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분열된 규정, 일관된 방향 : 과학기술기본법의 제정과 그 결과, 1998-2015
Rules in Disarray, Orientation Imposed: Establishment of the Framework Act on Science and Technology, 1998-2015 원문보기

科學技術學硏究 = Journal of science & technology studies, v.19 no.2, 2019년, pp.41 - 83  

유상운 (서울대학교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

초록

정부 부처별로 제각각 시행되어온 국가연구개발사업들을 종합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한다는 취지하에 (가칭)국가연구개발특별법의 제정이 최근 논의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이와 유사한 목적으로 2001년에 제정된 과학기술기본법의 입법 과정을 분석한다. 특히 제정 이전에 제안됐던 다양한 법안들이 경쟁하는 과정에서 주요 쟁점은 무엇이었으며, 반대로 논쟁없이 수용된 요소는 무엇이었는지를 주목함으로써,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주장을 제시할 것이다. 첫째, 각 부처별 국가연구개발사업들의 역사를 고려할 때, 범부처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단일 규정을 마련하고자 하는 시도는 자칫 정반대의 결과를 낳을 수 있다. 둘째, 과학기술기본법의 제정은 비록 범부처적 관리 규정의 마련으로 이어지지 못했지만, 제정 과정에서 논쟁없이 도입된 "국가경쟁력(national competitiveness)"과 "국가혁신체제(national innovation system)"라는 개념은 국가연구개발사업들에 어떤 일관적인 방향성을 부여하고 있다. 과학기술기본법의 입법 사례는 (가칭)국가연구개발특별법의 입법을 둘러싸고 진행 중인 현재의 논의들이 앞으로 어떻게 전개될지를 어렴풋하게나마 가늠하고, 더 나아가 우리가 간과했던 논점이 무엇이었는지를 성찰할 수 있는 창이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the establishment of the Special Act on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tentatively named) has been discussed with the aim of providing a legal basis for the comprehensive management of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programs, which have thus far been independently implemented by go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대해 과기부는 기본법의 목적 중 생태 환경의 개선이란 항목을 삭제하고, “과학기술발전을 위한 기반을 조성하여 과학기술을 혁신하고 국가경쟁력을 향상함으로써 국민경제를 발전시키고 나아가 국민의 삶의 질 향상과 인류사회의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삼았다(과학기술부, 2000a: 5). 결과적으로 이전 법안들에서 제시됐던 기본법의 다양한 목적들이 상당수 탈락하고 국가경쟁력 향상이라는 가치가 기본법의 주요 목적으로 제시됐다.
  • 적어도 지난 20여 년간 “국가연구개발사업에 관하여 종합적인 기준을 담고 있는 법률” 내지는 “국가연구개발 혁신의 방향성과 철학을 담고 있는 법률”은 끊임없이 강구돼왔다. 본 논문은 기본법의 제정 과정에서 발생한 논쟁을 분석함으로써, 범부처 국가연구개발사업들에 적용될 수 있는 종합적인 기준을 담고 있는 법률을 마련하고자 하는 노력이 어떤 결과로 이어졌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국내 연구개발 활동을 방향지을 수 있는 어떤 특정한 전제들이 어떻게 마찰없이 수용될 수 있었는지를 살펴봤다. 국내 모든 국가연구개발사업들에 적용될 수 있는 계획, 관리, 평가 방식을 마련하고자 했던 시도는 정반대로 국가연구개발사업들에 대한 부처별 관리 체계가 더욱 정교화되고 강화되는 결과로 이어졌다.
