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남해에서 분리한 와편모조류 Alexandrium affine의 생장에 미치는 수온, 염분 그리고 광량의 영향
The Effect of Temperature, Salinity and Irradiance on the Growth of Alexandrium affine (Dinophyceae) Isolated from Southern Sea of Korea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25 no.2, 2019년, pp.229 - 236  

김지혜 (부경대학교 해양학과) ,  오석진 (부경대학교 해양학과) ,  김석윤 (부경대학교 해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와편모조류 Alexandrium affine의 생장에 대한 수온, 염분 및 광 조건 실내실험을 통해서 살펴보았다. A. affine의 최대성장속도($0.69day^{-1}$)는 수온 $25^{\circ}C$, 염분 25 psu로 나타났으며, 최적생장(최대성장속도의 80 %)은 수온 $20{\sim}25^{\circ}C$의 염분은 20 ~ 35 psu로 나타났다. 따라서 A. affine는 비교적 협온성이며, 광염성의 생리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광량에 따른 생장 실험결과에서 유도된 생장식은 ${\mu}=0.75(I-4.25)/(I+65.47)$로, 보상광량($I_c$)은 $4.25{\mu}mol\;m^{-2}s^{-1}$, 반포화광량($K_I$)은 $57.0{\mu}mol\;m^{-2}s^{-1}$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A. affine는 하계에 낮은 광, 염분의 변동 폭이 큰 연안해역에서도 우점화 할 수 있는 유리한 생리적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s of temperature, salinity and irradiance on the growth of dinoflagellate Alexandrium affine were examined. A maximum specific growth rate ($0.69day^{-1}$) was observed with a combination of $25^{\circ}C$ and 25 psu. Optimal growth (80 % of the maximum specific grow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잠재적으로 유해한 것으로 알려진 A. affine의 생리 특성을 밝히기 위해, 실내실험을 통하여 수온, 염분 및 광량의 변화에 따른 A. af ine 생장의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2017년 적조가 발생된 해역의 해양환경자료 및 기상 관측 자료를 활용하여, 향후 A. affine의 적조발생 가능성을 토의하였다.

가설 설정

  • 광합성에 이용하는 약 400 ~ 700 nm의 파장에서 일사량과 광량자 사이에 1 μmol m-2 s-1 = 2×10-1 Jm-2 s-1 (Nishikawa and Yamaguchi, 2006)의 관계가 있어 환산이 가능하며, 해수면에 입사광은 반사 등에 따라 15 %가 손실하고 나머지 50 %가 광합성 유효 파장으로 해수면에 입사한다고 가정하였다(Nishikawa et al., 2002).
  • 이 때 진주 기상 관측 지점의 일사량 평균은 약 800 μmol m-2s-1으로 조사되었으며, 표층 광량은 평균 400 μmol m-2s-1 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간활동이 영향을 미치는 것은?? 최근 IPCC 5차 보고서에서 인간활동에 따라 전 지구적으로 기후변화가 발생하고 있으며, 직접적으로 생물의 생리/생태 등에도 크게 영향을 미친다고 기술되어있다.(Walther et al.
인간활동이 생태계에 미친 부정적 영향은 무엇인가? 또한 인간활동에 의한 부영양화는 생물의 다양성에 크게 악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기후 변화 및 부영양화로 적조 대량발생 기간이 장기화되고 있으며, 적조원인 종도 1970년대에는 규조류에서 1980년대 이후 편모조류가 우점하기 시작하였으며, 최근에는 Cochlodinium polykrioides 등과 같은 유해 와편모조류에 의한 적조가 발생하여 사회적인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Kim et al., 2001).
Alexandrium이란? 유해 와편모조류 중 Alexandrium은 Gonyaulax 목에 속하는 편모류로서 이들 종의 절반이 독성을 가지거나 다른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이들 종은 전세계적으로 약 30여 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Anderso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nderson, D. M. , T. J. , Alpermann,, A. D. Cembella, Y. Collos, E. Masseret and M. Montresor(2012), The globally distributed genus Alexandrium : Multifaceted roles in marine ecosystems and impacts on human health, Harmful Algae, Vol. 14, pp. 10-35. 

  2. Baba, T. , S. Hiyama and T. Tainaka(2001), Vertical migration of the toxic dinoflagellate Gymnodinium catenatum and toxicity of cultures oyster in Senzaki Bay, Yamaguchi Prefecture, Bulletin Plankton Society of Japan, Vol. 48, No. 2, pp. 95-99. 

