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어린이집 영아반교사(1~2세반)의 신체활동 실행과 지원요구 Professional Practical of Physical Activities and Support Requests from Child Care Center Teachers of Infants Aged 1 to 2원문보기
본 연구목적은 어린이집 1세와 2세반의 영아반 교사에 따라 나타난 신체활동 운영계획, 내용선정, 평가의 실행과 지원요구 차이를 분석하여 영아 발달수준에 적합한 신체활동 운영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J도 어린이집 영아반 담임교사 221명이며, 51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배포하여 수집된 자료는 ${\chi}^2$ 검증, 독립표본 t-검증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신체활동 실행 변인 중에서 학급크기, 수업계획자, 적합한 지도자, 실외운동 주당수업 빈도와 수업시간, 연계교육 계획의 일부 변인, 신체활동 내용선정의 일부 변인, 신체활동 평가의 일부 변인에서 반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신체활동 실행 시 지원요구 변인 중에서 신체활동계획안 작성법, 교수학습방법, 평가방법, 신체표현활동프로그램, 보수교육운영 시 표준보육과정 신체운동영역의 일부 변인에서 반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논의된 1세반과 2세반에 적합한 신체활동 운영방안과 교사의 지원 요구를 개선시킬 수 있는 방안의 일환으로 효율적인 영아보수교육 운영에 대해서 제언도 하였다.
본 연구목적은 어린이집 1세와 2세반의 영아반 교사에 따라 나타난 신체활동 운영계획, 내용선정, 평가의 실행과 지원요구 차이를 분석하여 영아 발달수준에 적합한 신체활동 운영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J도 어린이집 영아반 담임교사 221명이며, 51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배포하여 수집된 자료는 ${\chi}^2$ 검증, 독립표본 t-검증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신체활동 실행 변인 중에서 학급크기, 수업계획자, 적합한 지도자, 실외운동 주당수업 빈도와 수업시간, 연계교육 계획의 일부 변인, 신체활동 내용선정의 일부 변인, 신체활동 평가의 일부 변인에서 반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신체활동 실행 시 지원요구 변인 중에서 신체활동계획안 작성법, 교수학습방법, 평가방법, 신체표현활동프로그램, 보수교육운영 시 표준보육과정 신체운동영역의 일부 변인에서 반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논의된 1세반과 2세반에 적합한 신체활동 운영방안과 교사의 지원 요구를 개선시킬 수 있는 방안의 일환으로 효율적인 영아보수교육 운영에 대해서 제언도 하였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on physical activity management plans for different developmental levels in infants. This study analyses the difference between support requests and the professional practical of evaluations, content selection, and physical activity manag...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on physical activity management plans for different developmental levels in infants. This study analyses the difference between support requests and the professional practical of evaluations, content selection, and physical activity management plans displayed by teachers of one and two-year-old infants.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21 teachers from child care centers throughout J-do to whom a questionnaire containing 51 questions was distributed. Collected data was verified with a chi-squared test and an independent samples t-test. Results: First, among variables of professional practical of physical activities, some factors including class size, class planners and leaders, the number of outdoor classes per week and requisite time, parts of related education plans, parts of content selection for physical activities, and parts of the evaluation of physical activiti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class. Second, among variables of support requests when implementing physical activities, some factors including methods of preparing physical activity plans, teaching -learning methods, evaluation methods, body expression activity programs, and parts of physical exercise in the standardized child care curriculum of refresher and extension cours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class.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discusses the effective management of refresher and extension courses as a way to improve physical activity management plans and teachers' support requests for infants aged 1 to 2.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on physical activity management plans for different developmental levels in infants. This study analyses the difference between support requests and the professional practical of evaluations, content selection, and physical activity management plans displayed by teachers of one and two-year-old infants.