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연대류 불안정 흐름에 의해 투과량을 증가시킨 전량여과 막모듈의 설계
Design of Dead-end Membrane Module with Increased Permeate Flux by Natural Convection Instability Flow 원문보기

멤브레인 = Membrane Journal, v.29 no.3, 2019년, pp.147 - 154  

김기준 (충북대학교 공과대학 공업화학과) ,  염경호 (충북대학교 공과대학 공업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BSA 단백질 용액의 전량 막여과에서 상용(commercial) 막모듈의 경사각 변화에 따라 발생된 자연대류 불안정 흐름(NCIF)의 투과 플럭스 증가 효과를 측정한 결과, 막모듈의 경사각이 $0^{\circ}$에서 $180^{\circ}$로 증가하면 NCIF 발생이 커져 플럭스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상용 막모듈은 모듈 내에 존재하는 공기층을 완전히 제거해야 NCIF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설계 제작된 custom design 막모듈은 crossward 방향($90^{\circ}$)으로 막투과가 이루어져 모듈 상부에 공기층이 존재하더라도 항상 NCIF가 발생된다. Custom design 막모듈에서 BSA와 dextran 용액의 막여과 실험을 수행한 결과, NCIF의 발생으로 2시간 조작 시 BSA 용액의 경우 약 3.8배, dextran 용액의 경우 약 1.8배까지 투과 플럭스가 증가하였다. 또한 BSA 용액을 대상으로 한 20시간의 조작에서도 NCIF의 발생이 지속되어 플럭스가 약 7.5배까지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계된 막모듈은 항상 NCIF가 발생되므로 막오염 형성 억제에 따른 투과 플럭스 증가를 기대할 수 있어 전량여과 막모듈로서의 활용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ermeate flux increments of a natural convection instability flow (NCIF) caused by the change of inclined angles ($0{\sim}180^{\circ}$) to gravity of the commercial membrane module were tested in the dead-end membrane filtration of BSA protein solution. The NCIF are more generated a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량여과 막모듈 내에 공기층이 존재하더라도 항상 NCIF를 발생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전량여과 막모듈을 설계하여 NCIF 발생에 의해 막오염 형성을 저감시킴으로써 투과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 custom design 막모듈은 모듈 상부에 공기층이 존재하더라도 항상 NCIF가 발생될 수 있도록 crossward 방향(90°)으로 막투과가 이루어지게 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막오염은 무엇인가? 막분리 공정에서 막에 의해 배제된 물질이 막표면에 누적되는 현상인 농도분극과 누적된 물질이 막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막표면 또는 세공 내에 비가역적으로 침적되는 현상인 막오염이 발생하게 된다. 막오염은 막투과량(투과 플럭스, permeate flux)의 급속한 감소와 더불어 막의 분리성능을 저하시킨다.
NCIF의 발생은 어떻게 유도되는가? 특히 막모듈 내에 자연대류 불안정 흐름(natural convection instability flow, NCIF)을 유발시키는 연구가 주목을 받고 있다[7,8]. NCIF는 막표면에 형성된 농도분극층에서의 용액의 밀도차를 이용하여 막모듈의 중력에 대한 방향을 변화시켜 밀도가 높은 용액을 밀도가 낮은 용액 위에 위치시키는 밀도역전(density inversion)을 통해 쉽게 발생시킬 수 있다.
유체 흐름을 난류로 유지하기 위해 공급액 유량을 증가시키거나 난류 흐름 발생 유도 촉진물을 사용할 때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유체 흐름을 난류로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공급액의 유량을 증가시키거나 유로 내에 난류흐름 발생을 유도하는 촉진물을 삽입시키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2]. 그러나 이들 방법은 공급액의 유량 증가에 따른 운전 동력비 상승과 단백질 및 효소가 함유된 용액의 경우에는 유량 증가에 따른 전단력에 의해 이들 물질의 변성이 일어날 수 있어 적정한 공급액 유량 결정이 필요하다. 또한 막모듈에 난류 촉진물을 삽입하는 것은 막 표면에 손상을 주거나 추가적인 압력강하를 유발시킨다는 문제가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10.1016/j.biortech.2012.04.089 W. Guo, H. H. Ngo, and J. Li, “A mini-review on membrane fouling”, Bioresour. Technol. , 122, 27 (2012). 

  2. 10.1016/S0958-2118(00)80017-8 C. Williams and R. Wakeman, “Membrane fouling and alternative techniques for its alleviation”, Membr. Technol. , 2000, 4 (2000). 

  3. K. H. Youm, H. Y. Lee, and Y. C. Shin, “Water treatment using separation membranes”, pp. 25-30, p. 83, Sin-A Publishing, Jeju, Korea (2011). 

  4. K. Y. Chung and G. Belfort, “Performance test for membrane module using Dean vortices”, Membr. J. , 2, 104 (1992). 

  5. H. B. Winzeler and G. Belfort, “Enhanced performance for pressure-driven membrane processes: The argument for fluid instabilities”, J. Membr. Sci. , 80, 35 (1993). 

  6. J. Y. Park, H. W. Kim, and C. K. Choi, “Experimental study and modelling on membrane fouling in Taylor vortex flow microfiltration”, Membr. J. , 13, 88 (2003). 

  7. 10.1021/i260054a012 T. J. Hendricks, J. F. Macquin, and F. A. Williams, “Observation on buoyant convection in reverse osmosis”, Ind. Eng. Chem. Process Des. Dev. , 14, 166 (1975). 

  8. 10.1016/0376-7388(96)00047-6 K. H. Youm, A. G. Fane, and D. E. Wiley, “Effects of natural convection instability on membrane performance in dead-end and cross-flow ultrafiltration”, J. Membr. Sci. , 116, 229 (1996). 

  9. 10.1016/j.memsci.2011.01.021 Y. J. Cho and K. H. Youm, “Improvement of membrane performance by natural convection instability flow in ultrafiltration of colloidal solutions”, Membr. J. , 21, 84 (2011). 

  10. 10.14579/MEMBRANE_JOURNAL.2019.29.1.18 Y. J. Kim and K. H. Youm, “Analysis of membrane fouling reduction by natural convection instability flow in membrane filtration of protein solution using blocking filtration model”, Membr. J. , 29, 18 (2019). 

  11. 10.1016/0003-2697(76)90527-3 M. M. Bradford, “A rapid and sensitive method for the quantitation of microgram quantities of protein utilizing the principle of protein dye binding”, Anal. Biochem. , 72, 248 (1976). 

  12. F. S. Julio, R. B. Francisco, S. D. Raquel, and G. A. Pedro, “Buoyancy effects in dead-end reverse osmosis: Visualization by holographic interferometry”, Ind. Eng. Chem. Res. , 46, 1794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