  3. Band-Schmidt, C. J. , C. H. , Lechuga-Devéze,, D. Kulis and (2003), Culture studies of Alexandrium affine (Dinophyceae), a non-toxic cyst forming dinoflagellate from Bahia Concepeión, Gulf of California, Botanica Marina, Vol. 46, No. 1, pp. 44-54. 

  4. Brand, L. E. , R. R. L. , Guillard, andand L. S. Murphy(1981), A method for the rapid and precise determination of acclimated phytoplankton reproduction rates, Journal of Plankton Research, Vol. 3, No. 2, pp. 193-201. 

  5. Cho, C. H. (1978), On the Gonyaulax red tide in Jinhae bay, Bulletin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Vol. 11, No. 2, pp. 111-114. 

  6. Cloern, J. E. , T. S. Schraga, C. B. Lopez, N. Knowles, L. R. Grover and R. Dugdale(2005), Climate anomalies generate an exceptional dinoflagellate bloom in San Francisco Bay,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Vol. 32, pp. L14608. 

  7. Fukuyo, Y. (1985), Morphology of Protogonyaulax tamarensis (Lebour) Taylor and Protogonyaulax catenella (Whedon and Kofoid) Taylor from Japanese Costal waters, Bulletin of Marine Science-Miami, Vol. 37, No. 2, pp. 529-537. 

  8. Fu, F. X. , A. O. Tatters and D. A. Hutchins(2012), Global change and the future of harmful algal blooms in the ocean, Marine Ecology Progress Series, Vol. 470, pp. 207-233. 

  9. Gentien, P. , P. Donaghay, H. Yamazaki, R. Raine, B. Reguera and T. R. Osborn(2015), Harmful algal blooms in stratified environments, Oceanography, Vol. 18, pp. 172-183. 

  10. Guillard, R. R. L. and J. H. Ryther(1962), Studies of marine planktonic diatoms: I. Cyclotella nana Hustedt and Detonula conjervaces (Cleve) Gran, Canadian Journal of Microbiology, Vol. 8, No. 2, pp. 229-239. 

  11. Hallegraeff, G. M. (2010), Ocean climate change, phytoplankton community responses, and harmful algal blooms: a formidable predictive challenge, Journal of Phycology, Vol. 46, pp. 220-235. 

  12. Honjo, T. , S. Yamamoto, O. Nakamura and M. Yamaguchi(1989), Annual cycle of motile cells of Gymnodinium nagasakiense and ecological features during the period of red tide development, In: Granéli, E., B. Sundström, L. Edler, and D. M. Anderson (eds), Toxic marine phytoplankton, Elsevier, New York, pp. 165-170. 

  13. Kim, H. G. , C. S. Jung, W. A. Lim, C. K. Lee, S. Y. Kim, S. H. Youn, Y. C. Cho and S. G. Lee(2001), The spatio-temporal progress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s in the coastal waters of Korea, Journal of Korean Fisheries Society, Vol. 34, No. 6, pp. 691-696. 

  14. Kim, H. G. , J. S. Park and S. G. Lee(1990), Coastal algal blooms caused by the cyst-forming Dinoflagellates, Bulletin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Vol. 23, No. 6, pp. 468-474. 

  15. 10.7850/jkso.2016.21.4.158 Kim, J. S. , K. W. Park, S. H. Youn, W. A. Lim, Y. D. Yoo, K. A. Seong and W. H. Yih(2016a), Species diversity of the dinoflagellate genus Alexandrium in the coastal waters of Korea during summer 2013, The Sea, Vol. 21, No. 4, pp. 158-170. 

  16. 10.12939/FBA.2016.47.4.031 Kim, B. -T. , J. -S. Lee and Y. -S. Suh(2016b), An analysis on the climate change exposure of fisheries and fish species in the southern sea under the RCP scenarios: focus on sea temperature variation, Journal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Vol. 47, No. 4, pp. 031-044. 

  17. Koizumi, Y. , T. Uchida and T. Honjo(1996), Diurnal vertical migration of Gymnodinium mikimotoi during a red tide in Hoketsu Bay, Japan, Journal of Plankton Research, Vol. 18, No. 2, pp. 289-294. 

  18. Larsen, J. and L. Nguyen-Ngoc(2004), Potentially toxic microalgae of Vietnamese waters, Opera Botanica, Vol. 140, pp. 5-216. 

  19. Lederman, T. C. and P. Tett(1981), Problems in modelling the photosynthesis-light relationship for phytoplankton, Botanica Marina, Vol. 24, No. 3, pp. 125-134. 