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21 teachers from child care centers throughout J-do to whom a questionnaire containing 51 questions was distributed. Collected data was verified with a chi-squared test and an independent samples t-test. Results: First, among variables of professional practical of physical activities, some factors including class size, class planners and leaders, the number of outdoor classes per week and requisite time, parts of related education plans, parts of content selection for physical activities, and parts of the evaluation of physical activiti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class. Second, among variables of support requests when implementing physical activities, some factors including methods of preparing physical activity plans, teaching -learning methods, evaluation methods, body expression activity programs, and parts of physical exercise in the standardized child care curriculum of refresher and extension cours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class.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discusses the effective management of refresher and extension courses as a way to improve physical activity management plans and teachers' support requests for infants aged 1 to 2.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이러한 일반적 가정을 종합하여 연구목적과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 목적은 어린이집 1세와 2세반의 영아반교사에 따라 나타난 신체활동 운영계획, 내용선정, 평가의 실행과 지원요구 차이를 분석하여 영아 발달수준에 적합한 신체 활동 운영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이러한 일반적 가정을 종합하여 연구목적과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 목적은 어린이집 1세와 2세반의 영아반교사에 따라 나타난 신체활동 운영계획, 내용선정, 평가의 실행과 지원요구 차이를 분석하여 영아 발달수준에 적합한 신체 활동 운영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신체활동 실행과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분석하여 연구문제 선정과 연구도구 개발, 신체활동 실행 시 지원요구 설문지 문항 개발을 위해 1 세와 2세반 담임교사 10인(1세반 교사 5인, 2세반 교사 5인)에게 교사면담을 실시하여 여기에서 나온 내용을 기초로 설문지 문항 초안을 작성 한 후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문항이해와 내용의미 전달의 문제점을 수정보완, 측정시간도 15~20분정도 소요됨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영유아 신체활동과 연구방법에 관심이 많은 유아교육과 교수 2인에게 연구도구의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아 설문지 총 51문항을 개발하여 연구대상에게 배포 및 수집하는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에서 논의된 1세와 2세반에 적합한 신체 활동 운영방안과 교사의 지원요구를 반영시킬 수 있는 방안의 일환으로 효율적인 영아보수교육 운영에 대해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양질의 영아보수교육 운영을 위해 현행 신체활동 2시간 편성된 것을 확대하여 최소한 4시간 편성하여 이론과 실제를 교육받을 수 있도록 한다.
가설 설정
발달수준에 적합하게 구성되어 있는 표준보육과정 신체운동에서도 0∼1세와 2세로 연령을 구분하고, 영유아보육법의 영아반 편성도 연령별로 구분된 점, 영아기는 동일 연령이라도 개인차가 크므로 발달수준의 연령적합성 관점에서 1세반과 2세 반별에 따른 운영방안 모색도 필요하다고 가정한다.
본 연구는 영아반 교사의 실내외 신체활동 교수학습 계획, 신체활동과 다른 요소와의 연계교육, 다양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이나 표준보육과정 신체운동 내용선정, 신체활동 후 평가 등에 대한 교사의 실행을 1세와 2세 반별로 살펴보고 제반문제를 개선해 나가려는 노력이 있을 때 발달수준에 적합한 신체활동 운영을 도모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발달수준에 적합하게 구성되어 있는 표준보육과정 신체운동에서도 0∼1세와 2세로 연령을 구분하고, 영유아보육법의 영아반 편성도 연령별로 구분된 점, 영아기는 동일 연령이라도 개인차가 크므로 발달수준의 연령적합성 관점에서 1세반과 2세 반별에 따른 운영방안 모색도 필요하다고 가정한다.
발달수준에 적합하게 구성되어 있는 표준보육과정 신체운동에서도 0∼1세와 2세로 연령을 구분하고, 영유아보육법의 영아반 편성도 연령별로 구분된 점, 영아기는 동일 연령이라도 개인차가 크므로 발달수준의 연령적합성 관점에서 1세반과 2세 반별에 따른 운영방안 모색도 필요하다고 가정한다. 또한 신체 활동 실행과정에서 교사가 인식하는 어려움과 지원요구는 무엇인지 살펴보고 지원방안을 마련해 나가려는 이해와 실천이 있을 때 효율적으로 신체활동을 운영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가정한다. 이러한 일반적 가정을 종합하여 연구목적과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제안 방법
또한 신체 활동 실행과정에서 교사가 인식하는 어려움과 지원요구는 무엇인지 살펴보고 지원방안을 마련해 나가려는 이해와 실천이 있을 때 효율적으로 신체활동을 운영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가정한다. 이러한 일반적 가정을 종합하여 연구목적과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 목적은 어린이집 1세와 2세반의 영아반교사에 따라 나타난 신체활동 운영계획, 내용선정, 평가의 실행과 지원요구 차이를 분석하여 영아 발달수준에 적합한 신체 활동 운영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문제별로 신체활동 실행과 지원요구 두 범주로 나누어 2가지 연구도구로 측정되었다.
