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3차원 나노 다공성 그래핀의 제조와 응용
Three-dimensional Nanoporous Graphene-based Materials and Their Applications 원문보기

세라미스트 = Ceramist, v.22 no.3, 2019년, pp.243 - 255  

정현 (동국대학교) ,  강예인 (동국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raphene, a two-dimensional material with a single atomic layer, has recently become a major research focus in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electronic devices, sensors, energy storage, catalysts, and adsorbents, because of its large theoretical surface area, excellent electrical conductivity, outs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론에서는 다공성 물질의 정의와 분류에 대해 우선적으로 소개할 것이다. 다음으로 3차원 나노 다공성 그래핀의 제조와 기공 특성 제어 및 응용성에 대해 기술 하고자 한다.
  • 기공이 작을수록 혹은 클수록 좋다고 일반화하기 어려우며, 연구목적과 대상에 따라 적절한 크기의 기공을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론에서는 다공성 물질의 정의와 분류에 대해 우선적으로 소개할 것이다. 다음으로 3차원 나노 다공성 그래핀의 제조와 기공 특성 제어 및 응용성에 대해 기술 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특히 그래핀에 질소나 인과 같은 이종 원소를 도핑하여 최외각 오비탈 에너지에 영향을 줌으로써 인접한 탄소를 활성화시켜 HER의 반응성을 증가할 수 있다.16) 일반적으로 촉매의 다공성은 HER에서 중요 한 역할을 한다. 전형적인 가스 발생 불균일 촉매에서, 넓은 비표면적에서 비롯되는 기공 가장자리의 계면에는 많은 촉매 활성 자리가 노출되어 있어 촉매 반응의 효율이 향상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 nm란 무엇인가? 십억 분의 일을 뜻하는 나노는 난쟁이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나노스(nanos)를 어원으로 한다. 1 nm는 결국 10-9 m와 같으며 대략 원자 서너 개의 크기에 해당한다. 현대 과학기술은 이러한 나노미터 수준에서 물질의 구조 제어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화학 및 재료과학 분야에 무궁한 발전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화학적 박리화를 이용하여 그래핀 제조 시 산화된 흑연은 어떤 과정을 거쳐 그래핀을 얻는가? 따라서 흑연으로부터 단일 층의 그래핀을 얻어 그래핀 소재의 나노 복합체를 합성하여 소재의 효율을 향상시키려는 연구가 계속 진행되어왔다. 화학적 박리화(chemical exfoliation)를 이용하여 흑연의 층과 층 사이의 인력을 끊어 그래핀을 얻는 제조법이 제시되었는데, 산화된 흑연 (graphite oxide, GO)은 층 사이의 인력이 약해져 쉽게 단일 층으로 박리화되고 다시 환원 과정을 통해 그래핀을 얻을 수 있다(Fig. 2).
화학적 박리화를 사용하여 그래핀을 제조할 경우 장점은? 2).2,3) 이 방법은 그래핀을 대량으로 생산하기 쉬울 뿐만 아니라 산소가 포함된 작용기가 풍부하 여 기능화(functionalization)로 다양한 복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GO는 그래핀 기반의 나노 복합체 소재를 만드는데 전구체로 쓰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V. Singh, D. Joung, L. Zhai, S. Das, S. I. Khondaker and S. Seal, "Graphene Based Materials: Past, Present and Future," Prog. Mater. Sci., 56 1178-271 (2011). 

  2. W. S. Hummers and R. E. Offeman, "Preparation of Graphitic Oxide," J. Am. Chem. Soc., 80 1339 (1958). 

  3. L. G. Guex, B. Sacchi, K. F. Peuvot, R. L. Andersson, A. M. Pourrahimi, V. Strom, S. Farris and R. T. Olsson, "Experimental Review: Chemical Reduction of Graphene Oxide(GO) to Reduced Graphene Oxide (rGO) by Aqueous Chemistry," Nanoscale, 9 9562-71 (2017). 

  4. D. H. Everett, "Manual of Symbols and Terminology for Physicochemical Quantities and Units, Appendix II: Definitions, Terminology and Symbols in Colloid and Surface Chemistry," Pure Appl. Chem., 31 578-638 (1972). 

  5. K. S. W. Sing, D. H. Everett, R. A. W. Haul, L. Moscou, R. A. Pierotti, J. Rouqu erol and T. Siemieniewska, "Reporting Physisorption Data for Gas/Solid Systems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Determination of Surface Area and Porosity (Recommendations 1984)," Pure Appl. Chem., 57 603-19 (1985). 

  6. S. J. Gregg and K. S. W. Sing, "Adsorption, Surface Area, and Porosity," 2nd ed., Academic Press, New York, 1982. 

  7. R. R. Nair, P. Blake, A. N. Grigorenko, K. S. Novoselov, T. J. Booth, T. Stauber, N. M. R. Peres and A. K. Geim, "Fine Structure Constant Defines Visual Transparency of Graphene," Science, 320 1308 (2008). 

  8. A. H. Castro Neto, F. Guinea, N. M. R. Peres, K. S. Novoselov and A. K. Geim, "The Electronic Properties of Graphene," Rev. Mod. Phys., 81 109-62 (2009) 

  9. H. Liu, Y. Liu and D. Zhu, "Chemical Doping of Graphene," J. Mater. Chem., 21 3335-45 (2011). 

  10. J . L. Vickery, A. J. Patil and S. Mann, "Fabrication of Graphene-Polymer Nanocomposites with Higher-Order Three-Dimensional Architectures," Adv. Mater., 21 2180-4 (2009). 

  11. D. R. Dreyer, S. Park, C. W. Bielawski and R. S. Ruoff, "The Chemistry of Graphene Oxide," Chem. Soc. Rev., 39 228-40 (2010). 

