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복지관 이용자의 건강상태 및 건강관리서비스 프로그램 요구도
Health Status and Health Care Service Program Needs of Senior Welfare Center Users 원문보기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13 no.4, 2019년, pp.201 - 214  

정현정 (유한대학교 보건복지학과) ,  손태용 (유한대학교 U-보건의료행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needs of the senior welfare center users of the health service program, and to establish a plan to adjust the health service functions of the senior center. Methods: A survey of 2,130 users of the Gyeonggi-do Senior Welfare Center was condu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노인복지관 이용자의 인구사회학적 및 건강관련 특성, 노인복지관 이용특성에 따른 건강서비스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와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이용자를 대상으로 노인복지관 건강서비스 프로그램 요구에 대한 인식을 일반적 특성 및 건강관련 특성, 노인복지관 이용 특성에 따라 분석하고, 그 영향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목적에 따라 적용된 통계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노인복지관 이용자들은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관련 특성, 노인복지관 이용 특성에 따라 건강관리서비스프로그램별 요구에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고, 건강서비스 프로그램별 요구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향후 노인복지관에서 건강서비스 기능이 연계되고 통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 노인복지관의 바람직한 역할을 재정립하기 위한 방향을 모색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경기도 노인복지관 이용자 2,130명을 대상으로 2018년 5월 28일부터 6월 3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노인복지관 이용자들의 건강서비스 프로그램 요구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여 노인복지관의 건강서비스 기능이 연계되고 통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 향후 노인복지관의 바람직한 역할을 재정립하기 위한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경기도 지역 노인복지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노인복지관 사업과 기능들에 대한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비교분석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복지관의 이용자들의 건강상태와 건강서비스 프로그램 요구에 대한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향후 노인복지관에서 건강서비스 기능이 연계되고 통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 노인복지관의 바람직한 역할을 재정립하기 위한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 첫째, 노인복지관 이용자의 인구사회학적 및 건강관련 특성, 노인복지관 이용특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 8%가 있다는 긍정적인 응답을 보였으며, 특히 이들의 건강서비스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가 월등히 높아 향후 노인복지관 프로그램운영에 포함하고 조정할 필요성이 있다. 특히 건강관리서비스 프로그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남성보다는 여성, 연령이 적을수록 주관적 건강수준이 좋을수록, 치료질환 개수가 많을수록, 외래경험이 없는 경우를 살펴볼 때, 이들 집단을 대상으로한 맞춤형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제안해 본다. 연구결과에서 우선적으로 선정된 건강관리서비스 프로그램 하위영역별로 다음과 같은 실천적 함의를 갖는다.

가설 설정

  • 표본추출 대상 선정기준은 첫째, 만 60세 이상인자. 둘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설문지작성에 동의한 자. 셋째, 설문지 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 자.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클라이언트의 처한 상황에 대해 잘 이해하고 있어야 하지만 간과한 이유는 무엇인가? 즉 건강한 노인이 노화 진행으로 인해 허약과정으로 이행되는 속도를 늦추어 건강으로 인한 삶의 질 만족을 높일 수 있는 역할을 노인복지관 실무 담당 인력이 수행하여야 한다. 클라이언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해당 클라이언트의 처한 상황에 대해 잘 이해하고 있어야 하나, 보건과 건강이 관련된 부분에서는 전공이 다르다는 이유로 간과해 온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현재 노인복지관 사업 중 건강관리 및 질병예방프로그램이 강화되기 위해서는 담담 실무 인력의 전문화된 역할이 더욱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고령화 현상의 심화가 보여주는 특징은 무엇인가? 고령화 현상의 심화는 경제적 문제와 건강문제가 가장 큰 어려움으로, 특히 노인들의 건강문제는 근력과 신체적 기능이 감소되고 만성질환이 발병되며 통증의 증가 등을 호소하는 경향을 보인다[2][3][4]. 이와 같이 노인들의 주된 관심사가 건강문제인 만큼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 마련이 중요하며, 노인복지 서비스 기관에서는 심신안정과 기능회복을 위해 건강과 관련된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노인이 전반적으로 가지고 있는 다양한 욕구해결을 위한 제도적 노력이 필요하다[5].
노후화된 시설 개선이나 확충은 잘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상황에서 요구되는 운동프로그램의 예시는 무엇인가? 게다가 경제적 빈곤율이 높은 우리나라 노인은 공원이나 공중시설을 통해 신체활동을 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지만, 노후화된 시설 개선이나 확충은 잘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22] 더욱 운동프로그램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균형력 향상을 위해 고전무용이나 자세운동에 대한 소개, 근력강화운동, 스트레칭 등이 해당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Statistics Korea(2018). Population Projections for Korea, Daejeon : Statistics Korea, pp. 1-35. 

