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Flanders의 언어 상호작용 분석법을 활용한 가정과 예비교사의 수업 분석
An Analysis of Interaction Types in Home Economics Pre-service Teacher's Instruction Using Advanced Flanders Verbal Interaction Analysis Method 원문보기

韓國 家政科敎育學會誌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v.31 no.1, 2019년, pp.39 - 58  

양지선 (이화여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교육실습 동안 가정과 예비교사의 수업 상황에서 언어 상호작용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4명의 가정과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수업참여 관찰을 한 이후 녹화된 자료를 AF 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과 예비교사의 언어 상호작용을 항목별로 살펴보면 교사의 '강의', '비언어적 상황', 교사의 '질문'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학습자의 '긍정적인 학습 분위기 조성', '칭찬이나 격려' 항목에서는 빈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학습자에게 '지시' 혹은 '학생 비판이나 교사의 권위를 정당화'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둘째, 수업 상호작용의 형태는 '교사의 질문-학생의 반응적인 발언' 혹은 '강의-질문'의 형태로 나타났으며 마지막 수업에서는 '교사의 질문-학생의 주도적인 발언', '강의-교사의 질문-칭찬이나 격려, 학생의 아이디어 수용 및 활용'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업에서 지수 경향은 전체적으로 비지시적인 경향을 띠며, 학습자의 발언에 허용적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질문비가 높고 첫 수업에서 학생의 발언비와 넓은 답변비는 낮게 나타났으나 마지막 수업에서는 높게 나타났다. 넷째, 전문가 분석에서 수업 운영에 대한 질문과 확산형 질문이 증가하였으며 교사는 학생들의 학습활동을 안내하고 학생들은 교사의 질문에 대하여 확산적인 사고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예비교사들이 교과 지식의 전달을 촉진하고 학생과 적극적인 언어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도록 자기수업 분석과 함께 현장에서의 적극적인 지원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ome economics pre-service teachers' verbal interactions during their teaching practicum. For this purpose, the class interactions of four pre-service teachers were record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dvanced Flanders' verbal interaction analy...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언어 상호작용이란? ‘언어 상호작용’이란 수업 중 교사와 학습자 간에 발생하는 상호작용 중 언어를 통해 이루어지는 모든 상호작용을 의미한다. 교사와 학습자가 서로 질문하고 대답하는 상호작용 외에도 강의나 지시와 같이 교사가 학습자에게 일방적으로 제시하는 발언 또한 언어 상호작용에 포함된다.
Cho가 수업 분석에서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을 함께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한 이유는? 즉, 관찰자로 하여금 미리 준비된 관찰 도구와 방법 및 절차에 의해 교사의 행동, 학생의 행동,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 수업 전개 양태, 자료의 활용 등 수업 에서 일어나는 사실을 체계적으로 기록하여 수업 전반을 이해할 수 있다. Cho(1999)는 교실 내 수업은 수업의 내용뿐만 아니라 비언어적, 언어적 단서와 의사소통을 포함한 교사와 학생 사이의 상호작용 속에서 수업목표에 도달하기 때문에 이러한 과정을 수업 참여과정이라고 보고 수업 분석에서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을 함께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하였다. 이러한 형태적 분석은 최근 변화하고 발전된 수업형태를 수용하고 다양한 변인을 기록하거나 교사와 학생 간의 비언어적 행위와 학생과 학생 사이의 언어 상호작용 분석에는 제한적이며 무엇보다 분석에 있어 관찰자의 시간과 노력이 상당히 요구된다.
본 연구는 교육실습 기간 중 가정과 예비교사의 수업에서 언어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한 수업형태를 살펴보는 이유는 무엇인가? 언어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들은 과목별로 사회과(Cheon, 2005; Kang, 2014), 수학과(Kim & Kim, 2013; Lee & Lee, 2014), 체육과(Kwak, Joo, & Bae, 2017)에서 이루어졌으며, 교사의 변인 차이를 비교한 연구(Kwon & Choi, 2013; Sin, 2014)를 비롯하여 수업컨설팅 지원을 위한 관찰과 분석 프로그램을 개발한 연구(Baek & Kim, 2015; Chun, Lee, & Jeon, 2017; Kang, 2005) 등 교수 능력의 개선에 초점을 맞추는 연구들로 다양하게 수행되었으나 가정과에서는 이러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교실 내 상호작용은 교육적 목적을 성취하는데 필수적인 수단이며 적절한 방법이 실행되기 위해서는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지식뿐만 아니라 학생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특히 교사발달 시기 중 초기 단계일수록 무엇을 가르치고 얼마나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한 충분한 정보가 부족한 편이고(McMillan, 2014), 초임 교사의 경우 자기 장학이 교수 기술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Kim, 2004). 이러한 측면에서 언어 상호작용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수업에서 예비 교사들의 교실 내 상호작용에 대한 효과적인 분석은 타당성 있는 피드백을 제공하는 순환적 과정을 통해 교사의 성장에 기여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Baek, J. E., & Kim, K. H. (2010). Analysis of Flanders' verbal instruction type on excellent class in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 79-98. 