교사면담에서 얻은 자료와 앞서 신체활동 실행 연구도구 개발을 위해 검토했던 선행연구의 변인들을 분석 하여, 25문항의 초안을 작성한 후 예비조사를 거쳐 유아교육 전문가에게 내용타당도를 검토 받은 후 최종적으로 19문항의 설문지를 연구도구로 채택하였다. 측정 방법은 5점 척도(Likert Scale)로 전체 총점이 높을수록 지원요구가 높은 것임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신체활동 실행과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분석하여 연구문제 선정과 연구도구 개발, 신체활동 실행 시 지원요구 설문지 문항 개발을 위해 1 세와 2세반 담임교사 10인(1세반 교사 5인, 2세반 교사 5인)에게 교사면담을 실시하여 여기에서 나온 내용을 기초로 설문지 문항 초안을 작성 한 후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문항이해와 내용의미 전달의 문제점을 수정보완, 측정시간도 15~20분정도 소요됨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영유아 신체활동과 연구방법에 관심이 많은 유아교육과 교수 2인에게 연구도구의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아 설문지 총 51문항을 개발하여 연구대상에게 배포 및 수집하는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런데 보수교육은 대체로 유아를 위한 교육 내용이 더 많고 영아를 위한 교육내용은 빈약한 것 같다”는 의견들이 있었다. 교사면담 내용을 분석하여 신체활동 실행 시 지원요구를 신체활동 계획과 운영 시지원요구, 신체활동프로그램 지원요구, 보수교육 운영 시 표준보육과정의 신체운동영역 지원요구로 범주화하여 하위 연구변인(표 9에 제시됨)을 선정하였다.
셋째, 본 연구의 측정도구 신뢰성을 알아보기 위해 문항의 내적 신뢰도(Cronbach's α)를 산출하였다.
첫째, 신체활동 실행 시 영아발달에 적합한 신체활동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우선 교수학습 계획으로 학급크기, 수업빈도, 수업시간을 적절히 배정하는 일에서 출발이 되어야 하므로 이에 대해 교사의 인식과 실행을 알아보았다. 학급크기는 전체적으로 3명 이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지만 반별 간에 차이가 있어 1세반은 3명 이내, 2세반은 5명 이내가 높았다.
신체활동 실행 연구도구는 선행연구(권세경, 성은영, 서동미, 2014; 권혜진, 2016; 김길숙, 2017; 보건복지 부, 육아정책연구소, 2013; 이미화, 정주영, 엄지원, 2014; 이영심, 2016, 2018; 주혜진, 성소영, 2012; 지성애. 오세경, 2012; 황인애, 권경숙, 2015)의 변인 들을 분석하여 본 연구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수정· 보완해서 40문항의 초안을 작성한 후 예비조사를 거쳐 유아교육 전문가에게 내용타당도를 검토 받은 후 최종 적으로 32문항의 설문지를 측정도구로 채택하였다.
대상 데이터
연구대상은 J도에 소재한 어린이집 재직 중인 영아반 담임교사로서 1세반 102명(46.2%), 2세반 119명 (53.8%)으로 총 221명이다. 기관유형은 국공립, 법인 (사회복지법인과 법인ㆍ단체 등 어린이집 포함), 민간(가 정과 공공형어린이집 포함), 직장어린이집을 선정하였다.
