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우리나라 중서부지역 논 습지에 서식하는 무미 양서류의 서식처 특성 - 대호간척농지의 영농방법 중심으로 -
Habitat Characteristics of Anuran Species Inhabiting Rice Fields of Western Mid-South Korea - In the Case of Daeho Reclamation Agricultural Land by Farming Practices -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52 no.4, 2019년, pp.366 - 377  

유나경 (경희대학교 생물학과) ,  도민석 (국립생물자원관) ,  남형규 (국립생물자원관) ,  최그린 (경희대학교 생물학과) ,  손석준 (경희대학교 생물학과) ,  유정칠 (경희대학교 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논 습지는 다양한 야생동물들의 주요 서식공간으로, 급격한 개발 및 환경 변화로 인해 논에 서식하는 야생동물의 생물 다양성 보전에 위협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해안에 위치한 논 습지를 이용하는 무미 양서류의 서식지 이용 특성을 규명하고자 2018년 3월부터 10월까지 당진시 대호 간척 농지에 서식하는 양서류의 풍부도와 서식 환경을 바탕으로 종들에게 영향을 끼친 주요 환경 요인을 파악하고, 서식지 이용 특성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조사지역에서는 금개구리(Pelophylax chosenicus)를 포함하여 참개구리 (P. nigromaculatus)와 청개구리 (Hyla japonica)의 서식이 확인되었다. 3종에 영향을 끼치는 환경 요인으로 기온과 습도, 수심, 미소 서식지로 확인되었고, 청개구리는 수온에 영향을 받고 있었으며, 금개구리는 벼의 길이와 농법의 유형에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3종은 모두 기온과 습도, 수심이 증가할수록 개체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모내기한 필지를 가장 많이 이용했으며, 번식 시기에는 미소 서식지 요인 중 필지를 가장 선호하고 있어 조사지역이 3종의 주요 번식지로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금개구리는 관행에 비해 친환경 농지에서 더 많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포식자와 제초작업으로 인한 주변 환경의 차이로 인한 원인으로 보인다. 본 연구를 통해 논에 서식하는 무미 양서류 3종이 선호하는 환경 요인은 종에 따라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는 무미 양서류 보전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addy wetlands are a critical habitat for a variety of wild animals, and their rapid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changes pose a threat to the conservation of agrobiodiversity.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habitat characteristics of anuran inhabiting paddy wetlands and identif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서해안 주변에 위치한 논 습지를 이용하는 무미 양서류의 서식지 이용 특성 및 무미 양서류가 출현한 지역의 논 생태계 내 다양한 환경 요인들의 특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조사지역에 서식하고 있는 무미 양서류의 종 다양도와 풍부도를 확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논 습지에서 무미 양서류를 대상으로 종 다양도와 풍부도를 파악하고, 그들이 분포한 지역의 대기 및 수 환경과 물리적 환경을 통해 종별 서식 특성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조사지역에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 종인 금개구리가 우점하였고, 참개구리와 청개구리의 서식이 확인되었다.
  • 논 습지는 다양한 야생동물들의 주요 서식공간으로, 급격한 개발 및 환경 변화로 인해 논에 서식하는 야생동물의 생물 다양성 보전에 위협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해안에 위치한 논 습지를 이용하는 무미 양서류의 서식지 이용 특성을 규명하고자 2018년 3월부터 10월까지 당진시 대호 간척 농지에 서식하는 양서류의 풍부도와 서식 환경을 바탕으로 종들에게 영향을 끼친 주요 환경 요인을 파악하고, 서식지 이용 특성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조사 지역에서는 금개구리(Pelophylax chosenicus)를 포함하여 참개구리 (P.
  • 참개구리와 금개구리의 풍부도는 농법 유형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금개구리는 친환경 농지를 선호하고 있었다. 비록, 본 연구에서는 종들이 선호한 농법 유형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지만, 조사지역에 서식하고 있는 어류 및 조류와의 서식 밀도와 포식 관계를 통해 무미 양서류들이 선호하는 농법의 차이와 그 원인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추후 무미 양서류들의 분포 조사뿐만 아니라 동일한 시기에 분포한 포식자들과의 관계와 양서류의 먹이 자원을 파악하고, 필지와 논둑 주변에 자생하는 식생의 풍부도와 다양도를 확인한다면, 금개구리가 친환경 농지를 선호한 원인과 참개구리와 청개구리가 차이를 보이지 않은 정확한 원인을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인공 습지 중 하나인 논 습지의 특징과 그로 인한 부정적 영향은 무엇인가? , 2005; Moreira and Maltchik, 2014). 우리나라 논 습지는 1960년대부터 시작된 농지개량사업으로 인해 획일화된 크기의 필지와 논둑, 콘크리트 구조물로 축조된 수로, 콘크리트로 포장된 농로로 형성되었으며, 이러한 논의 물리적 변화는 논에 의존적인 야생동물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Fujioka and Lane, 1997; KREI, 2003; Naito et al., 2013). 논의 물리적 변화뿐만 아니라 농약 및 제초제의 사용이나 농기계의 이용과 같은 현대화된 경작 방법 또한 논에 서식하는 야생동물의 생물 다양성 보전에 위협이 되고 있다(Liess and Ohe, 2005; Peltzer et al., 2006; Piatti et al.
먹이사슬의 중간자적 위치에 있으며 조류와 어류, 포유류의 피식자이자 육상 및 포식자로 생태계를 구성하는 대표적인 분류군은 무엇인가? 양서류는 논 습지에 서식하고 있는 대표적인 분류군 중 하나로, 조류와 어류, 포유류의 피식자이자 육상 및 v포식자로 생태계를 구성하는 먹이사슬의 중간자적 위치에 있어 생물 다양성 보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Hirai and Matsui, 1999, 2002; Katayama et al., 2012, 2013).
2008년 논 생태계의 생물 다양성 보전 기능이 크게 부각됐던 총회 이름은 무엇인가? , 2011). 특히, 2008년 제10차 람사르 협약 당사국 총회에서는 논 생태계의 생물 다양성 보전 기능이 크게 부각되면서 그 중요성은 더욱 증가하고 있다(COP10, 2008). 하지만, 실질적으로 논에 서식하는 생물의 이용 현황에 관한 연구는 저서무척추동물과 같은 특정 분류군에서만 진행되어 왔을 뿐 논에 서식하는 다른 생물 분류군에 대한 연구는 극히 미비하다 (Feber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4)

