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진강 수계에서 생태 교란어종(큰입배스, 불루길)의 분포에 대한 물리적 서식지 및 화학적 수질 특성
Physical habitat and chemical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on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ecologically disturbing fish (Largemouth bass and Bluegill) in Dongjin-River Watershed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7 no.2, 2019년, pp.177 - 188  

강유진 (충남대학교 생명시스템과학대학 생물과학과) ,  이상재 (전북지방환경청) ,  안광국 (충남대학교 생명시스템과학대학 생물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동진강 수계에서 외래 교란어종(큰입배스와 블루길)에 대한 물리적 서식지 및 화학적 수질특성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큰입배스(Micropterus salmoide)와 불루길(Lepomis macrochirus) 각각 어종에 대한 우점 지역(출현 지역)과 비출현 지역을 구분하였고, 수 화학(Water chemistry) 및 어류서식지 특성(하상구조 등)에 대한 상관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두 교란어종의 상대 풍부도는 BOD, PO4-P 및 pH의 수질이 악화됨에 따라 크게 감소하였으나, NO3-N 및 전기전도도에 따른 풍부도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블루길은 동진강 수계의 우점 지역(출현지역)과 비출현 지역 두 지역 사이에 서식지 구조적 측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큰입배스는 두 지역 간의 비교군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고, 특히, 실트, 자갈, 암반과 같은 하상구조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동진강에서 우점종은 피라미(14.6%), 불루길(14.0%) 및 큰입배스(9.8%)로서 나타났다. 즉, 외래 생태교란종이 전체 개체수의 24%를 차지하여, 동진강 수계는 외래종의 분포는 유기물 오염 및 영양염(P) 오염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two exotic disturbing fish species (largemouth bass, Micropterus salmoides and bluegill, Lepomis macrochirus), their physical habitat features, and chemical water qualities from 13 sites of Dongjin River. The relationships bet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동진강 수계에서 외래 교란어종 (큰입배스와 블루길)에 대한 물리적 서식지 및 화학적 수질 특성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큰입배스 (Micropterus salmoide)와 불루길(Lepomis macrochirus) 각각 어종에 대한 우점 지역(출현 지역)과 비출현 지역을 구분하였고, 수 화학(Water chemistry) 및 어류서식지 특성(하상구조 등)에대한 상관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금강 동진강 수계의 본류와 지류에서 13개의 지점을 대상으로 어류를 정량채집을 실시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이화학적 수질 특성을 분석하였고, 생태계교란어종인 큰입배스와 블루길의 분포 및 생태특성을 분석하였고, 이들 교란종 서식지의 이·화학적 수질 자료와 서식 분포 특성 간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향후 외래종의 개체군 변동 및 확산 등의 관리 방안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큰입 배스는 국내에 어떤 목적으로 도입되었는가? 국내에서 서식하는 블루길(Lepomis macrochirus)과 큰입 배스(Micropetrus salmoides)는 북미가 원산지인 담수어로서 내수면 자원 증대 등을 목적으로 국내에 도입된 후 우리나라 하천 및 호수 생태계에서 급격하게 증가하여 종 다양성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의 정수생태계(자연호, 인공댐, 저수지) 및 유수생태계(강, 하천)에서의 확산속도가 1980년대 이후 급격히 빨라졌고, 이에 따라 심각한 생태계 교란을 일으켜 국가에서 퇴치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큰입배스의 섭식 특징은? 2012). 큰입배스는 대형 육식어종으로 수중먹이연쇄에서 최상위 포식자이고, 포식압(Predation pressure)이 매우 강해 어류, 양서류, 갑각류 등 다양한 먹이를 섭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im et al. 2013).
우리나라의 정수 생태계 및 유수 생태계에서 블루길이 급증한 시기는 언제인가? 국내에서 서식하는 블루길(Lepomis macrochirus)과 큰입 배스(Micropetrus salmoides)는 북미가 원산지인 담수어로서 내수면 자원 증대 등을 목적으로 국내에 도입된 후 우리나라 하천 및 호수 생태계에서 급격하게 증가하여 종 다양성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의 정수생태계(자연호, 인공댐, 저수지) 및 유수생태계(강, 하천)에서의 확산속도가 1980년대 이후 급격히 빨라졌고, 이에 따라 심각한 생태계 교란을 일으켜 국가에서 퇴치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따라서 정부에서는 이들을 생태계교란야생동·식물로 지정하였고,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외래종생태계위해성평가제도, 외래종 관리 데이터베이스의 구축, 관련 학제적 교류, 대국민 홍보와 인식의 개발을 통한 사전 예방적 관리제도의 개발, 범부처가 공동 참여하는 생태계교란종 관리 협력체계 구축 등의 생태계교란종 통합관리 방안을 제시하여 집중관리 하고 있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yon HK and SR Jeon. 1997. Feeding habit of Bluegill, Lepomis macrochirus introduced in Korea. Korean J. Environ. Biol. 15:165-174. 