  12. H . P. Mungse, O. P. Sharma, H. Sugimura and O. P. Khatri, "Hydrothermal Deoxygenation of Graphene Oxide in Sub- and Supercritical Water," RSC Adv., 4 22589-95 (2014). 

  13. L. Wang, L. Sun, C. Tian, T. Tan, G. Mu, H. Zhang and H. Fu, "A Novel Soft Template Strategy to Fabricate Mesoporous Carbon/Graphene Composites as High-Performance Supercapacitor Electrodes," RSC. Adv., 2 8359-67 (2012). 

  14. J. H. Lee, R. Nankya, A. R. Kim and H. Jung, "Fine-Tuning the Pore Size of Mesoporous Graphene in a Few Nanometer-Scale by Controlling the Interaction between Graphite Oxide Sheets," Electrochim. Acta, 290 496-505 (2018). 

  15. Y. Y. Liang, Y. G. Li, H. L. Wang and H. J. Dai, "Strongly Coupled Inorganic/Nanocarbon Hybrid Materials for Advanced Electrocatalysis," J. Am. Chem. Soc., 135 2013-36 (2013). 

  16. Y. Zheng, Y. Jiao, L. H. Li, T. Xing, Y. Chen, M. Jaroniec and S. Z. Qiao, "Toward Design of Synergistically Active Carbon-Based Catalysts for Electrocatalytic Hydrogen Evolution," ACS Nano, 8 5290-6 (2014). 

  17. X. D. Huang, Y. F. Zhao, Z. M. Ao and G. X. Wang, "Micelle-Template Synthesis of Nitrogen-Doped Mesoporous Graphene as an Efficient Metal-Free Electrocatalyst for Hydrogen Production," Sci. Rep., 4 7557 (2014). 

  18. Y. Zheng, Y. Jiao, Y. Zhu, L. H. Li, Y. Han, Y. Chen, A. Du, M. Jaroniec and S. Z. Qiao, "Hydrogen Evolution by a Metal-Free Electrocatalyst," Nat. Commun., 5 3783 (2014). 

  19. K. J. Kim and H. G. Ahn, "The Effect of Pore Structure of Zeolite on the Adsorption of VOCs and Their Desorption Properties by Microwave Heating," Microporous Mesoporous Mater., 152 [1] 78-83 (2012). 

  20. L. Yu, L. Wang, W. Xu, L. Chen, M. Fu, J. Wu and D. Ye, "Adsorption of VOCs on Reduced Graphene Oxide," J. Environ. Sci., 67 171-8 (2018). 

  21. J. H. Lee, M. G. Kang, I. K. Shim, D. H. Lee, A. R. Kim and H. Jung, "Pore Parameters-Dependent Adsorption Behavior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on Graphene-Based Material," J. Nanosci. Nanotechnol., 18 [10] 6995-7003 (2018). 

  22. H. J. Kim, J. H. Lee, and H. Jung, "Study on the carbamoyl phosphine oxide moiety functionalized mesoporous graphene for the removal of rare earth elements," J. Porus. Mat., 26 931-939 (2019) 

  23. B. J. Kwon, J. Y. Ku, K. H. Yu, J. E. Ko and H. Jung,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arbamoylphosphonate(CMPO) Silane Grafted on Various Mesoporous Silicas," J. Phys. Chem. Solids, 71 663-8 (2010). 

  24. G. E. Fryxell, H. Wu, Y. Lin, W. J. Shaw, J. C. Birnbaum, J. C. Lineban, Z. Nie, K. Kemner and S. Kelly, "Lanthanide selective sorbents: self-assembled monolayers on mesoporous supports (SAMMS)," J. Mater. Chem., 14 3356-63 (2004) 

  25. S. Han, D. Wu, S. Li, F. Zhang and X. Feng, "Porous Graphene Materials for Advanced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and Conversion Devices," Adv. Mater., 26 849-64 (2014). 

  26. R. Nankya, J. H. Lee, D. O. Opar and H. Jung, "Electrochemical Behavior of Boron-Doped Mesoporous Graphene Depending on its Boron Configuration," Appl. Surf. Sci., 489 552-9 (2019). 

  27. R. Marschall, "Semiconductor Composites: Strategies for Enhancing Charge Carrier Separation to Improve Photocatalytic Activity,"Adv. Funct. Mater., 24 2421-40 (2014). 

  28. P. Wardman, "Reduction Potentials of One-Electron Couples Involving Free Radicals in Aqueous Solution," J. Phys. Chem. Ref. Data, 18 1637-755 (1989). 

  29. S. N. Habisreutinger, L. Schidt-Mende and J. K. Stolarczyk, "Photocatalytic Reduction of $CO_2$ on $TiO_2$ and Other Semiconductors," Angew. Chem., Int. Ed., 52 7372-408 (2013). 

  30. P. V. Kamat, "Graphene-Based Nanoassemblies for Energy Conversion," J. Phys. Chem. Lett., 2 242-51 (2011). 

  31. S. W. Hong, A. R. Kim, J. H. Choi, H. Jung, and J. K. Park, "Intercalation of conjugated polyelectrolytes ${\odot}$ in layered titanate nanosheets for enhancement in photocatalytic activity," J. Solid State Chem., 269 291-6 (2019). 

  32. M. Myilsamy, M. Mahalakshmi, N. Subha, A. Rajabhuvaneswari and V. Murugesan, "Visible Light Responsive Mesoporous Graphene- $Eu_2O_3$ / $TiO_2$ Nanocomposites for the Efficient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4-Chlorophenol," RSC Adv., 6 35024-35 (201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