  2. Baek, J. E., & Kim, K. H. (2015). Design and development of the verbal interaction analysis program for supporting teaching consult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8(1), 1-12. 

  3. Bales, R. F. (1950). Interaction process analysis: A method for the study of small group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 Blosser, P. E. (2000). How to ask the right questions. Arlington, VA: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5. Byun, Y. K., & Lee, S. S. (2003). 수업설계 [Instructional design]. Seoul: Hakjisa. 

  6. Cheon, H. S. (2005). A study of the method of the classroom activities analysis in social studies: Focusing on observation, lesson recording, view of analysis. Theory and Research in Citizenship Education, 37(3), 231-253. 

  7. Cho, Y. D. (1999). Participation structures in secondary economic education of Korea. Theory and Research in Citizenship Education, 29, 193-225. 

  8. Chun, S. Y., Lee, O. H., & Jeon, M. A. (2017). Analysis of teachers' teaching effectiveness by utilizing the ICALT observation tool.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3(2), 517-536. doi:10.17232/KSET.33.2.517 

  9. Chung, M. K., & Kim, K. H. (2006). Development on instructional analysis program for improvement of teacher's instructional profess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0(3), 371-384. 

  10. Danielson, C., & McGreal, T. L. (2000). Teacher evaluation to enhance professional learning. Princeton, NJ: Educational Testing Service. 

  11. Flanders, N. A. (1970). Analyzing teaching behavior. MA: Addison Wesley. 

  12. Gagne, R. M., & Briggs, L. J. (1979). Principles of instructional design(2nd ed.). NY: Holt. Rinehart, & Winston. 

  13. Imm, C. B., & Lee, H. J. (2006). 수업 전문성 일반 기준과 활용 방안 [General standard of instruction professionalism and utilization plan]. Jincheon: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14. Imm, C. B., Lee, H. J., Choi, S. H., Oh, E. S., Lee, K. E., Lee, S. J.,...Kwon, S. D. (2006). 수업평가 기준 개발 연구 (III) [Development of evaluation standards for instruction III]. Jincheon: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15. Kang, C. S. (2014). Observation and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verbal interaction in the social studies class. Research in Social Studies Education, 21(3), 67-83. 

  16. Kang, S. C. (2005). Developing the online system for observing the instruction to improve Flanders' linguistic interaction analysis method. Korea Association of Educational Information & Media, 11(2), 243-267. 

  17. Kim, K. H. (2004). The effects of computer assisted self-supervision on the improvement of teaching skill and teaching efficacy for beginning teachers.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1(1), 53-85. 

  18. Kim, K. H. (2009). 수업의 새로운 발견: AF 분석 따라잡기 [New discovery of instruction: emulate AF analysis]. 2009 경기도 초등수업분석 연구회 하계연수자료. 

  19. Kim, S. M., & Kim, M. H. (2013). Case studies for consulting of elementary mathematics teaching based on Flanders's interaction analysis category system.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16(3), 211-227. doi:10.7468/jksmec.2013.16.3.211 

  20. Kramsch, C. J. (1987). Foreign language textbooks' construction of foreign reality. The Canadian Modern Language Review, 44, 95-119. 

  21. Kwak, E. C., Joo, B. H., & Bae, K. B. (2017). An analysis on the verbal interaction of advanced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middle school.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6(2), 289-301. doi:10.23949/kjpe.2017.03.56.2.20 

  22. Kwon, G. D., & Choi, M. S. (2013). A comparison study between excellent classes & regular classes of elementary schools using the Flanders interaction analysis system. The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22(2), 37-51. 

  23. Lee, E. H., & Park, I. W. (2017). A Conceptual analysis on instructional coaching, instructional supervision, and instructional consulting.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3(1), 105-135. doi:10.17232/KSET.33.1.105 

  24. Lee, H. G. (2008). 수업, 비평의 눈으로 읽다 [Class, read with critical eyes]. Seoul: Uri Education. 

  25. Lee, H. J., Oh, S. C., & Hong, S. J. (2006). A study on plan for activation of instructional consulting. Study on Open Education Implementation, 10, 33-63. 

  26. Lee, Y. G., & Lee, J. K. (2014). Analysis on gifted class in mathematics using Flanders category system.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4(5), 512-523. doi:10.5392/JKCA.2014.14.05.512 

  27. McGraw, F. M. (1965). The use of 35mm: Time lapse photography as a feedback and observation instrument in teacher education.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28. McMillan, J. H. (2014). Classroom assessment: principles and practice for effective standards-based instruction, 6th Edition. Pearson Education. 

  29. Richards, J. C., & Lockhart, C. (1996). Reflective teaching in second language classroom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0. Sin, J. H. (2014). An analysis of differences between preservice teachers and career teachers of instructional form using Flanders interaction analysis method. The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17(3), 115-137. 

  31. Tuckman, B. W. (1976). Feedback and the change process. Phi Delta Kappan, 57(5), 341-344. 

  32. Withall, J. (1949). The development of a technique for the measurement of social-emotional climate in classrooms.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 17, 347-361.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