  2. Han JH and WK Paek. 2016. Water chemistry characteristics and fish fauna of Sodo stream watershed in Taebaeksan Provincial Park. Korean J. Environ. Ecol. 30:71-80. 

  3. Hur JW, HS Kang and MH Jang. 2011. Investigation on physical habitat condition and fish fauna in Dal stream of Han River Basin. J. Korean Soc. Environ. Eng. 33:564-571. 

  4. Kim HM, JH Kil, EH Lee and KG An. 2013.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largemouth bass (Micropterus salmoides) as an exotic species, in some medium-to-large size Korean reservoirs and physico-chemical water quality in the habitats. Korean J. Limnol. 46:541-550. 

  5. Kim IS and JY Park. 2002. Freshwater Fishes of Korea. Kyohak Press, Seoul. 

  6. Kim IS and WO Lee. 1984. Effects of stream modification in the Seomjin River on the fish communities of the Dongjin River in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17:549-556. 

  7. Kim JR and CL Lee. 2001. Ichthyofauna and fish community from Dongjin River system, Korea. Korean J. Limnol. 42:39-47. 

  8. Kim YP, EH Lee and KG An. 2009. Ecological health assessment of Dongjin River based on chemical measurement and fish assemblage analysis. Korean J. Limnol. 42:183-191. 

  9. Ko MH, JY Park and YJ Lee. 2008. Feeding habits of an introduced large mouth bass, Micropterus salmoides (Perciformes; Centrachidae), and its influence of ichthyofauna in the Lake Okjeong, Korea. Korean J. Ichthyol. 20:36-44. 

  10. Lee HW and SS Park. 2009. Trend analysis of water quality in Dongjin River Watershed. Korean J. Limnol. 42:39-47. 

  11. Lee JW, JH Kim, SH Park, KR Choi, HJ Lee, JD Yoon and MH Jang. 2013. Impact of largemouth bass (Micropterus salmoides) on the population of Korean native fish, crucian carp (Carassius auratus). Korean J. Environ. Biol. 31:370-375. 

  12. Lee KB, CH Kim, DB Lee, JG Kim and CW Park. 2004. The flora and vegetation of the Dongjin River. Korean J. Environ. Agric. 23:33-40. 

  13. Lee WO, H Yang, SW Yoon and JY Park. 2009. Study on the feeding habits of Micropetrus salmoides in Lake Okjeong and Lake Yongdam, Korea. Korean J. Ichthyol. 21:200-207. 

  14. Margalef R. 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eration System 3:36-71. 

  15. Moon WK, JH Han and KG An. 2010. Fish fauna and community analysis on Heuck Stream Watershed. Korean J. Limnol. 43:69-81. 

  16. Park JY, SH Kim, MH Ko, MK Oh and JC Shin. 2009. Change of ichthyofauna and fish community on natural stream restoration in Jeonju-Chon stream, Jeollabuk-do, Korea. Korean J. Environ. Ecol. 23:381-391. 

  17. Pielou EC. 1975. Ecological Diversity. Wiley, New York. p. 165. 

  18. Sanders RE, RJ Miltner, CO Yoder and ET Rankin. 1999. The use of external deformities, erosion, lesions, and tumors (DELTanomalies) in fish assemblages for characterizing aquatic resources: a case study of seven Ohio streams. pp. 225-246. In Assessing the Sustainability and Biological Integrity of Water Resources using Fish Communities. CRC press, Boca Raton, Florida. 

  19. Shannon CE and W Weaver.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20. Simpson EH. 1949. Measurement of diversity. Nature 163:688. 

  21. Son YM and HB Song. 2006. Freshwater fishes of Geum River, Korea. Jisung Press, Seoul. 

  22. Song HB, MS Byeon, DW Kang, CY Jang, JS Moon and HK Park. 2012. Population structure of bluegill, Lepomis macrochirus in Lakes of the Han River System, Korea. Korean J. Ichthyol. 24:278-286. 

  23. Strahler AN. 1957. Quantitative analysis of watershed geomorphology. Eos. Trans. AGU 38:913-920. 

  24. Wentworth CK 1922. A scale of grade and class terms for clastic sediments. J. Geol. 30:377-392. 

  25. Woo HS. 2004. River Hydraulics. Cheongmoongak publishing, Seoul. pp. 362-363. 

  26. Yoon JD, JH Kim, SH Park and MH Jang. 2018. The distribution and diversity of freshwater fishes in Korean Peninsula. KJEE 51:71-85. 

  27. Yoon SJ, JK Choi and HG Lee. 2014. Comparison of fish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by substrate structure in the 4 streams. Korean J. Environ. Ecol. 28:302-31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