  1. Bates, D., M. Machler, B. Bolker and S. Walker. 2014. Fitting linear mixed-effects models using lme4. arXiv preprint arXiv:1406.5823. 

  2. Borzee, A., C.N. Kyong, H.K. Kil and Y. Jang. 2018. Impact of water quality on the occurrence of two endangered Korean anurans: Dryophytes suweonensis and Pelophylax chosenicus. Herpetologica 74(1): 1-7. 

  3. Both, C., M. Sole, T.G. Santos and S.Z. Cechin. 2009. The role of spatial and temporal descriptors for neotropical tadpole communities in southern Brazil. Hydrobiologia 624: 125-138. 

  4. Butler, S.J., D. Brooks, R.E. Feber, J. Storkey, J.A. Vickery and K. Norris. 2009. A cross-taxonomic index for quantifying the health of farmland biodiversity. Journal of Applied Ecology 46(6): 1154-1162. 

  5. Choi, Y.S. 2008. Foraging Ecology and Habitat Preference of Tree-nesting Ardeidae in Korea. Ph.D.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6. COP10, R. 2008. Enhancing biodiversity in rice paddies as wetland systems. In: 10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Wetlands (Ramsar, Iran, 1971). 

  7. Do, M.S., H.J. Jang, D.I. Kim, K.S. Koo, S.C. Lee and H.K. Nam. 2018. The study on habitat analysis and ecological niche of Korean Brown Frogs (Rana dybowskii, R. coreana and R. huanrensis) using the species distribution model. Korean Journal of Herpetology 9: 1-11. 

  8. Do, M.S., J.W. Lee, H.J. Jang, D.I. Kim, J. Park and J.C. Yoo. 2017.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and prediction of hotspot area for endangered herpetofauna species in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31(4): 381-396. 

  9. Do, M.S. 2014. Prediction of Distribution Tendency of Amphibians in South Korea According to Climate Change using MaxEnt Modeling. The 8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Kyung Hee University. 200-217. 

  10. Duellman, W.E. and L. Trueb. 1986. Biology of Amphibians. McGraw-Hill Publishing Company, New York. 

  11. Duellman, W.E. 1988. Patterns of species diversity of anuran amphibians in the American tropics. Annals of the Missouri Botanical Garden 75: 79-104. 

  12. Elphick, C.S. and L.W. Oring. 1998. Winter management of Californian rice fields for waterbirds. Journal of Applied Ecology 35(1): 95-108. 

