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 하수도의 개념을 소개하고, 2021년부터 2040년까지 우리나라 전역에 스마트 하수도가 구축되는 경우 그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는 것에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산업연관분석 모형을 이용한다. 분석 결과, 스마트 하수도 투자 사업을 통한 생산유발효과는 343조 7,330억원, 부가가치유발효과는 155조 8,675억원, 취업유발효과는 251만 8,470명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되어 스마트 하수도 사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는 상당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마트 하수도에 의한 사회후생의 증가는 환경개선과 국민건강 개선을 통하여 실현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빠른 시일 안에 스마트 하수도 사업에 대한 구체적인 Road map을 수립, 확정하고 예산을 투입하여 적극 추진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concept of the Smart Sewer System and to analyze the economic ripple effect when smart sewer is built all over Korea. The research method is the input-output model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smart sewerage will be constructed throughout the Korea f...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로서는 국가 차원에서 스마트 하수도 사업의 구체적인 계획이 없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하수도 시설을 30년 동안 전국에 걸쳐 구축한다는 가정 하에 스마트하수도 구축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하수도의 개념을 소개하고, 2021년부터 2040년까지 우리나라 전역에 스마트 하수도를 구축할 때, 그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는 것에 있다.
  • 본 논문에서 스마트 하수도는 수세분뇨의 공공하수관로직투입으로 인한 하수처리시설의 용량확대 등 개선, 공공수역 수질보전을 위한 CSOs 대책시설 투자에 관한 범위를 제외하고 수세분뇨의 직접투입으로 인한 하수관로의 악취를 개선하기 위해 관로 내에 스마트기술을 적용하는 사업으로 범위를 정의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정의하면, 하수관로 내에 유속, 유량, 수위, 황화수소(하수도 악취의 대표물질)를측정하는 센서를 설치하고 이 센서들을 통해 서버(server)로 수집된 악취유발정보를 분석하여 해당관로의 상류부에 미리 설치해둔 저류조의 수문을 자동 개폐하도록 제어하여 하수관로를 상당량의 물로 세정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 본 논문에서는 산업연관분석 모형을 이용하여 스마트 하수도 구축이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분석한다. 스마트 하수도가 전국적으로 구축되면 경제적으로는 시설투자가 이루어지고, 이는 해당산업의 최종수요인 투자 증가로 이어질 것이다.
  • 스마트하수도 공공사업이 국가적 관점에서 타당한가를 검토하기 위해서는 사업에 대한 경제성 분석을 수행하여야 된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하수도 사업에 대한 경제성 분석의 기초작업으로서 경제적 파급효과에 대하여 검토한다. 현재로서는 국가 차원에서 스마트 하수도 사업의 구체적인 계획이 없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하수도 시설을 30년 동안 전국에 걸쳐 구축한다는 가정 하에 스마트하수도 구축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한다.
  • 이상과 같은 스마트 하수도 투자는 경제 내 최종수요를, 최종수요 증가는 생산, 부가가치, 취업자 수 등을 증가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가용한 최근 년도 실측표인 2015년 생산자가격표를 이용하여 스마트 하수도 투자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한다.
  • 본 절에서는 스마트 하수도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구축 기간 전체의 효과와 연도별 효과를 분석한다[16].

가설 설정

  • 우리나라 단독주택과 공동주택의 수를 고려하여 산정한 저류조의 수는 355,828개소가 된다.3) 저류조를 구축하려면 부지가 필요한데 부지면적은 소요면적(3.6㎡)의 약 2배로 가정하여 2평으로 가정한다.4)
  • 기초자치단체별로 공공하수도관리청은 1개소를 두고 총괄운영센터의 경우 시에는 5개소가 군과 구에는 10개소의 센터를 구축하는 것을 가정한다. 관리청과 센터에는 1대의 서버가 있으며 일정 수의 관리직원이 시스템을 운영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 셋째, 스마트 하수도는 사물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므로 실시간으로 하수도의 유량, 유속 수위 등을 감지하고 문제 발생 시 조치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별로 공공하수도관리청과 총괄운영센터의 운영이 필요하다. 기초자치단체별로 공공하수도관리청은 1개소를 두고 총괄운영센터의 경우 시에는 5개소가 군과 구에는 10개소의 센터를 구축하는 것을 가정한다. 관리청과 센터에는 1대의 서버가 있으며 일정 수의 관리직원이 시스템을 운영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 우리나라 하수도총연장은 143,168㎞이므로 센서는 1,431,689개가 소요된다. 센서를 하수관거 100m 당 1개씩 설치하기 위하여 도로를 파헤치고 설치하는 과정에서 비용이 소요되는데 하수관거 1m를 설치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과 같은 수준이 소요된다고 가정한다.2)
  • 스마트 하수도 구축을 위한 부문별 투자는 2021~40년 기간 동안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가정한다. Table 3에는 스마트 하수도시스템을 저류조와 하수관로의 센서 및 시스템을 통제하는 행정부문에 대한 투자로 구분하여 정리되어 있다.