1차는 2018년 중반기(6~8월)에 어린이집교직원 직무교육이 실시되는 장소에서 교육이수자들에게 연구목적을 설명 하고 본인이 작성하거나 혹은 다른 어린이집에 협조가 가능하여 1, 2세 담임교사들이 설문지를 작성해준 경우 직무교육이 끝나는 날까지 수거함에 놓도록 하여 총 120부를 배포하여 109부 회수하였다. 2차시 연구대상 선정은 2019년 전반기(1월~2월)에 J도 육아종합지원센터 보육현황(총 513개소)에 접속하여 어린이집정보공개 포털 사이트에 등록되어 있는 영아반 현황을 조회하여 연구자 및 연구보조자가 시, 군별로 나누어 영아반 운영기관을 표집하였다. 전화면접으로 연구목적과 방법 등을 설명하고 설문에 수락하는 곳은 직접 방문, 우편, 메일을 통하여 총 1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128부 회수하였다.
2차시 연구대상 선정은 2019년 전반기(1월~2월)에 J도 육아종합지원센터 보육현황(총 513개소)에 접속하여 어린이집정보공개 포털 사이트에 등록되어 있는 영아반 현황을 조회하여 연구자 및 연구보조자가 시, 군별로 나누어 영아반 운영기관을 표집하였다. 전화면접으로 연구목적과 방법 등을 설명하고 설문에 수락하는 곳은 직접 방문, 우편, 메일을 통하여 총 1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128부 회수하였다. 1차와 2차에 걸쳐 회수된 자료 237부 중 1세와 2세반 담임교사가 아니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하여 신뢰성이 떨어진다고 판단되는 자료 16부를 제외시켜 1세반은 102명(46.
전화면접으로 연구목적과 방법 등을 설명하고 설문에 수락하는 곳은 직접 방문, 우편, 메일을 통하여 총 1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128부 회수하였다. 1차와 2차에 걸쳐 회수된 자료 237부 중 1세와 2세반 담임교사가 아니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하여 신뢰성이 떨어진다고 판단되는 자료 16부를 제외시켜 1세반은 102명(46.2%), 2세반은 119명(53.8%), 최종 합계 221명 자료가 실제 분석에 이용되었다.
8%)으로 총 221명이다. 기관유형은 국공립, 법인 (사회복지법인과 법인ㆍ단체 등 어린이집 포함), 민간(가 정과 공공형어린이집 포함), 직장어린이집을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자의 1, 2세반 담임교사 공통점은 경력은 7년 이상, 기관유형은 민간어린이집, 연령은 36세 이상, 자격은 1급보육교사자격증 소지자가 가장 많이 표집 되었다.
연구대상 선정은 2차에 걸쳐 이루어졌다. 1차는 2018년 중반기(6~8월)에 어린이집교직원 직무교육이 실시되는 장소에서 교육이수자들에게 연구목적을 설명 하고 본인이 작성하거나 혹은 다른 어린이집에 협조가 가능하여 1, 2세 담임교사들이 설문지를 작성해준 경우 직무교육이 끝나는 날까지 수거함에 놓도록 하여 총 120부를 배포하여 109부 회수하였다. 2차시 연구대상 선정은 2019년 전반기(1월~2월)에 J도 육아종합지원센터 보육현황(총 513개소)에 접속하여 어린이집정보공개 포털 사이트에 등록되어 있는 영아반 현황을 조회하여 연구자 및 연구보조자가 시, 군별로 나누어 영아반 운영기관을 표집하였다.
데이터처리
첫째, 연구대상의 일반적 배경은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는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선택형으로 측정한 반별 간 차이검증은 카이제곱(χ2) 검증, 5점 척도로 측정한 반별 간 차이검증은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성능/효과
기관유형은 국공립, 법인 (사회복지법인과 법인ㆍ단체 등 어린이집 포함), 민간(가 정과 공공형어린이집 포함), 직장어린이집을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자의 1, 2세반 담임교사 공통점은 경력은 7년 이상, 기관유형은 민간어린이집, 연령은 36세 이상, 자격은 1급보육교사자격증 소지자가 가장 많이 표집 되었다. 자세한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배경은 표 1과 같다.
표 5의 결과, 학급크기는 몇 명으로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한가에 대한 인식은 전체적으로 3명 이내라는 응답(52.5%)이 가장 많았지만 반별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χ 2 = 40.12, p < .001) 1세반은 3명 이내 (74.5%), 2세반은 5명 이내(52.1%) 응답이 가장 높았다.