  13. Feber, R.E., L.G. Firbank, P.J. Johnson and D.W. Macdonald. 1997. The effects of organic farming on pest and non-pest butterfly abundance. Agriculture, Ecosystems and Environment 64(2): 133-139. 

  14. Finlayson, C.M., N.C. Davidson, A.G. Spiers and N.J. Stevenson. 1999. Global wetland inventory-current status and future priorities. Marine and Freshwater Research 50(8): 717-727. 

  15. Fujioka, M. and S.J. Lane. 1997. The impact of changing irrigation practices in rice fields on frog populations of the Kanto Plain, central Japan. Ecological Research 12(1):101-108. 

  16. Fujioka, M. 2001. The potential and problems of agricultural ecosystems for birds in Japan. Global Environmental Research 5: 151-161. 

  17. Fuller, R.J., L.R. Norton, R.E. Feber, P.J. Johnson, A.C. Joys, F. Mathews, R.C. Stuart, M.C. Townsend, W.J. Manley, M.S. Wolfe, D.W. Macdonald and L.G. Firbank. 2005. Benefits of organic farming to biodiversity vary among taxa. Biology Letters 1: 431-434. 

  18. Goldberg, F.J., S. Quinzio and M. Vaira. 2006. Oviposition-site selection by the toad Melanophryniscus rubriventris in an unpredictable environment in Argentina. Canadian Journal of Zoology 84(5): 699-705. 

  19. Hazell, D., J.M. Hero, D. Lindenmayer and R. Cunningham. 2004. A comparison of constructed and natural habitat for frog conservation in an Australian agricultural landscape. Biological Conservation 119(1): 61-71. 

  20. Hirai, T. and M. Matsui. 1999. Feeding habits of the pond frog, Rana nigromaculata, inhabiting rice fields in Kyoto, Japan. Copeia 1999(4): 940-947. 

  21. Hirai, T. and M. Matsui. 2002. Feeding relationships between Hyla japonica and Rana nigromaculata in rice fields of Japan. Journal of Herpetology 36(4): 662-667. 

  22. Jang, H.J. and J.H. Suh. 2010. Distribution of amphibian species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Herpetology 2: 45-51. 

  23. Katayama, N., T. Amano, G. Fujita and H. Higuchi. 2012. Spatial overlap between the intermediate egret Egretta intermedia and its aquatic prey at two spatiotemporal scales in a rice paddy landscape. Zoological Studies 51: 1105-1112. 

  24. Katayama, N., T. Goto, F. Narushima, T. Amano, H. Kobori and T. Miyashita. 2013. Indirect positive effects of agricultural modernization on the abundance of Japanese tree frog tadpoles in rice fields through the release from predators. Aquatic Ecology 47(2): 225-234. 

  25. Kato, N., M. Yoshio, R. Kobayashi and T. Miyashita. 2010. Differential responses of two anuran species breeding in rice fields to landscape composition and spatial scale. Wetlands 30(6): 1171-1179. 

  26. Kim, S.K., H.S. Park and S.R. Park. 2016. Distribution of fish and amphibian in rice fields near the Yedang Reservoir in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30(1): 48-57. 

  27. Koo, K.S., S. Kwon, I.K. Park and H.S. OH. 2018. Relationship between body size variation and habitat environment of Hyla japonica in Jeju Island,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32(6): 575-581. 

  28. Koo, K.S. 2019.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body size variation of Japanese Tree Frog (Hyla japonica) in South Korea. Ph.D.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29. KREI. 2003. The agricultural and rural history of Korea for 100 years : change and development of Korean rural society.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Seoul. 

  30. Lee, J.H., H.J. Jang and J.H. Suh. 2011. Ecological Guide Book of Herpetofauna in Korea. NIER. Incheon. 

  31. Lee, S.H. and J.E. Jung. 2008. Management Effect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Pilot Site : A Case Study on Project Office of DaeHoo Environment.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KRC). Ansan. 

  32. Liess, M. and P.C. Von Der Ohe. 2005. Analyzing effects of pesticides on invertebrate communities in streams. Environmental Toxicology and Chemistry: An International Journal 24: 954-965. 

  33. Maeda, N. and M. Matsui. 1989. Frogs and Toads of Japan (Third edition). Bun-ichi Co., Ltd. Tokyo. 

  34. Moreira, L.F.B. and L. Maltchik. 2014. Does organic agriculture benefit anuran diversity in rice fields?. Wetlands 34(4): 725-733. 