  2. S.G. Lee, K.S. Hwang(2007), Relationships and Differences between Body composition, Blood pressure, Physical strength and Health behavior with Age,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Vol.46(1);781-794. 

  3. S.K. Kahng, H.S. Jeon(2006), Aging and the Change in Self-Perceptions: Multilevel Modeling on Its Relationships with the Changes in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Domain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26(2);417-436. 

  4. S.K. Kahng, H.S. Jeon(2013), An Exploratory Study on Age Differences in Health Trajectory and its Predictors: Using Korean Welfare Panel Study from W1 to W7, Journal of Social Sciences, Vol.24(3);61-84. 

  5. K.H. Kim(2004). Geographical Equity in the Provision and Use of Institutional Care for Older People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Vol.24(4);19-38. 

  6. H.K. Lee(2001). Linking Health and Welfare Services and the Applications, Journal of Welfare of the aged, Vol.12(1);175-207. 

  7. Ministry of Health Welfare(2018). A Study on Work Process of the Senior Welfare Center in 2018. pp.1-78. 

  8. Y.H. Won, J.S. Ahn(2014), A Study on Project Adjustments based on Services Needs of Senior Welfare Center: Focusing on A-Gu in Seoul,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Vol.65;83-108. 

  9. S.H. Lee, Y.S. Hwang(2015), Evaluation of Utilization Satisfaction of Leisure Facilities in Senior Welfare Centers by Senior's Age, Design Convergence Study, Vol.14(5);187-202. 

  10. S.H. Lee, Y.S. Hwang(2013), A Study on the Utility Conditions and User Satisfaction of Leisure and Culture Facilities in Senior Welfare Centers, Design Convergence Study, Vol.12(6);363-382. 

  11.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2015), A Study on the Promotion of Health Care for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Health Insurance Policy Research, Wonju: pp.1-45. 

  12. T.Y. Sohn, C.H. Chong(2019). A Study for Needs and Reformation of Health Care Services Program for Elderly People at Senior Welfare Centers in Bucheon City. Yuhan University Essays. pp. 335-357. 

  13. S. G. Leveille, J. M. Guralnik, L. Ferrucci, J. A. Langlois(1999), Aging Successfully until Death in Old Age: Opportunities for increasing Active Life Expectancy,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Vol.149(7);654-664 

  14. Y.Y. Jin, Y.S. Jee(2015), Association between Physical Fitness,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in the Elderly, The Korean Journal of Growth and Development. Vol.23(3);217-222. 

  15. N.H. Park, Y.M. Lee, E.L. Rie(2008),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Dimentia in the Community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ol.19(1);36-45. 

  16. M.E. Lytle, V.B. Joni, R.S. Pandav, H.H. Dodge, M. Ganguli(2004), Exercise level and Cognitive Decline: The Movies Project. Alzheimer Disease & Associated Disorders, Vol.18(2);57-64. 

  17. Y.S. Kwon, K.S. Paek(2014), Factors associated with Cognitive Decline in the Elderly in Communut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2(2);587-594. 

  18. J.S. Lee, S.Y. Lee(2015), Effect on cognitive Function in Elderly People.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9(3);201-210. 

  19. J. V. Jessup, C. Home, R. K. Vishen, D. Wheeler(2003), Effects of Exercise on Bone Density, Balance and Self-efficacy in Older Woman. Biological Research For Nursing, Vol.4(3);171-180 

  20. K.S.Mun, J.M.Park, S.K.Ryu, J.Y.Cha, K.S.Hyun(2016), Effects of Aquatic Exercise for Health Related Fitness and Balance in the Elderly Women,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Vol.65;593-600. 

  21.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2017). Survey on the Status of the Senior in 2017. Sejong, pp.1-34. 

  22. Y.S. Park, W.K. Yoo, S.S. Han, M.J. Kong(2019), Asociation Betwen Health Status and Physical Activity among Korean Older Adul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3(3);93-103. 

  23. J.E. Ballard, C. McFarland, L.S. Wallace, D.B. Holiday, G. Roberson(2004), The Effect of 15 weeks of Exercise on Balance, Leg strength, and Reduction in falls in 40 Women age 65 of 89 years,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Women's Association, Vol.59(4);255-271. 

  24. C.Browning, J.Sims, H. Kendig, K. Teshuva(2009), Predictors of Physical Activity Behavior in Older Community Welling Adults, Journal of Allied Health, Vol.38(1);8-17. 

  25. Y.H. Park(2018), Health Status and Social Support among the Elderly Living Alone with Restricted Daily Function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2(1);95-1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