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urcell effect를 고려한 OLED 광학 시뮬레이션 동향 원문보기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 Information display, v.20 no.5, 2019년, pp.3 - 6  

오준식 (강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김성근 (경희대학교 정보디스플레이학과)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2] 그런데 OLED 광학 해석 기술에 Purcell effect를 고려하여 계산하는 것에 대한 연구가 약 10년 전부터 활발히 진행되어왔으며, 지금은 발전 단계에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4~6] 그러면 위에서 언급한 Purcell effect가 무엇이고 이 effect에 대한 연구 history, 그리고 EQE를 계산하는데 어떤 형태로 고려되는 것이 타당한 지에 대해 살펴보려 한다.
  • 앞 장에서 Purcell effect의 영향과 이를 고려한 식들을 살펴보았고 최종적으로 Purcell effect가 고려된 EQE 식을 도출하고자 하는데 그전에 광학 효율을 계산하는 입장에서 Purcell effect 어떻게 고려해야 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7] 이 논문에서 형광 분자 (europium dibenzoylmethan complex)가 mirror 위에 놓여 지면 형광의 시야각분포와 lifetime이 변한다는 것이었다 (그림 3 및 그림 4[7]). 이와 같은 현상에 대해 최초에 형광분자로부터 위로 출발한 빛과 아래로 출발하여 반사한 빛들 과의 간섭 현상으로 시야각 분포가 발생하는 것으로 설명하였고 또한 이 intensity를 적분함으로써 형광 분자와 mirror 사이의 거리에 따른 lifetime 변화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는 광원이 멀리 놓였을 때는 비교적 잘 맞지만 광원에 가까워지면 잘 안 맞는 결과가 나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J. S. Oh et al, SID2002 Digest, 1271 (2002). 

  2. B. C. Krummacher et al, Organic Electronics, 10, 478 (2009). 

  3. E. M. Purcell, Phys. Rev., 69, 681 (1946). 

  4. H. Cho, J. Chung, J. Song, J. Lee, H. Lee, J. Lee, J. Moon, S. Yoo and N. S. Cho, Opt. Express, 27, 11057 (2019). 

  5. W. Brutting, J. Frischeisen, T. D. Schmidt, B. J. Scholz and C. Mayr, Phys. Status Solidi, A210, 44 (2013). 

  6. M. Furno, R. Meerheim, S. Hofmann, B. Lussem and K. Leo, Phys. Rev., B 85, 115205 (2012). 

  7. K. H. Drexhage, J. Lumin., 1-2, 693 (1970). 

  8. R. R. Chance, A. Prock and R. Silbey, J. Chem. Phys., 60, 2744 (1974). 

  9. K. A. Neyts, J. Opt. Soc. Am., A15, 962 (1998).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