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욕부진을 주소로 내원한 노인 환자 증례 2례 - 복약력 확인 및 감염 관리의 중요성
Two Case Reports of Elderly Patients with Anorexia: the Importance of Confirming Medication and a Potential Infectious Disease 원문보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v.40 no.3, 2019년, pp.491 - 498  

주성희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간계내과교실) ,  안소연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간계내과교실) ,  허소영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간계내과교실) ,  장은경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간계내과교실) ,  김영철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간계내과교실) ,  이장훈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간계내과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put clinical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medical precautions, such as drug history and a possible infection, when treating elderly patients. Methods: We closely observed two elderly female patients aged 79 and 76 who had been hospitalized for the treatm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증례보고에서는 본과 외래 방문 후 입원치료를 진행한 식욕부진을 호소하는 노인 여성 환자 2명의 진료 과정을 통해 노인 환자 진료 시 복약력에 대한 확인과 감염 여부에 대한 확인의 중요성을 보고하고자 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eers Criteria란 무엇인가? Beers Criteria는 노인에서 부적절한 약물 사용을 방지하기 위해 고안된 의료지침11으로 서울 지역의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 환자 80명을 대상으로 Beers Criteria를 적용해 보았을 때 33%에서 잠재적으로 부적절한 처방이 이뤄지고 있었다2.노인에서 약물 유해 사례(adverse drug events)를 유발하는 흔한 약물의 범주로는 심혈관계 약물, 항생제, 이뇨제, 항응고제, 혈당강하제, 스테로이드,아편양 제제(opioid), 항콜린제, 벤조다이파제핀 그리고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등이 있으며12,13진료 시 이에 대한 주의가 요구된다.
노인의 요로감염의 특징은 무엇인가? 특히 요로감염은 노인에서 발생하는 가장 흔한 세균 감염6이며 패혈증을 유발하는 첫 번째 요인이다7. 노인의 요로감염은 대부분이 무증상 세균뇨이기 때문에 조기 진단이 어렵고 치료가 늦어지는 경우가 많은데 감염이 지속될 경우 패혈증이 발생해 사망까지 이어질 수 있으므로7 노인 환자 진료 시 항시 주의를 요하는 부분이다.
노인 환자 진료의 중요성이 커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노인 질환이 증가하면서 노인 환자 진료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한방 치료를 받기 위해 내원하는 노인 환자를 치료할 때 노인에서 발생하는 주 질환의 다양하고 비전형적인 질병 양상에 대한 전문적 이해뿐만 아니라 개별 노인의 생리적, 사회적, 심리적, 병적 요인에 대한 포괄적 고려가 선행되어야 한다. 특히 본 증례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노인 환자 진료시 65세 이상 노인에서 흔하게 관찰되는 다약제 복용 과정에서 야기될 수 있는 약물 부작용과 감염질환의 가능성을 고려하는 것 또한 임상 진료 현장에서 중요한 평가 요소라 할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Lee, Hyun Boc, Lee , Soo Yeon. Forecasting of Elderly Medical Expenditure and Its Implications for Health Insurance. 保險學會誌 = Korean insurance journal, vol.117, 43-68.

  2. Polypharmacy and inappropriate drug prescription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Lee 925 2008 

  3. Polypharmacy in older patients admitted to a general hospital Seo 133 2012 

  4. Factors associated with drug misuse behaviors among polypharmacy elderly Lee 554 2011 

  5. Kim 376 2008 

  6. Nicolle, L E. Urinary tract infections in the elderly.. Clinics in geriatric medicine, vol.25, no.3, 423-436.

  7. Infectious Diseases of the Elderly Lee 159 2001 

  8. Wehling, Martin. GUIDELINE‐DRIVEN POLYPHARMACY IN ELDERLY, MULTIMORBID PATIENTS IS BASICALLY FLAWED: THERE ARE ALMOST NO GUIDELINES FOR THESE PATIENT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vol.59, no.2, 376-377.

  9. Kaufman, David W, Kelly, Judith P, Rosenberg, Lynn, Anderson, Theresa E, Mitchell, Allen A. Recent patterns of medication use in the ambulatory adult population of the United States: the Slone survey.. JAMA :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vol.287, no.3, 337-344.

  10. 2012 

  11. Fick, Donna M., Semla, Todd P., Beizer, Judith, Brandt, Nicole, Dombrowski, Robert, DuBeau, Catherine E., Eisenberg, Woody, Epplin, Jerome J., Flanagan, Nina, Giovannetti, Erin, Hanlon, Joseph, Hollmann, Peter, Laird, Rosemary, Linnebur, Sunny, Sandhu, Satinderpal, Steinman, Michael. American Geriatrics Society 2015 Updated Beers Criteria for Potentially Inappropriate Medication Use in Older Adult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vol.63, no.11, 2227-2246.

  12. Gurwitz, Jerry H., Field, Terry S., Harrold, Leslie R., Rothschild, Jeffrey, Debellis, Kristin, Seger, Andrew C., Cadoret, Cynthia, Fish, Leslie S., Garber, Lawrence, Kelleher, Michael, Bates, David W.. Incidence and Preventability of Adverse Drug Events Among Older Persons in the Ambulatory Setting. JAMA :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vol.289, no.9, 1107-.

  13. Hajjar, Emily R., Hanlon, Joseph T., Artz, Margaret B., Lindblad, Catherine I., Pieper, Carl F., Sloane, Richard J., Ruby, Christine M., Schmader, Kenneth E.. Adverse drug reaction risk factors in older outpatients. The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harmacotherapy, vol.1, no.2, 82-89.

  14. Chan, M., Nicklason, F., Vial, J. H.. Adverse drug events as a cause of hospital admission in the elderly. Internal medicine journal, vol.31, no.4, 199-205.

  15. Huang, Jia-Qing, Sridhar, Subbaramiah, Hunt, Richard H. Role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nd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in peptic-ulcer disease: a meta-analysis. The Lancet, vol.359, no.9300, 14-22.

  16. García Rodríguez, Luis Alberto, Hernández-Díaz, Sonia. Risk of Uncomplicated Peptic Ulcer among Users of Aspirin and Nonaspirin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vol.159, no.1, 23-31.

  17. Antithrombotic Trialists' (ATT) Collaboration. Aspirin in the primary and secondary prevention of vascular disease: collaborative meta-analysis of individual participant data from randomised trials. The Lancet, vol.373, no.9678, 1849-1860.

  18. Rothwell, Peter M, Fowkes, F Gerald R, Belch, Jill FF, Ogawa, Hisao, Warlow, Charles P, Meade, Tom W. Effect of daily aspirin on long-term risk of death due to cancer: analysis of individual patient data from randomised trials. The Lancet, vol.377, no.9759, 31-41.

  19. Shim, Ki-Nam. Does Low Dose Aspirin Increase Gastrointestinal Bleeding?. 대한소화기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vol.59, no.4, 324-.

  20. Characteristics of Geriatric Diseases - Geriatric Syndrome Yoo 1073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