표 6의 결과, 표준보육과정의 신체운동영역과 연계교육(t = -2.78, p < .01), 생활주제와 연계교육 (t = -2.77, p < .01), 자유놀이 시간과 연계교육(t = -2.77, p < .01) 계획은 반별 간에 차이가 나타나 2세 반이 1세반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표 7의 결과, 신체활동프로그램 내용선정 변인은 운동놀이(t = -1.98, p <. 05), 신체표현활동(t = -2.82, p < .01), 운동게임(t =- 4.12, p < .001), 율동(t = -1.93, p < .05), 전래놀이(t = -5.17, p < .001), 실외놀이 신체활동(t = -1.97, p < .05) 선정은 반별 간 에 차이가 나타나 2세반이 1세반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전문성이 있는 교사는 신체활동과 다른 요소와의 연계교육을 계획하고 실행할 수 있어야 한다(이영심, 2016). 연구결과 표준보육과정의 신체운동영역, 생활주제, 자유놀이 시간과의 연계교육은 반별 간에 차이가 있어 2세반이 1세반보다 높았다. 즉, 1세반이 2세반보다 유아교육의 핵심적인 교육과정 실행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음을 시사한다.
신체활동프로그램 선정은 운동놀이, 신체표현활동, 운동게임, 율동, 전래놀이, 실외놀이 신체활동 선정은 반별 간에 차이가 있어 2세반이 1세반보다 높았다. 여기서 운동놀이는 영아의 건강을 위해 하루일과의 생활 주제와 상관없이 꾸준히 매일 실시할 수 있는 신체활동 프로그램이다(김길숙, 2017).
여기서 운동놀이는 영아의 건강을 위해 하루일과의 생활 주제와 상관없이 꾸준히 매일 실시할 수 있는 신체활동 프로그램이다(김길숙, 2017). 1, 2세반 공통적으로 기본운동과 율동 선정은 많은 반면, 운동게임과 전래놀이 선정은 매우 낮았는데 이는 본 연구에서 교사들의 지원 요구도 가장 낮게 나타난 것과 맥락이 같았다. 흔히 연령이 어릴수록 신체표현활동이나 운동게임 운영을 어려워하는데(이영심, 2018; 황복주, 이종희, 2018) 영아에게 정신적 표상을 활용한 신체표현활동 경험은 문제해결력과 잠재력과 창의력을 계발시킨다(박유미, 안진경, 2010).
표준보육과정 신체운동 영역의 내용선정은 반별 간 차이는 없었으며, 반별 내 나타난 결과로는 1세와 2세반 모두 대소근육조절하기, 기구를 이용하여 신체활동 하기, 기본운동 선정은 높았으나 신체탐색과 신체인식 하며 움직이기의 내용선정은 가장 적게 나타났다. 영유 아는 대소근육운동기술이나 기본운동이 발달함에 따라 신체의 균형유지 및 이동이 이루어져 주변 환경을 탐색 하고 정보를 획득해 나가므로(김상겸, 서소정, 2017; 성연정, 홍혜경.
둘째, 신체활동 실행 시 지원요구는 전체적으로 신체 활동 대소도구 활용법에 대한 지원요구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신체활동 프로그램 지원요구가 높았다. 신체운동교육에서 운동도구 사용은 다양한 장점과 교육적 가치를 지니는데(Pica, 2010) 교사들은 신체활동 기구 사용과 관련된 지식이 부족하여 신체활동 실행에 어려움을 느끼므로 교사교육이 필요하다(김길숙, 2017)는 견해에 동의하며, 영아의 신체활동 목표의 하나는 대소 근육발달에 있으므로 이를 도울 수 있는 대소도구 개발 및 활용법을 보급시킬 필요가 있다.
신체운동교육에서 운동도구 사용은 다양한 장점과 교육적 가치를 지니는데(Pica, 2010) 교사들은 신체활동 기구 사용과 관련된 지식이 부족하여 신체활동 실행에 어려움을 느끼므로 교사교육이 필요하다(김길숙, 2017)는 견해에 동의하며, 영아의 신체활동 목표의 하나는 대소 근육발달에 있으므로 이를 도울 수 있는 대소도구 개발 및 활용법을 보급시킬 필요가 있다. 신체활동 실행 시지원요구에서 신체활동계획안 작성법, 신체활동교수학습방법, 신체활동 평가방법에서 반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 1세반이 2세반보다 지원요구가 높았다.
