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항공우주 비행체 정적구조시험용 하중제한밸브 부품 형상 분석
Geometrical Analysis on Parts of Load Limit Valve for Static Structural Test of Aerospace Flight Vehicles 원문보기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v.47 no.9, 2019년, pp.607 - 616  

심재열 (Aircraft System Division,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항공우주비행체 정적구조시험을 위한 과하중 방지를 위해 사용되는 하중제한밸브(LLV)의 파일럿 스테이지의 주요 구성품들에 대한 자유물체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 분석을 통하여 유압작동기의 동일한 힘에서 일관성있게 포펫 개방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파일럿스테이지에 있는 두 포펫의 직경비($(D_2)^{ten}/D_2)^{comp}$)가 작동기의 피스톤 면적비($A_{comp}/A_{ten}$)와 동일해야만 한다는 것을 보였다. 실험실에서 외산으로 수입하여 사용하고 있는 4개의 서로 다른 하중제한밸브의 포펫들 형상을 측정하고 대응되는 4개의 다른 용량을 갖는 유압작동기들의 피스톤 면적비들로부터 위의 분석결과가 타당함을 확인하였다. 두 개의 다른 파일럿스테이지로 수행한 "조절자 분해능시험들"의 결과들로부터 조절자 각 회전에서 얻은 Fi(포펫개방 순간의 작동기 힘)의 최대 표준편차는 각 평균값으로부터 0.3KN이고 표준편차를 각 평균값으로 나눈 무차원값으로 분석하면 최대편차는 3.7%이다. 이 결과로 부터 동일 포펫 직경비를 갖는 두 개의 파일럿스테이지들의 포펫은 각 조절자 회전에 대해 Fi/(평균 Fi) 값이 +/- 3.7% 범위에서 일관성 있게 개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위의 편차는 포펫 O-링의 마찰력으로부터 유발되는 것임을 보였다. 부가적으로 파일럿스테이지의 다른 주요부품인 포펫 스프링과 조절자의 주요설계인자들도 식별하였고 이들의 결정과정도 본 연구에서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ree body diagram analysis is done for key parts of pilot stage of LLV (Load Limit Valve) which is used to protect overload for static structural test of aerospace flight vehicle. It is shown through the analysis that diameter ratio($D_2)^{ten}/D_2)^{comp}$) of two poppets in a pilot stag...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많은 시험에서 하중제한밸브를 사용한 경험을 바탕으로 이 밸브가 기능을 개시하는 순간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고 이를 위하여 하중제한밸브 주요 구성품인 파일럿스테이지의 내부 힘을 분석하여 주요부품들(포펫, 스프링, 조절자)에 대한 설계인자들을 식별하고자 한다. 본 연구분석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파일럿스테이지들을 분해하여 조사하였고 분석결과를 반영해서 자체 설계/제작한 2개의 파일럿스테이지를 활용하여 검증시험을 수행하였다.
  • 2의 ③,④ 등 포함 “B” Part)을 자체 제작하여 점검시험을수행하였다. 시험 목표는 식 (14)를 만족하는 경우포펫개방이 일정한 유압작동기 하중크기에서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반복성 유지를 확인하고 포펫개방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동일 조절자 회전수에 대한 두 구성 R00, R01의 시험데이터들을 상세히 분석하여 2.3절에서 전개한 포펫 개방시점에 대한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Fig.
  • 2에서 본 바와 같이 포펫이 개방되는 순간 해당포펫과 유압적으로 연결된 유압작동기 인장 또는 압축 챔버 내부 작용압력의 감소가 발생되어 하중 실제값인 피드백(FDBK)이 감소하는 현상이 발생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포펫의 개방순간 FDBK값이 명령값으로부터 이탈되기 시작할 것을 고려하여 명령 값과 피드백값의 차이(CMF=CMD-FDBK) 변화를 살펴보았다.

가설 설정

  • 분석의 편리성을 위하여 오링과 벽면간의 마찰력은 작동오일 존재를 고려하면 크지 않아 무시하는 것으로 가정했고 포펫이 개방되는 순간에 반력(R) 크기가 0이 되므로 식 (3)으로부터 인장과 압축담당 밸브의 스프링에 작용되는 힘은 식 (8), (9)와 같고 이힘이 스프링 초기설정힘(FS-pre)과 같게 되며, 작동기챔버들의 압력(PTen, PCom) 관계인 식 (7)을 적용하고 정리하면 식 (10), (11)이 유도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중 제한밸브는 어떻게 구성, 구분 되는가? 1과 같다. 하중 제한밸브는 그림 상부에 나타낸 인장과 압축을 담당하는 두 개의 밸브로 구성되고 각 밸브는 메인(Fig.2의 C)과 파일럿스테이지(Fig. 2의 A+B)로 구분한다. 유압작동기의 인장(C1)과 압축(C2)챔버가 각 하중제한밸브의 메인/파일럿스테이지에 연결되고 인장/압축담당 밸브에 서로 반대 위치로 연결됨을 알 수 있다.
하중제한밸브란? 항공우주비행체 정적구조시험을 위한 과하중 방지를 위해 사용되는 하중제한밸브(LLV)의 파일럿 스테이지의 주요 구성품들에 대한 자유물체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 분석을 통하여 유압작동기의 동일한 힘에서 일관성있게 포펫 개방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파일럿스테이지에 있는 두 포펫의 직경비($(D_2)^{ten}/D_2)^{comp}$)가 작동기의 피스톤 면적비($A_{comp}/A_{ten}$)와 동일해야만 한다는 것을 보였다.
하중제한밸브의 작동원리는? 하중제한밸브의 작동원리는 다음과 같다. 작동기에 압력이 걸리지 않은 상태에서 수나사로 만들어진 조절자(①)를 돌려서 포펫스프링(②)을 원하는 정도로 압축시켜 둔다. 이때 스프링에 가해진 힘을 스프링초기설정힘(Fs pre)으로 정의하고, 이때 포펫(③)은포펫받침과 밀착이 되어 있게 된다. 이 힘으로 포펫을 아래로 눌러준 상태에서 유압작동기 하중이 작용되면 작동기의 인장/압축챔버에 각각 압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 압력들이 하중제한밸브 구성품인 포펫을윗방향으로 미는 힘이 존재할 수 있게 되고 이 힘이포펫스프링(②) 초기설정힘보다 적을 때는 포펫이 포펫받침과 밀착이 유지되고, 클 때는 포펫이 포펫받침과 분리되어 D-line(Fig. 2, B의 우측에 존재)으로 통하는 유로가 개방이 된다. 이 유로개방으로 인하여오일의 흐름이 발생하게 되고 이 흐름은 메인스테이지의 포펫의 중앙에 존재하는 오리피스에 흐르는 오일로 인하여 압력차가 발생하게 되어 메인스테이지의 포펫도 개방을 시작하게 되어 메인스테이지의 오일이 R-line으로 배출이 된다. 이와 같은 상황으로 인하여 이밸브의 메인라인(⑥) 압력의 상승이 제한을 받게 되고 메인라인과 연결된 유압작동기 챔버의 압력 상승에 제약을 주어 하중부가 능력을 제한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