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공간에서 날씨와 계절이 보행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Weather and Season on Pedestrian Volume in Urban Spac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0 no.9, 2019년, pp.56 - 65  

이수미 (한국교통대학교 도시.교통공학과) ,  홍성조 (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물리적 환경이 보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들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도시공간에서의 보행량에 날씨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공간에서 날씨가 보행량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2009년 서울시 유동인구 조사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지점별 보행량을 종속변수, 날씨와 물리적 환경을 독립변수로 하는 모형을 구축하였다. 날씨가 보행량에 미치는 영향을 계절별, 토지이용별, 시간대별로 파악하고자 계절-토지이용-시간대로 구분된 28개의 모형을 작성하여 결과를 비교 해석하였다. 본 연구의 종속변수가 정규성을 만족하지 못하기 때문에 음이항 회귀모형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날씨요인들은 보행량에 영향을 미친다. "비"는 대부분의 모형에서 보행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나타났으며, "눈"과 "천둥번개"는 소수의 모형에서 매우 큰 보행량 감소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날씨가 보행량에 미치는 영향은 계절과 토지이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예를 들어 "비"의 보행량 감소효과는 주거지역보다는 상업지역에서 크게 나타났으며, 동절기 보다는 하절기에 그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셋째, 환경요인들의 영향도 계절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차로 수는 하절기에는 보행량에 정(+)의 영향을, 동절기에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하철역 여부 또한 하절기에는 보행량에 강한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동절기에는 그 효과가 작거나 음의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행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눈이나 비에 대응할 수 있는 반옥외 도시공간의 조성이 필요하다. 둘째 계절별로 특화된 보행활성화 정책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effect of weather on pedestrian volume in an urban space. We used data from the 2009 Seoul Flow Population Survey and constructed a model with the pedestrian volume as a dependent variable and the weather and physical environment as independent variables. We const...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날씨와 계절이 보행량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 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다른 변수들의 영향을 통제한 상태에서 날씨의 영향을 분석하고자 보행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변수들을 모형에 포함하였다.
  • 연구문제 3 : 날씨가 보행량에 미치는 영향은 토지이용에 따라 어떻게 다른가?
  • 연구의 내용적 범위는 날씨가 보행량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동인구조사에서 제공하는 조사지점의 시간별 날씨자료를 주요 독립변수로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도시공간에서 날씨가 보행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증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결과는 향후 기후변화에 따른 도시에서의 보행량 변화를 예측하고, 보행량을 유지 및 증가시키기 위하여 도시계획 측면에서 대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공간에서 보행량은 무엇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나? 도시공간에서 보행량은 도시의 활력과 상업적 활성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따라서 다양한 분야에서 도시 내에서 보행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국내에서 이루어진 날씨와 신체활동의 관계를 다루는 연구에는 무엇이 있나? 국내에서도 날씨와 신체활동의 관계를 다루는 연구가 일부 이루어졌다. 이진오[5]는 날씨가 60대 여성의 보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기온, 강수량, 운량, 최고기온, 최저기온을 요인분석하여 1개의 요인으로 차원을 축소하고, 이 요인의 요인점수를 신체활동지수로 평가하여 보행량에 관계를 미친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조정형·김영재·차은주[6]는 신체활동 중 날씨의 영향을 크게 받는 야외 여가활동 중 북한산과 한라산 국립공원의 일별 등산객수를 분석대상으로 하여 기후 정보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기온, 강수량, 운량, 습도와 같은 날씨 요인은 등산객수와 관계가 있었다. 또한 봄철과 겨울철에는 기온이 관광객 수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여름철에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난 것과 같이 특정 날씨 요인은 관계의 방향이 계절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이용수[7]는 계절 및 날씨와 신체활동의 관계를 강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저강도 신체활동에 포함되는 걷기(보행)는 계절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으며, 지속적으로 수행되는 신체활동이다.
본 연구에서 날씨와 계절이 보행량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한 결과는?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행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날씨는 “비”이다. 비가 오는 날씨는 대부분의 모형에서 맑은 날씨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보행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비오는 날씨가 보행량 감소에 미치는 영향은 토지이용, 계절, 시간대에 따라 다른 형태로 나타났다. 비오는 날씨의 보행량 감소효과는 주거지역보다는 상업지역에서 크게 나타났으며, 동절기 보다는 하절기에 그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상업지역에서 비오는 날씨의 감소효과가 큰 시간대는 오후시간대인 반면에 주거지역에서는 등교가 이루어지는 오전 시간대에 크게 나타났다. 셋째, 눈이나 천둥번개는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경우 보행자 감소효과 비에 비하여 매우 크게 나타난다. 넷째, 비가 올 것 같은 날씨, 구름낀 날씨는 보행량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경우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함께 나타났다. 이는 해당 시점의 기온, 습도, 강수확률 등이 함께 측정되어야 정확한 해석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섯째, 차로 수는 일반적으로 보행량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지만, 동절기에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버스정류장은 보행량에 부(-)의 영향을 미치거나 영향을 미치지 않는 모형이 많았다. 일곱째, 지하철역은 하절기에는 보행량 증가에 강한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동절기에는 그 효과가 작거나 부(-)의 영향을 미쳤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S. J. Hong, G. H. Lee, K. H. Ahn, "The Effect of Street Environment on Pedestrians' Purchase in Commercial Street,"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 Vol.26, No.8, pp.229-236, 2010. 