  • 스마트 하수도의 핵심 구성요인은 하수관로의 센서와 저류조 및 공공하수도를 관리하는 스마트 하수도 운영센터이다[11]. 스마트 하수도를 구축하는 사업은 장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데본 논문에서는 2021년부터 시작하여 2040년에 종료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스마트 하수도 구축을 위한 투자비용을 위하여 전제가 되는 조건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가정한다.
  • 둘째, 저류조에 대한 가정은 다음과 같다. 잡배수 저류조는 단독주택의 경우 100가구 당 1개소를, 공동주택의 경우 1개동 별로 설치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저류조의 크기는 수평단면적 6㎡, 수심 2m(용적 12㎥)로 가정한다.
  • 잡배수 저류조는 단독주택의 경우 100가구 당 1개소를, 공동주택의 경우 1개동 별로 설치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저류조의 크기는 수평단면적 6㎡, 수심 2m(용적 12㎥)로 가정한다. 우리나라 단독주택과 공동주택의 수를 고려하여 산정한 저류조의 수는 355,828개소가 된다.
  • 투자증가는 후방연쇄효과를 통하여 생산액과 부가가치를 증가시키고 일자리를 창출시키는 효과를 유발할 것이다. 현재 시점에서 스마트 하수도 시설투자규모가 구체적으로 결정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스마트 하수도를 전국에 구축한다는 가정 하에 스마트 하수도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할 것이다.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하수도 사업에 대한 경제성 분석의 기초작업으로서 경제적 파급효과에 대하여 검토한다. 현재로서는 국가 차원에서 스마트 하수도 사업의 구체적인 계획이 없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하수도 시설을 30년 동안 전국에 걸쳐 구축한다는 가정 하에 스마트하수도 구축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하수도의 개념을 소개하고, 2021년부터 2040년까지 우리나라 전역에 스마트 하수도를 구축할 때, 그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는 것에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마트 하수도란? 이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화조를 없애고 주방오물분쇄기를 적용하여 수세분뇨와 주방오물의 공공하수관로 직접 투입이 필요한데, 이를 위한 새로운 개념의 하수관로가 스마트 하수관로이다. 스마트 하수도는 결국 실시간 사물인터넷 모니터링 시스템이라고 말할 수 있다.
주거환경 문제 중 하수도와 밀접하게 관련된 것은? 주거환경 문제 중 하수도와 밀접하게 관련된 것은 정화조 존치로 발생되는 악취, 음식물 찌꺼기 수거로 인한 생활환경 문제이다. 이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화조를 없애고 주방오물분쇄기를 적용하여 수세분뇨와 주방오물의 공공하수관로 직접 투입이 필요한데, 이를 위한 새로운 개념의 하수관로가 스마트 하수관로이다.
생활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주거환경 문제 중 하수도와 밀접하게 관련된 것은 정화조 존치로 발생되는 악취, 음식물 찌꺼기 수거로 인한 생활환경 문제이다. 이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화조를 없애고 주방오물분쇄기를 적용하여 수세분뇨와 주방오물의 공공하수관로 직접 투입이 필요한데, 이를 위한 새로운 개념의 하수관로가 스마트 하수관로이다. 스마트 하수도는 결국 실시간 사물인터넷 모니터링 시스템이라고 말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