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족부 족관절 골좌상에서 자기공명영상 분류에 따른 통증의 호전
Improvement of Pain according to Magnetic Resonance Imaging Classification in Bone Contusion around Foot and Ankle 원문보기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Journal of Korean Foot and Ankle Society, v.23 no.4, 2019년, pp.183 - 188  

김형직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이광복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Bone contusion is usually treated with conservative therapy for 3 months. Bone contusion around knee and hip joints has been extensively reported on, but there are scant reports on this condition in foot and ankle joints. This study evaluated the nature, characteristics and location of bon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의 목적은 발과 족관절에 발생한 외상에 따른 골좌상의 호발 부위 및 손상 형태, 외상 시 통증의 정도와 임상 경과의 연관성에 대해 조사해 치료방침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골좌상이란? 골좌상(bone contusion)은 골수에 간질액의 증가 및 통증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을 나타내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영상의학적으로 T1증강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에서 신호 감소 및 T2증강 MRI에서 신호증가 영상을 보여준다.
골좌상의 병태생리의 특징은 무엇인가? 골좌상의 병태생리는 출혈, 부종, 미세골주 골절의 병합으로 나타나므로 임상적으로 통증을 야기하며 정도에 따라 미세골주 골절 주변의 연골손상이 동반되어 외상성 관절염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2) 일반적으로 보존적 치료에 잘 반응하여 대개 3개월내에 증상이 호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드물지 않게 3개월 이상의 지속적인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어 임상가에게 치료지침 설정에 혼선을 주기도 해 그 임상적 의미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골좌상 치료의 한계는 무엇인가? 골좌상의 병태생리는 출혈, 부종, 미세골주 골절의 병합으로 나타나므로 임상적으로 통증을 야기하며 정도에 따라 미세골주 골절 주변의 연골손상이 동반되어 외상성 관절염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2) 일반적으로 보존적 치료에 잘 반응하여 대개 3개월내에 증상이 호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드물지 않게 3개월 이상의 지속적인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어 임상가에게 치료지침 설정에 혼선을 주기도 해 그 임상적 의미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Kessler R, Campbell S, Wong D, Bui-Mansfield L.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bone marrow: a review-part II. J Am Osteopath Coll Radiol. 2012;1:13-24. 

  2. Kaplan PA, Gehl RH, Dussault RG, Anderson MW, Diduch DR. Bone contusions of the posterior lip of the medial tibial plateau (contrecoup injury) and associated internal derangements of the knee at MR imaging. Radiology. 1999;211:747-53. doi: 10.1148/radiology.211.3.r99jn30747. 

  3. Bloem JL. Transient osteoporosis of the hip: MR imaging. Radiology. 1988;167:753-5. doi: 10.1148/radiology.167.3.3363135. 

  4. Vande Berg BC, Malghem JJ, Lecouvet FE, Jamart J, Maldague BE. Idiopathic bone marrow edema lesions of the femoral head: predictive value of MR imaging findings. Radiology. 1999;212:527-35. doi: 10.1148/radiology.212.2.r99au03527. 

  5. Costa-Paz M, Muscolo DL, Ayerza M, Makino A, Aponte-Tinao 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ollow-up study of bone bruises associated with anterior cruciate ligament ruptures. Arthroscopy. 2001;17:445-9. doi: 10.1053/jars.2001.23581. 

  6. Fernandez-Canton G, Casado O, Capelastegui A, Astigarraga E, Larena JA, Merino A. Bone marrow edema syndrome of the foot: one year follow-up with MR imaging. Skeletal Radiol. 2003;32:273-8. doi: 10.1007/s00256-003-0622-4. 

  7. Hofmann S. The painful bone marrow edema syndrome of the hip joint. Wien Klin Wochenschr. 2005;117:111-20. doi: 10.1007/s00508-005-0322-2. 

  8. Korompilias AV, Karantanas AH, Lykissas MG, Beris AE. Bone marrow edema syndrome. Skeletal Radiol. 2009;38:425-36. doi: 10.1007/s00256-008-0529-1. 