  2. P. Tucker, J. Gilliland, "The effect of season and weather on physical activity: A systematic review," Public Heath, Vol.121, No.12, pp.909-922, December. 2007. DOI: http://dx.doi.org/10.1016/j.puhe.2007.04.009 

  3. C. B. Chan, D. A. Ryan, "Assessing the Effects of Weather Conditions on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Using Objective Measures,"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Vol.6, No.10, pp.2639-2654, 2009. DOI: http://dx.doi.org/10.3390/ijerph6102639 

  4. T. Baranowski, W. O. Thompson, R. H. DuRant, J. Baranoswki, J. Puhl, "Observations on physical activity in physical locations: age, gender, ethnicity and month effects," Res Q Exerc Sport, Vol.64, No.2, pp.127-133, 1993. DOI: http://dx.doi.org/10.1080/02701367.1993.10608789 

  5. J. O. Le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Weather-Based Physical Activity Index," The Korean Journal of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Physical Education and Sports Science, Vol.10, No.3, pp.107-118, 2008. DOI : http://dx.doi.org/10.21797/ksme.2008.10.3.007 

  6. J. H. Cho, Y. J. Kim, E. J. Cha, "Relations among Sport-for-All and Climate: Focusing on the Mountaineering," Journal of Leisure Studies, Vol.13, No.4, pp.25-38, 2015. 

  7. Y. S. Lee, "Effect of Seasonal Weather Change on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Level," Korean society for Wellness, Vol.14, No.1, pp.449-459, 2019. DOI : http://dx.doi.org/10.21097/ksw.2019.02.14.1.361 

  8. R. Cervero, K. Kockelman, "Travel demand and the 3Ds: Density, Diversity and Design," Transportation Research D, Vol.2, No.3, pp.119-219, 1997. DOI: http://dx.doi.org/10.1016/S1361-9209(97)00009-6 

  9. R. Ewing, K. Bartholomew, S. Winkelman, et al, "Growing Cooler: Evidence on urban development and climate change," ULI-the Urban Land Institute, Washington DC, 2008. 

  10. J. Y. Jang, S. T. Choi, H. S. Lee, S. J. Kim, S. H. Choo, "A comparison analysis of factors to affect pedestrian volumes by land-use type using Seoul Pedestrian Survey data,"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Vol.14, No.2, pp.39-53, 2015. DOI : https://doi.org/10.12815/kits.2015.14.2.039 

  11. H. N. Im, S. G. Lee, C. G. Choi, "Empiric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and Use Mix and Pedestrian Volume in Seoul, Korea,"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Vol.15, No.7, pp.21-38, 2016. 

  12. M. Duncan, E. Winkler, T. Sugiyama, "Relationships of Land Use Mix with Walking for Transport- Do Land Uses and Geographical Scale Matter?," Journal of Urban Health: Bulletin of the New York Academy of Medicine, Vol.87, No.5, pp.782-795, September. 2010. DOI : https://doi.org/10.1007/s11524-010-9488-7 

  13. J. A. Lee, J. H. Koo, "The Effect of Physical Environment of Street on Pedestrian Volume - Focused on Central Business District(CBD, GBD, YBD) of Seoul -,"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Vol.48, No.4, pp.269-286, 2013. 

  14. G. W. Lee, "The Effect of the Urban and Architectural Form Factors on Pedestrian Volume,"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Vol.17, No.10, pp.310-318, 2016. 

  15. J. W. Lee, H. Y. Kim, C. M. Jun, "Analysis of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that Affect Pedestrian Volumes by Street Type,"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itute of Korea, Vol.16, No.2, pp.123-140, 2015. 

  16. M. J. Choi, S. M. Shin,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Effect of Pedestrian Volume on Retail Sales,"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Vol.36, No.2, pp.75-83, 2001. 

  17. Seoul, 2009 Floating Population White Paper, White Paper, The Seoul Institute, Korea, pp.116-120 

  18. Seoul, 2009 Floating Population White Paper, White Paper, The Seoul Institute, Korea, p.125 

  19. I. H. Lee, "Easy Flow Regression Analysis," Hannarae publishing, pp.414-433, 2014. 

  20. I. H. Lee, "Easy Flow Regression Analysis," Hannarae publishing, pp.422, 2014. 

  21. N. Y. Yun, C. G. Choi, "Relationship between Pedestrian Volume and Pedestrian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Commercial Streets in Seoul,"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 Vol.48, No.4, pp.135-150, 201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