  35. Naito, R., M. Sakai, Y. Natuhara, Y. Morimoto and S. Shibata. 2013. Microhabitat use by Hyla japonica and Pelophylax porosa brevipoda at levees in rice paddy areas of Japan. Zoological Science 30(5): 386-392. 

  36. Naito, R., M. Yamasaki, Y. Natuhara and Y. Morimoto 2012. Effects of water management, connectivity, and surrounding land use on habitat use by frogs in rice paddies in Japan. Zoological Science 29(9): 577-585. 

  37. Nam, H.K., M. Kim, G. Choi, D. Jang, S.H. Choi, K.J. Cho, L.J. Choe, Y.E. Na and M.H. Kim. 2016. Influence of pesticide use on distribution of waterbirds in rice fields at mid-western part of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34(4): 361-364. 

  38. Nam, H.K., S.H. Choi and J.C. Yoo. 2015. Patterning waterbird assemblages on rice fields using self-organizing map and random forest.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34(3): 168-177. 

  39. Noh, D.C. 2007. Environmental Monitoring by using Anuran Calls. Ph.D.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ju. 

  40. Peltzer, P.M., R.C. Lajmanovich, A.M. Attademo and A.H. Beltzer. 2006. Diversity of anurans across agricultural ponds in Argentina, pp. 131-145. In: Marine, Freshwater, and Wetlands Biodiversity Conservation. Springer, Dordrecht. 

  41. Piatti, L., F.L. Souza and P.L. Filho. 2010. Anuran assemblage in a rice field agroecosystem in the Pantanal of central Brazil. Journal of Natural History 44(19-20): 1215-1224. 

  42. R Core Team. 2013. R: a language and environment for statistical computing. R foundation for Statistical Computing, Vienna, Austria. Available at http://www.R-project.org/. 

  43. Ra, N.Y. 2010. Habitat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Captive Breeding and Recovery Strategy of the Endangered Gold-Spotted Pond Frog (Rana plancyi chosenica). Ph.D.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44. Resetaris, W.J. 2005. Habitat selection behaviour links local and regional scales in aquatic systems. Ecology Letters 8: 480-486. 

  45. Sawahata, T. 2002. Seasonal changes in number of Rana porosa brevipoda killed on the road. Bulletin of the Herpetol Society of Japan 2: 72-74. 

  46. Schmidt, B.R. 2004. Declining amphibian populations: The pitfalls of count data in the study of diversity, distributions, dynamics, and demography. Herpetological Journal 14: 167-174. 

  47. Shin, H.S, Y.J. Song, S.I. Kwon, J. Eo, S.H. Lee and M.H. Kim. 2018. Monthly change of the length-weight relationship of the loach (Misgurnus anguillicaudatus) population in paddy fields by farming practice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36(1): 1-10. 

  48. Sung, H.C., S.M. Cha, S.W. Cheong, D.S. Park and S.R. Park. 2007. Monitoring local populations and breeding migration patterns of the gold-spotted pond frog, Rana chosenica.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30(2): 121-126. 

  49. Tiner, R.W. 1984. Wetlands of the United States: current status and recent trends. United States Fish and Wildlife Service. 

  50. Wang, Y., Z. Wu, P. Lu, F. Zhang and Y. Li. 2008. Breeding ecology and oviposition site selection of black-spotted pond frogs (Rana nigromaculata) in Ningbo, China. Frontiers of Biology in China 3(4): 530-535. 

  51. Watanabe, S., N. Nakanishi and M. Izawa. 2005. Seasonal abundance in the floor-dwelling frog fauna on Iriomote Island of the Ryukyu Archipelago, Japan. Journal of Tropical Ecology 21(1): 85-91. 

  52. Werner, E.E., D.K. Skelly, R.A. Relyea and K.L. Yurewicz. 2007. Amphibian species richness across environmental gradients. Oikos 116: 1697-1712. 

  53. Wilson, A.L., R.J. Watts and M.M. Stevens. 2008. Effects of different management regimes on aquatic macroinvertebrate diversity in Australian rice fields. Ecological Research 23(3): 565-572. 

  54. Winqvist, C., J. Bengtsson, T. Aavik, F. Berendse, L.W. Clement, S. Eggers, C. Fischer, A. Flohre, F. Geiger, J. Liira, T. Part, C. Thies, T. Tscharntke, W.W. Weisser and R. Bommarco. 2011. Mixed effects of organic farming and landscape complexity on farmland biodiversity and biological control potential across Europe. Journal of Applied Ecology 48(3): 570-57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