  • 본 논문의 목적은 기본법의 입안 과정에서 제안된 다양한 법안들을 복원하고, 이후 합의를 거쳐 마련된 최종안을 분석함으로써, 현재 국가연구개발특별법의 제정을 둘러싼 논의들이 앞으로 어떻게 전개될지를 어렴풋하게나마 가늠하고, 더 나아가 우리가 간과했던 논점이 무엇이었는지를 되돌아보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목적과 관련하여 기본법이 제정되던 1990년대 말 국가 연구개발체계를 둘러싼 당시의 맥락이 국가연구개발특별법의 입법과 관련한 현재의 문제의식에 있는 그대로 적용될 수는 없다는 점을 특별히 유의할 필요가 있다.
  • 이를 위해 본 논문의 2절에서는 기본법의 제정 과정을 분석한 사전연구들뿐만 아니라, 국가연구개발사업이 시행되기 시작한 1980년대부터 기본법이 제정된 2000년대까지 과학기술정책을 분석한 연구들을 살펴봄으로써 기본법의 제정 과정을 보다 폭넓은 한국 과학기술정책의 역사적 맥락 속에서 이해하고자 한다. 이어서 3절과 4절에서는 각각 민주당과 과기부에 의해 서로 다르게 제안된 초안들을 차례로 분석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포터(Michael Porter)는 1990년 국가경쟁력이란 개념을 제안함으로써 이루고자 한 것은 무엇인가? 레이건 행정부의 산업경쟁력 위원회(Commission on Industrial Competitiveness)에서 위원장을 역임하면서 한국, 일본, 독일 등을 비롯한 여러 국가들의 산업정책을 조사했던 포터(Michael Porter)는 1990년 국가경쟁력이란 개념을 처음으로 제안했다. 그는 한국과 일본의 희소한 자원, 독일의 높은 노동 임금 등과 같이 열악한 조건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어떻게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었는가를 물으며, 국가 내 기업의 생산성과 그러한 생산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국가적 환경을 묶어 국가경쟁력이라 정의함으로써 답하고자 했다. 포터는 가장 이상적인 사례로 일본을 들면서, 정부가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모든 분야에 대한 고른 투자보다는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이 있는 산업군을 집중적으로 투자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Porter, 1990).
지식정부란 무엇인가? 15) 『2025 장기비전』은 국가혁신시스템의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을 제안하는 과정에서 OECD의 여러 보고서에 크게 의존했다. 정책 제안의 첫 장에서 “지식정부란 기업이 국내자원과 능력을 최대한으로 활용해 세계시장에서 경쟁력을 향상시키도록 지원하는 협력자”라는 OECD의 1996년 보고서를 인용한 『2025 장기비전』에서 프라스카티 매뉴얼(Frascati Manual) 등과 같은 OECD의 권고 기준들은 여러 정책 방향들의 주요 근거로 제시됐다(과학기술부, 1999).16) 물론, 이러한 측면들이 과기부가 OECD로부터 영향을 받은 결과인지, 혹은 반대로 과기부가 스스로의 논리를 정당화하기 위해 OECD의 표준화된 지표들을 동원한 결과인지는 현재 단계에서 확인할 수 없지만, 이 두 가지 가능성 모두에 대해서 당시 OECD의 기준이 국내 과학기술정책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데 정당한 근거로 작용하고 있었다는 점에서는 차이가 없을 것이다.
새정치국민회의 정책위원회가 과학기술법령정비 정책기획단을 발족하고 과학기술기본법을 마련한 취지는 무엇인가? 이로부터 약 20년 전인 1998년, 이와 매우 유사한 형태의 움직임이 있었다. 정부 부처별로 제각각 진행되고 있던 국가연구개발사업들을 통합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법적 토대를 마련한다는 취지로 새정치국민회의 정책위원회는 “과학기술법령정비 정책기획단”을 발족하고 과학기술기본법(이하 기본법)을 마련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이들은 “21세기 과학기술을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전개되고 있는 시점”에서 기본법의 제정을 통해 “각 부처에서 시행되고 있는 과학기술 관련 법령들을 국가적 역량의 총결집이라는 시각에서 재정비”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새정치국민회의, 1998: 13; 새정치국민회의, 1999: 2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