  9. Terzidis IP, Christodoulou AG, Ploumis AL, Metsovitis SR, Koimtzis M, Givissis P. The appearance of kissing contusion in the acutely injured knee in the athletes. Br J Sports Med. 2004;38:592-6. doi: 10.1136/bjsm.2003.006718. 

  10. Sahoo K, Garg A, Saha P, Dodia JV, Raj VR, Bhairagond SJ. Study of imaging pattern in bone marrow oedema in MRI in recent knee injuries and its correlation with type of knee injury. J Clin Diagn Res. 2016;10:TC06-11. doi: 10.7860/JCDR/2016/18843.7704. 

  11. Pinar H, Akseki D, Kovanlikaya I, Arac S, Bozkurt M. Bone bruises detected by magnetic resonance imaging following lateral ankle sprains. Knee Surg Sports Traumatol Arthrosc. 1997;5:113-7. doi: 10.1007/s001670050036. 

  12. Alanen V, Taimela S, Kinnunen J, Koskinen SK, Karaharju E. Incidence and clinical significance of bone bruises after supination injury of the ankle. A double-blind, prospective study. J Bone Joint Surg Br 1998;80:513-5. doi: 10.1302/0301-620x.80b3.8404. 

  13. Singh D, Ferrero A, Rose B, Goldberg A, Cullen N. Bone marrow edema syndrome of the foot and ankle: mid- to long-term follow-up in 18 patients. Foot Ankle Spec. 2016;9:218-26. doi: 10.1177/1938640015609986. 

  14. Hagga JR, Gilkeson RC, Lanzieri CF. CT and MR imaging of the whole body. 5th ed. St. Louis (MO): Mosby; 2009. p. 2152. 

  15. Boks SS, Vroegindeweij D, Koes BW, Bernsen RM, Hunink MG, Bierma-Zeinstra SM. MRI follow-up of posttraumatic bone bruises of the knee in general practice. AJR Am J Roentgenol. 2007;189:556-62. doi: 10.2214/AJR.07.2276. 

  16. Dienst M, Blauth M. Bone bruise of the calcaneus. A case report. Clin Orthop Relat Res. 2000;(378):202-5. doi: 10.1097/00003086-200009000-00030. 

  17. Wright RW, Phaneuf MA, Limbird TJ, Spindler KP. Clinical outcome of isolated subcortical trabecular fractures (bone bruise) detected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in knees. Am J Sports Med. 2000;28:663-7. doi: 10.1177/03635465000280050701. 

  18. Mandalia V, Henson JH. Traumatic bone bruising--a review article. Eur J Radiol. 2008;67:54-61. doi: 10.1016/j.ejrad.2008.01.060. 

  19. Nishimura G, Yamato M, Togawa M. Trabecular trauma of the talus and medial malleolus concurrent with lateral collateral ligamentous injuries of the ankle: evaluation with MR imaging. Skeletal Radiol. 1996;25:49-54. doi: 10.1007/s002560050031. 

  20. Taga I, Shino K, Inoue M, Nakata K, Maeda A. Articular cartilage lesions in ankles with lateral ligament injury. An arthroscopic study. Am J Sports Med. 1993;21:120-6; discussion 126-7. doi: 10.1177/036354659302100120. 

  21. Lynch TC, Crues JV 3rd, Morgan FW, Sheehan WE, Harter LP, Ryu R. Bone abnormalities of the knee: prevalence and significance at MR imaging. Radiology. 1989;171:761-6. doi: 10.1148/radiology.171.3.2717748. 

  22. Graf BK, Cook DA, De Smet AA, Keene JS. "Bone bruises"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evaluation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ies. Am J Sports Med. 1993;21:220-3. doi: 10.1177/036354659302100210. 

  23. Bartl C, Imhoff A, Bartl R. Treatment of bone marrow edema syndrome with intravenous ibandronate. Arch Orthop Trauma Surg. 2012;132:1781-8. doi: 10.1007/s00402-012-1617-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