  20. 10.1016/j.hal.2015.07.010 Lim, A. S. , H. J. Jeong, J. H. Kim, S. H. Jang, M. J. Lee and K. Lee(2015), Mixotrophy in the newly described dinoflagellate Alexandrium pohangense : A specialist for feeding on the fast-swimming ichthyotoxic dinoflagellate Cochlodinium polykrikoides , Harmful Algae, Vol. 49, pp. 10-18. 

  21. Moore, S. K. , N. J. Mantua, B. M. Hickey and V. L. Trainer(2009), Recent trends in paralytic shellfish toxins in Puget Sound, relationships to climate, and capacity for prediction of toxic events, Harmful Algae, Vol. 8, No. 3, pp. 463-477. 

  22. Nishikawa, T. , K. Miyahara and S. Nagai(2002), The growth response of Coscinodiscus wailesii Gran (Bacillariophyceae) as a function of irradiance isolated from Harima-Nada, Seto Inland Sea, Japan, Bulletin of the Plankton Society of Japan, Vol. 49, pp. 1-8. 

  23. 10.1016/j.hal.2005.06.007 Nishikawa, T. and M. Yamaguchi(2006), Effect of temperature on light-limited growth of the harmful diatom Eucampia zodiacus Ehrenberg, a causative organism in the discoloration of Porphyra thalli, Harmful Algae, Vol. 5, No. 2, pp. 141-147. 

  24. Noh, I. H. , Y. H. Yoon, D. -I. Kim, S. J. Oh and J. D. Kim(2010), Growth characteristics on the water temperature, salinity and irradiance of the harmful algae Chattonella ovata Y. Hara et Chihara (Raphidophyceae) isolated from South Sea, Korea, The Sea, Vol. 15, No. 3, pp. 140-147. 

  25. Oh, S. J. , I. S. Kang, Y. H. Yoon and H. -S. Yang(2008), Optical characteristic on the growth of centric diatom, Skeletonema costatum (Grev.) Cleve isolated from Jinhae Bay in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26, No. 2, pp. 57-65. 

  26. Oh, S. J. , J. A. Park, H. K. Kwon, H. -S. Yang and W. A. Lim(2012), Ecophysiological studies on the population dynamics of two toxic dinoflagellates Alexandrium tamarense and Alexandrium catenella isolated from the southern coast of Korea I. Effects of temperature and salinity on the growth,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15, No. 2, pp. 133-131. 

  27. Sakamoto, T. T. , H. Hasumi, M. Ishii, S. Emori, T. Suzuki, T. Nishimura and A. Sumi(2005), Responses of the Kuroshio and the Kuroshio Extension to global warming in a high-resolution climate model,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Vol. 32, pp. L14617. 

  28. Santiago, F. , S. M. Gallager and (1989), Chain-forming dinoflagellates: an adaptation to red tides, Elsevier science, pp. 281-284. 

  29. Shin, H. H. , Y. H. Yoon and K. Matsuoka(2007), Modern dinoflagellate cycsts distribution off the eastern part of Geoje Island, Korea, Ocean Science Journal, Vol. 42, No. 1, pp. 31-39. 

  30. Shin, H. H. , Y. H. Yoon, Y. O. Kim and K. Matsuoka(2011), Dinoflagellate cysts in surface sediments from southern coast of Korea, Estuaries and Coasts, Vol. 34, No. 4, pp. 712-725. 

  31. 10.1016/j.hal.2014.07.012 Shin, H. H. , S. H. Baek, L. Zhun, M. S. Han, S. J. Oh, S. H. Youn, Y. S. Kim, D. K. Kim and W. A. Lim(2014), Resting cysts, and effects of temperature and salinity on the growth of vegetative cells of the potentially harmful species Alexandrium insuetum Balech (Dinophyceae), Harmful Algae, Vol. 39, pp. 175-184. 

  32. Walther, G. R. , E. Post, P. Convey, A. Menzel, C. Parmesan, T. J. C. Beebee, J. -M. Fromentin, O. Hoegh-Guldberg and F. Bairlein(2002), Ecological responses to recent climate change, Nature, Vol. 416, pp. 389-395. 

  33. Watanabe, M. , K. Kohata, T. Kimura, T. Takamatsu, S. Yamaguchi and T. Ioriya(1995), Generation of a Chattonella antiqua bloom by imposing a shallow nutricline in a mesocosm, Limnology Oceanography, Vol. 40, No. 8, pp. 1447-1460. 

  34. Wu, L. , W. Cai, L. Zhang, H. Nakamura, A. Timmermann, T. Joyce, M. J. McPhaden, M. B. Qiu, and M. Visbeck, P. Chang and B. Giese(2012), Enhanced warming over the global subtropical western boundary currents, Nature Climate Change, Vol. 2, pp. 161-16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