스템공학과) ,  김한성 (부산대학교 유기소재시스템공학과) ,  김기수 (부산대학교 유기소재시스템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recent years, transdermal drug delivery system (TDDS) has emerged as an alternative to needle injection. TDDS offers various benefits including being noninvasive and encouraging patient compliance; however, the skin barrier, stratum corneum, prevents sufficient penetration of drugs through the sk...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HA-PLGA 나노입자가 저장된 GE 나노섬유(GE/HA-PLGA) 복합체를 개발하여, 약물을 변성시키지 않으면서 지속적인 약물 방출이 가능한 경피 약물전달시스템에 응용하고자 하였다. 먼저 모델 약물로 형광염료인 Rhodamine-B를 저장한 HA-PLGA 나노입자(HAPLGA/Rho-B)를 W/O/W 에멀젼 방식으로 제작하고, 전기 방사하여 만든 GE 나노섬유에 뿌려 저장한 다음 in vitro방출 거동 조사와 조직학적 분석을 통해 피부에 대한 투과성 및 약물 전달 효율에 대해 연구하였다(Figure 1).
  • 본 연구에서는 피부 장벽 손상없이 피부를 통해 약물을 전달하기 위하여, 히알루론산(HA)-폴리(락타이드-co-글라이콜라이드) (PLGA) 접합체를 포함하는 경피 약물전달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HA는 세포외기질에 존재하는 천연고분자로 생체적합성이 우수하며 피부 투과성을 가지기 때문에 이전 연구를 통해, HA를 이용한 경피 약물전달 시스템개발에 사용하였다[9−1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젤라틴(GE)의 장점은 무엇인가? 젤라틴(GE)은 콜라젠이 가수분해된 형태로 생체적합성과 생분해성이 우수하고 굉장히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어 약물전달시스템이나 조직공학 등의 다양한 생체의학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16−18]. 젤라틴을 전기방사하여 만든 나노섬유는 높은 비표면적과 다공성의 3차원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비교적 많은 약물을 저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세포외기질과 유사하기 때문에 세포의 분화 및 성장을 촉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19].
PLGA는 무엇인가? HA는 세포외기질에 존재하는 천연고분자로 생체적합성이 우수하며 피부 투과성을 가지기 때문에 이전 연구를 통해, HA를 이용한 경피 약물전달 시스템개발에 사용하였다[9−11]. PLGA는 생체적합성과 생분해성을 가지는 소수성 고분자로서 다양한 약물전달 시스템에서 연구[12]되고 있으며, HA-PLGA로 구성된 나노입자도 다양한 약물을 저장할 수 있는 약물전달체로 사용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13−15]. 그러나 나노입자만을 도포할 경우 원하는 위치에 고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해 젤라틴 나노섬유를 함께 사용하였다.
최근 젤라틴을 전기방사하여 만든 나노섬유를 의학에 적용하고자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젤라틴을 전기방사하여 만든 나노섬유는 높은 비표면적과 다공성의 3차원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비교적 많은 약물을 저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세포외기질과 유사하기 때문에 세포의 분화 및 성장을 촉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19]. 하지만 물에 대한 안정성이 매우 낮아 가교된 나노섬유를 이용하여 다양한 의학에 적용하려는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20,2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M. R. Prausnitz and R. Langer, "Transdermal Drug Delivery", Nat. Biotechnol., 2008, 26, 1261-1268. 

  2. A. Z. Alkilani, M. T. C. McMrudden, and R. F. Donnelly, “Transdermal Drug Delivery: Innovative Pharmaceutical Developments Based on Disruption of the Barrier Properties of the Stratum Corneum”, Pharmaceutics, 2015, 7, 438-470. 

  3. S. Bjorklund, J. Engblom, K. Thuresson, and E. Sparr, "A Water Gradient Can be Used to Regulate Drug Transport Across Skin", J. Controlled Release., 2010, 143, 191-200. 

  4. B. C. Palmer and L. A. DeLouise, “Nanoparticle-Enabled Transdermal Drug Delivery Systems for Enhanced Dose Control and Tissue Targeting”, Molecules, 2016, 21, 1719. 

  5. H. Marwah, T. Garg, A. K. Goyal, and G. Rath, “Permeation Enhancer Strategies in Transdermal Drug Delivery”, Drug Deliv., 2016, 23, 564-578. 

  6. K. Ita, "Recent Progress in Transdermal Sonophoresis", Pharm. Dev. Technol., 2017, 22, 458-466. 

  7. K. Ita, "Transdermal Iontophoretic Drug Delivery: Advances and Challenges", J. Drug. Target., 2016, 24, 386-391. 

  8. M. R. Prausnitz, "Microneedles for Transdermal Drug Delivery", Adv. Drug Deliv., 2004, 56, 581-587. 

  9. G. Huang and H. Huang, “Application of Hyaluronic Acid as Carriers in Drug Delivery”, Drug Deliv., 2018, 25, 766-772. 

  10. K. S. Kim, H. Kim, Y. Park, W. H. Kong, S. W. Lee, S. J. J. Kwok, S. K. Hahn, and S. H. Yun, "Noninvasive Transdermal Vaccination Using Hyaluronan Nanocarriers and Laser Adjuvant", Adv. Funct. Mater., 2016, 26, 2512-2522. 