본 연구결과에서 논의된 1세와 2세반에 적합한 신체 활동 운영방안과 교사의 지원요구를 반영시킬 수 있는 방안의 일환으로 효율적인 영아보수교육 운영에 대해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양질의 영아보수교육 운영을 위해 현행 신체활동 2시간 편성된 것을 확대하여 최소한 4시간 편성하여 이론과 실제를 교육받을 수 있도록 한다. 왜냐하면 어린이집 영아교사들은 신체활동 영역별 전문지식 습득이 많이 요구되기 때문에 교사 재교육 시 신체활동을 필수과목으로 편성할 필요가 있다 (김길숙, 2017).
05) 선정은 반별 간 에 차이가 나타나 2세반이 1세반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반별 내 연구변인에 따른 결과는 1세반 신체활동프로그램 선정은 기본운동(M = 3.43, SD = .73), 율동(M = 3.41, SD = .90), 감각운동(M = 3.40, SD = .87) 선정은 거의 유사하게 평균이 높았고, 운동게임(M = 2.67, SD = .88)과 전래놀이(M = 2.18, SD = .62) 선정은 낮았다. 2세반의 신체활동프로그램 선정은 율동 (M = 3.
표 8의 결과, 신체활동 수업 후 교수학습평가는 전체적으로 가끔씩 평가한다(38.5%)는 응답이 가장 높은 반면 항상 평가(14.6%)는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반별 간에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프로그램평가는 전체적으로 가끔씩 평가한다(56.
그러나 영아보수교육을 인터넷온라인으로 이수할 경우 실기교육은 받지 못한다. 더불어 본 연구의 연구결과에는 제공하지 않았지만 본 연구대상 221명에게 설문지로 알아본 결과 영아교사들은 만일 보수교육에서 신체운동영역을 2시간 운영할 경우 실기교육만 원하는 경우(65.2%)가 가장 많았고, 4시간 운영할 경우 이론 1시간과 실기 3시간 편성(52.5%) 요구가 가장 많아 이론보다 실기교육을 더 선호한다는 것을 시사 받았다.
후속연구
68) 지원요구는 낮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영아교사연수나 보수교육을 운영할 경우 반별로 평균이 높게 나타났거나 낮게 나타난 프로그램을 우선 교육내용으로 선정하여 교육하는 방안을 제안해볼 수 있다.
반면에 1, 2세반 공통적으로 운동게임과 전래놀이 프로그램 지원요구는 가장 낮았다. 신체활동을 통하여 전반적 발달증진에 목적을 둔다면 다양한 신체활동프로그램을 모두 계획하고 실행할 수 있어야 하므로 본 연구결과에서 높거나 낮게 나타난 교사들의 신체활동프로그램 지원요구들을 점진적으로 교사연수나 보수교육운영 시 교과목으로 편성 운영할 것을 제안한다.
따라서 영아보수교육을 인터넷 온라인으로 이수한 경우 영유아보육법에 의한 보수교육을 받은 것으로 인정(보건복지부, 2019)하는 규정을 개정해서 모두 집합교육을 받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이때 본 연구에서 논의된 1세와 2세 반별 간의 차이와 평균적으로 나타난 연구결과나 내용들을 참고하여 교사 교육 한다면 영아발달에 적합한 신체활동 계획과 실행 방안 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은 J도 지역의 일부 어린이집 영아반교사 대상으로 수행되었기 때문에 전국 영아반 교사의 실행이나 지원요구로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점, 양적 측정방법으로만 자료를 수집하고 도출된 결론이어서 질적 분석이나 사례들을 반영하여 해석하지 못한 점, 영아를 대상으로 신체활동 실행에 대한 연구가 부족할 뿐만 아니라 1세반과 2세반의 신체활동 운영 상태 차이를 분석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심층적으로 선행연구와 비교 분석하지 못하고 본 연구결과만으로 1세와 2세 발달에 적합한 신체 활동 운영방안을 수립하는데 한계가 있어서 기초자료 제공에 의미를 두었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