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20세기 전반 한국 근해역 플랑크톤의 식물수문학적 연구
Phytohydrographic Plankton Studies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in Korean Neritic Seas 원문보기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 The sea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24 no.3, 2019년, pp.483 - 494  

박종우 (국립수산과학원 기후변화연구과) ,  김형섭 (군산대학교 해양생물공학과) ,  이원호 (군산대학교 해양생물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권근 등이 1402년 작성한 것으로 알려진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가 아프리카 대륙의 온전한 모습을 최초로 표현한 세계지도라고 인정될 정도로 범세계적 안목이 탁월하였던 우리 민족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근해역에 대한 단순 해도작성의 차원을 넘어서는 해양학적 조사를 프랑스 사람이 1787년경에 처음 시작하게 되었으며, 근해역 식물플랑크톤의 수문학적 연구는 1913년 일본인 소유 회사가 "동경-제주근해-상해 정점 조사"를 수행한데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식물플랑크톤 해양학의 산실인 유럽에서 1889년 최초로 이루어진 대양역 식물플랑크톤의 수문학적 연구에 비해 25년의 후의 일이었다. 1915년 황해 전역 조사를 시작한 이후, 1921년부터 동해 전역을 대상으로 하는 80개 정점의 플랑크톤 시료 채취 등 수문학적 관점의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도되었다. 특히, 1932년에는 부산에서 시작하여 사할린섬 남단에 이르는 동해 전체의 78개 정점에 대하여 수층별로 물리, 화학, 생물 해양학적 동시조사를 실시하여, 본격적인 식물플랑크톤 수문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1932년 5-9월에는 별도의 해양조사를 통해, 한국 남해안과 동해의 서부해역을 망라하는 총 120여개 정점에서 해류조사를 실시하면서 플랑크톤 분포조사를 병행함으로써, 해류와 플랑크톤 분포 간의 상관성을 분석하고 도시하였다. 이런 규모의 조사 연구는 점차 확대 심화되어 1933-1934년에는 동해에서 명태자원 추정을 위한 기초 생태계 조사의 일부분으로 해양플랑크톤의 수문학적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조사 연구의 열기는 1943년까지 조금도 변함이 없었으며, 1945년 조사된 자료를 정리한 보고서를 일본 동경에서 1967년에 발행하기까지 하였다. 1950년 이후 70여년이 지난 지금은 이제까지 축적된 모든 해양관측 및 생물수문학적 정보와 자료를 보다 세심하게 분석하고 종합하여 미래의 새로운 여건에 대비할 필요가 있는 전환기적 시점인 것 같다. 이와 더불어 서지학적 정보의 측면에서는, 전문학회가 중심이 되어 관련 전문분야에 대한 서지 및 서지역사 기록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매 30여년마다 갱신해 나가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rom the cosmopolitan superiority of the as the first world map completed in 1402 with surprisingly detailed images and contents on the Africa Continent it is reasonable to think that the Koreans in early fifteen century were already with highly up-to-date perspectives on the universe and world his...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지난 천여년 규모의 시각에서 볼 때, 비교적 최근에 해당하는 70-120년 전에 우리 해역에서 이루어진 식물수문학적 플랑크톤 연구 역사를 되짚어, 세계 대양을 하나의 지구수권으로 통합하여 탐구하려는 현재와 미래 연구의 세계 정세에서 우리의 나아갈 바를 숙고해 보는 한 방편으로 삼고자 하였다. 이는 과거 100여 년 전후에 이루어진 우리해역에 대한 식물수문학적 플랑크톤 연구가 한반도 주변해역 전체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때의 해양조사 수준 역시 구미의 세계적 첨단 성을 그 비교대상으로 했다는 점 등에서(김과 이, 2017; 승, 2019), 해양연구 영역에서조차 우리 스스로 남북분단의 비극을 극복하지 못한 지난 70년간의 한계 상황과 크게 비교되기 때문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lankton은 무엇인가? 식물수문학적 조사를 기반으로 한 식물플랑크톤 생태학의 태동은 아마도 독일의 Victor Hensen이 1883-1886년 기간에 독일의 Kiel 연안 조사와 1885년 덴마크의 Romsoe 정점에서 영국의 St Kilda 군도 외해역 정점까지 왕복으로 항해하면서 채집된 플랑크톤 시료를 정량분석법으로 연구한 보고서(Hensen, 1887)에서 그 시초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그는 이 보고서에서 수중에 떠있는 모든 것을 의미하는 “Plankton”이란 용어를 처음 사용하여, Johannes Müller가 그 이전에 쓰던 용어인 “Auftrieb”를 대체하였다(Mills, 1989). 그는 독일의 기선인 National호를 이용하여 1889년 7월 중순부터 11월 초순까지 북대서양 전체를 “X”자로 가로질러 시료채집과 관측을 수행하였던(Hensen, 1892) “Plankton Expedition” 사업을 주도하였고, 나중에는 플랑크톤을 바다의 생생한 피(“dies Blut des Meeres”; Hensen, 1911)라고 부르면서 플랑크톤의 연구와 생태적 중요성 탐구에 매진하였다.
한국의 해역연구에서 1930년대의 특징은 무엇인가? 1930년대는 20세기 전반을 통틀어 우리나라 해역에 대한 해양학적 조사와 관측 활동이 가장 왕성했던 시기에 해당한다. 첫 번째 예로, 1931년 1월부터 6월까지 조사한 결과를 보고한 海洋調査要報 제 48보(水産試驗場, 1931)의 215-233면에는 대만, 대한민국, 일본의 근해를 포괄하는 해역에 설정된 73개의 정선관측 라인(要報 48보의 ‘도판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