  11. J. H. Lee, H. S. Jeong, D. H. Lee, S. Beack, T. Kim, G.-H. Lee, W. C. Park, C. Kim, K. S. Kim, and S. K. Hahn, "Targeted Hyaluronate-Hollow Gold Nanosphere Conjugate for AntiObesity Photothermal Lipolysis", ACS Biomater. Sci. Eng., 2017, 3, 3646-3653. 

  12. D. N. Kapoor, A. Bhatia, R. Kaur, R. Sharma, G. Kaur, and S. Dhawan, "PLGA: a Unique Polymer for Drug Delivery", Ther. Deliv., 2015, 6, 41-58. 

  13. H. Lee, C. H. Ahn, and T. G. Park, "Poly[lactic-co-(glycolic acid)]-Grafted Hyaluronic Acid Copolymer Micelle Nanoparticles for Target-Specific Delivery of Doxorubicin", Macromol. Biosci., 2009, 9, 336-342. 

  14. B. B. S. Cerqueira, A. Lasham, A. N. Shelling, and R. Al- Kassas, "Development of Biodegradable PLGA Nanoparticles Surface Engineered with Hyaluronic Acid for Targeted Delivery of Paclitaxel to Triple Negative Breast Cancer Cells", Mater. Sci. Eng., C, 2017, 76, 593-600. 

  15. A. K. Yadav, A. Agarwal, G. Rai, P. Mishra, S. Jain, A. K. Mishra, H. Agrawal, and G. P. Agrawal,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Hyaluronic Acid Decorated PLGA Nanoparticles for Delivery of 5-fluorouracil", Drug Deliv., 2010, 17, 561-572. 

  16. N. Sahoo, R. K. Sahoo, N. Biswas, A. Guha, and K. Kuotsu, "Recent Advancement of Gelatin Nanoparticles in Drug and Vaccine Delivery", Int. J. Biol. Macromol., 2015, 81, 317-331. 

  17. J. B. Rose, S. Pacelli, A. J. E. Haj, H. S. Dua, A. Hopkinson, L. J. White, and F. R. A. J. Rose, “Gelatin-Based Materials in Ocular Tissue Engineering”, Materials, 2014, 7, 3106-3135. 

  18. B. E. Hosseinzadeh, M. Pedram, A. H. Zarmi, S. S. Kordestani, M. Rasti, Z. B. M. Hosseini, and M. M. Derikvand, "In vivo Evaluation of Gelatin/Hyaluronic Acid Nanofiber as Burnwound Healing and Its Comparison with ChitoHeal Gel", Fiber. Polym., 2016, 17, 820-826. 

  19. J. Li, A. He, J. Zheng, and C. C. Han, “Gelatin and Gelatin-Hyaluronic Acid Nanofibrous Membranes Produced by Electrospinning of Their Aqueous Solutions”, Biomacromolecules, 2006, 7, 2243-2247. 

  20. Y. Z. Zhang, J. Venugopal, Z.-M. Huang, C. T. Lim, and S. Ramakrishna, “Crosslinking of the Electrospun Gelatin Nanofibers”, Polymer, 2006, 47, 2911-2917. 

  21. J. H. Ko, H. Y. Yin, J. An, and D. J. Chung, "Characterization of Cross-linked Gelatin Nanofibers through Electrospinning", Macromol. Res., 2010, 18, 137-143. 

  22. I. Takeuchi, Y. Hida, and K. Makino, "Minoxidil-encapsulated Poly(L-lactide-co-glycolide) Nanoparticles with Hair Follicle Delivery Properties Prepared Using W/O/W Solvent Evaporation and Sonication", Biomed. Mater. Eng., 2018, 29, 217-228. 

  23. K. J. Reddy and K. T. Karunakaran,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Hyaluronic Acid Produced by Streptococcus zooepidemicus Strain 3523-7", J. BioSci. Biotech., 2013, 2, 173-179. 

  24. R. Singh, P. Kesharwani, N. K. Mehra, S. Singh, S. Banerjee, and N. K. Jain,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Folate Anchored Saquinavir Entrapped PLGA Nanoparticles for Anti-tumor Activity", Drug. Dev. Ind. Pharm., 2015, 41, 1888-1901. 

  25. Q. Xing, K. Yates, C. Vogt, Z. Qian, M. C. Frost, and F. Zhao, “Increasing Mechanical Strength of Gelatin Hydrogels by Divalent Metal Ion Removal”, Nature, 2014, 4, 4706.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