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쥐 소장 카할세포에서 발생하는 향도잡이 기능의 올란자핀 효능에 관한 연구
Effects of Olanzapine on the Pacemaker Potentials of Interstitial Cells of Cajal in Murine Small Intestine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9 no.9, 2019년, pp.1010 - 1015  

김병주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카할세포는 위장관에서 향도잡이 역할을 한다. 본연구에서는 생쥐 소장 카할세포에서 발생되는 향도잡이 기능에서 올란자핀의 역할을 연구하였다. 패치클램프 방법을 사용하여 향도잡이 전압을 측정하였다. 올란자핀에 의해서 카할세포 향도잡이 전압이 탈분극 되었으며, 이 탈분극은 무스카린성 3번 수용체 억제제에 의해서 억제 되었다. 세포내 $GDP{\beta}S$을 넣어주니 올란자핀에 의해 향도잡이 전압 탈분극이 억제되었다. 또한, 세포밖 $Na^+$ 농도 감소와 비선택성 양이온 통로 억제제에 의해서 올란자핀에 의한 향도잡이 전압 탈분극이 억제 되었다. 세포내 PLC기전의 억제제인 U-73122에 의해서 올란자핀에 의한 향도잡이 전압 탈분극이 억제 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올란자핀은 무스카린성 3번 수용체를 통해서 세포내 G 단백질과 PLC기전 및 세포밖 $Na^+$이 관여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올란자핀은 카할세포를 통해서 장운동성을 조절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nterstitial cells of Cajal (ICCs) are the pacemaker cells in the gastrointestinal (GI) tract. In the present study, the effects of olanzapine, an atypical antipsychotic agent, on pacemaker potentials in cultured ICCs from the small intestine of the mouse were investigated. The whole-cell patch-...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위장관 운동 조절 기전에 관한 연구에 중요한 향도잡이 세포인 카할세포를 이용하여 올란자핀의 카할세포에 대한 효과와 작용기전을 알아보고 장운동성 조절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위장관 운동을 조절하는 요인은? 위장관 운동은 음식이 입을 통해 식도, 위, 소장, 대장을 지나 항문을 통해 몸 밖으로 배출되는 이동을 말한다. 위장관 운동은 교감신경, 부교감 신경 등과 같은 외인성 신경계, 위장관 자체내 내인성 신경계, 자체내 내인성 인자 및 약물, 또는 평활근 등에 의해 조절된다[12]. 위장관 운동은 특수한 간질세 포중 하나인 카할세포(interstitial cells of Cajal; ICCs)에 의해서 발생되어 향도잡이 세포(pacemaker cell; 향도(嚮導)는 “길을 인도한다”는 의미로 이곳에서 향도잡이는 위장관운동의 리듬을 조절한다는 의미임)라고 불리우고 있다[8, 19].
카할세포의 수가 감소하거나 형태학적 이상이 생겨 발생하는 질환은? 즉 카할세포의 수가 감소하거나 형태학적 이상이 정상적인 위장관 운동성의 리듬을 유지하지 못함으로 인하여 운동성 장애를 일으킨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된 질환들로는 염증성 장 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 만성특발성장가짜폐색(chronic idiopathic intestinal pseudo-obstruction), 식도이완불능증(achalasia), 선천성 거대 결장증(Hirschsprug's disease), 유문협착(pyloric stenosis), 장폐색(intestinal obstruction), 항문직장기형(anorectal malformations) 등이 있다[13, 18].
위장관 운동이란? 위장관 운동은 음식이 입을 통해 식도, 위, 소장, 대장을 지나 항문을 통해 몸 밖으로 배출되는 이동을 말한다. 위장관 운동은 교감신경, 부교감 신경 등과 같은 외인성 신경계, 위장관 자체내 내인성 신경계, 자체내 내인성 인자 및 약물, 또는 평활근 등에 의해 조절된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hn, Y. M., Kang, D., Kwon, J. S., Kim, C. Y., Kim, C. E., Bahn, G. , Shin, Y., Lee, G., Lee, D. W., Yi, J. S., Cho, H., Chae, J. and Kim, Y. S. 2001. Efficacy and Safety of Olanzapine in the Treatment of Korea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Schizophreniform Disorder. J. Kor. Neuropsychiatr. Asso. 40, 693-707. 

  2. Bhana, N., Foster, R. H., Olney, R. and Plosker, G. L. 2001. Olanzapine: an updated review of its use in the management of schizophrenia. Drugs 61, 111-161. 

  3. Bymaster, F. P., Nelson, D. L., DeLapp, N. W., Falcone, J. F., Eckols, K., Truex, L. L., Foreman, M. M., Lucaites, V. L. and Calligaro, D. O. 1999. Antagonism by olanzapine of dopamine D1, serotonin2, muscarinic, histamine H1 and alpha 1-adrenergic receptors in vitro. Schizophr. Res. 37, 107-122. 

  4. Bymaster, F., Perry, K. W., Nelson, D. L., Wong, D. T., Rasmussen, K., Moore, N. A. and Calligaro, D. O. 1999. Olanzapine; a basic science update. Br. J. Psychiatry 174, 36-40. 

  5. Chromy, V., Zahradnicek, L. and Voznicek, J. 1981. Use of N-methyl-D-glucamine as buffer in the determination of serum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Clin. Chem. 27, 1729-1732. 

  6. D, MacMillan. and J. G., McCarron. 2010. The phospholipase C inhibitor U-73122 inhibits $Ca^{2+}$ release from the intracellular sarcoplasmic reticulum $Ca^{2+}$ store by inhibiting $Ca^{2+}$ pumps in smooth muscle. Br. J. Pharmacol. 160, 1295-1301. 

  7. Ehlert, F. J., Sawyer, G. W. and Esqueda, E. E. 1999. Contractile role of M2 and M3 muscarinic receptors in gastrointestinal smooth muscle. Life Sci. 64, 387-394. 

  8. Huizinga, J. D., Thuneberg, L., Kluppel, M. and Malysz, H. B. 1995. The W/kit gene required for interstitial cells of Cajal and for intestinal pacemaker activity. Nature 373, 347-349. 

  9. Kho, S. D., Sanders, K. M. and Ward, S. M. 1998. Spontaneous electrical rhythmicity in cultured interstitial cells of Cajal from the murine small intestine. J. Physiol. 513, 203-213. 

  10. Kim, B. J., Lim, H. H., Yang, D. K., Jun, J. Y., Chang, I. Y., Park, C. S., So, I., Stanfield, P. R. and Kim, K. W. 2005. Melastatin-type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channel 7 is required for intestinal pacemaking activity. Gastroenterology 129, 1504-1517. 

  11. Koh, S. D., Ward, S. M., Ordog, T., Sanders, K. M. and Horowitz, B. 2003. Conductances responsible for slow wave generation and propagation in interstitial cells of Cajal. Curr. Opin. Pharmacol. 3, 579-582. 

  12. Koutouratsas, T., Kalli, T., Karamanolis, G. and Gazouli, M. 2019. Contribution of ghrelin to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pathogenesis. World J. Gastroenterol. 25, 539-551. 

  13. Kubota, M., Kanda, E., Ida, K., Sakakihara, Y. and Hayashi, M. 2005. Severe gastrointestinal dysmotility in a patient with congenital myopathy: causal relationship to decrease of interstitial cells of Cajal. Brain Dev. 27, 447-450. 

  14. Lee, H. K. and Sanders, K. M. 1993. Comparison of the electric currents from interstitial cells and smooth muscle cells of canine proximal colon. J. Physiol. 460, 135-152. 

  15. Ogata, R., Inoue, Y., Nakano, H., Ito, Y. and Kitamura, K. 1996. Oestradiol-induced relaxation of rabbit basilar artery by inhibition of voltage-dependent Ca channels through GTP-binding protein. Br. J. Pharmacol. 117, 351-359. 

  16. Prommer, E. 2013. Olanzapine: palliative medicine update. Am. J. Hosp. Palliat. Care. 30, 75-82. 

  17. Sanders, K. M., Koh, S. D., Ro, S. and Ward, S. M. 2012. Regulation of gastrointestinal motility--insights from smooth muscle biology. Nat. Rev. Gastroenterol. Hepatol. 9, 633-645. 

  18. Sanders, K. M., Ordog, T. and Ward, S. M. 2002. Physiology and pathophysiology of the interstitial cells of Cajal: from bench to bedside. IV. Genetic and animal models of GI motility disorders caused by loss of interstitial cells of Cajal. Am. J. Physiol. Gastrointest. Liver Physiol. 282, G747-756. 

  19. Sanders, K. M., Tamas, O., Kho, S. D., Torihashi, S. and Ward, S. M. 1999. Deveolpment of interstitial cells of cajal. Neurogastroenterol. Motil. 11, 3-11. 

  20. Sanders, K. M., Ward, S. M. and Koh, S. D. 2014. Interstitial cells: regulators of smooth muscle function. Physiol. Rev. 94, 859-907. 

  21. Zhang, J., Qiao, Y., Le, J., Sun, D., Guan, Y. and Li, Z. 2016. Olanzapine may inhibit colonic motility associated with the 5-HT receptor and myosin lightchain kinase. Psychiatry Investig. 13, 232-238. 

  22. Zhang, Y. H. and Hancox, J. C. 2003. A novel, voltage-dependent nonselective cation current activated by insulin in guinea pig isolated ventricular myocytes. Circ. Res. 92, 765-768. 

  23. Zhu, M. H., Kim, T. W., Ro, S., Yan, W., Ward, S. M., Koh, S. D. and Sanders, K. M. 2009. A $Ca^{2+}$ -activated Cl-conductance in interstitial cells of Cajal linked to slow wave currents and pacemaker activity. J. Physiol. 587, 4905-491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