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제 강점기 문헌에 나오는 식물명의 재검토: 황정(黃精)과 위유(萎蕤)를 중심으로
Reexamination of plant names in the literature published during the Japanese Imperialism Period with special reference to Hwangjeong and Wiyu 원문보기

식물분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49 no.3, 2019년, pp.253 - 260  

신현철 (순천향대학교생명시스템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자로 표기된 식물명 황정과 위유는 조선시대에 편찬된 "향약집성방"에 처음 나오는데, 이후 조선시대에는 이들을 한글명으로 죽대와 둥굴레로 각각 불러 왔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에 발간된 문헌에는 한글명 죽대, 한자명 황정에 이들의 분류학적 실체와는 무관한 학명들과 한글명이 부여되어 있었으나, 이러한 오류가 수정되지 않고 오늘날까지 이르렀다. 본 연구 결과, 한자명 황정, 한글명 죽대의 분류학적 실체는 Polygonatum sibiricum으로 확인되었고, 그에 따라 현재 사용하고 있는 한글명 층층갈고리둥굴레보다는 죽대로 사용하는 것이 타당함이 밝혀졌다. 한편, 한자명 위유와 한글명 둥굴레는 P. odoratum으로 파악되었는데, 일제 강점기에는 이 학명의 이명으로 간주되는 학명들이 한자명 위유와 한글명 둥굴레에 부여되었음이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lant names Hwangjeong and Wiyu were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in Hyang-yak-jib-seong-bang during the early Chosen dynasty. However, soon after, Hwangjeong and Wiyu were written in Korean characters as Jukdae and Dung-gul-re, respectively. However, since under the Japanese imperialist perio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 최고의 의서로 알려진 『향약집성방』과 『동의보감』에서 설명하는 나오는 황정(黃精)과 위유(萎蕤)를 대상으로 일제강점기 이전에 간행된 우리나라 자료들과 일제강점기에 발간된 각종 자료들을 비교하여, 이들의 분류학적 실체를 규명함과 동시에, 일제강점기에 발간된 식물학 관련 문헌에 나오는 국명의 문제점들을 파악하고, 문제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자 했다. 이 두 식물은 약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위유를 황정으로, 황정을 진황정으로 사용하고 있어 약물의 이름을 호칭할 때와 약을 먹을 때에 혼란을 야기하고 있어(Ahn, 1985), 이들의 분류학적 실체 규명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선시대 문헌상에서 기록된 황정의 분포는? 황정은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평안도平安道」의 약재로 기록되어 있으며, 『동의보감』에는 “평안도에만 분포하며 평상시에 공물로 바친(我國惟平安道有之 平時上貢焉)” 것으로 설명되어 있다. 그리고 『산림경제』, 1771년 서명응이 편찬한 『고사신서攷事新書』, 19세기에 이규경이 편찬한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등에도 평안도에 황정이 자라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고, 1806년에 시작하여 1841년에 걸쳐 서유구가 편찬한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에는 “평안도 영변의 것이 최고이며, 충청도 목천 등지에도 있다(以關西寧邊者爲最 今湖西木川等地亦有之).”고 설명되어 있다.
황정이란 무엇인가? 황정은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평안도平安道」의 약재로 기록되어 있으며, 『동의보감』에는 “평안도에만 분포하며 평상시에 공물로 바친(我國惟平安道有之 平時上貢焉)” 것으로 설명되어 있다. 그리고 『산림경제』, 1771년 서명응이 편찬한 『고사신서攷事新書』, 19세기에 이규경이 편찬한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등에도 평안도에 황정이 자라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고, 1806년에 시작하여 1841년에 걸쳐 서유구가 편찬한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에는 “평안도 영변의 것이 최고이며, 충청도 목천 등지에도 있다(以關西寧邊者爲最 今湖西木川等地亦有之).
대중분류학의 예시는 어떤 게 있는가? 외국에서는 식물분류학의 시작을 인류의 탄생과 함께 인류의 생존을 위한 식물의 구분, 즉 대중분류학(folk taxonomy)을 식물분류학의 시작으로 간주하면서, 이 시기에 사용되었던 식물의 국명과 용도, 그리고 전반적인 분류 체계를 연구하고 있다(Jones and Luchsinger, 1987). 한가지 실례로 기원전 그리스 철학자인 테오프라스토스(Theophratos)가 쓴 것으로 알려진 『식물 탐구 Enquiry into Plants』와『식물의 성장 The Causes of Plants』에 있는 식물 분류학 관련 내용에서, 그가 식물을 교목, 관목, 아관목 그리고 초본으로 분류했음도 파악했다(Radford et al., 197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Ahn, D. K. 1985. A herbal study on Polygonatum species. Korean Journal of Pharmacognosy 16: 105-113. (in Korean) 

  2. Anonymous. 1976. Flora Coreana, Vol. 7. The Science and Technology Publishing House, Pyongyang, 367 pp. (in Korean) 

  3. Anonymous, 2006. New Translation of Dongui Bogam (Principles and Practice of Eastern Medicine) Tangaekpyeon (Remedies). Buminmunhwasa, Seoul, 3987 pp. (in Korean) 

  4. Chen, X. and N. N. Tamura. 2000. Polygonatum Miller. In Flora of China, Vol. 24. Flagellariaceae through Marantaceae. Wu, Z. Y. and P. H. Raven (eds.), Science Press, Beijing and Missouri Botanical Garden, St. Louis, MO. Pp. 223-232. 

  5. Chin, C.-J. 1978. A preliminary study of the thoughts of plant classification in ancient China. Journal of Systematics and Evolution 16: 101-112. (in Chinese) 

  6. Chinese Text Project. 2019. Retrieved April 20, 2019, available from https://ctext.org. 

  7. Cho, M., W. Lee and S. Choi. 2018. The origin of Korean plant common names, seen through an examination of the "Determination Principles" of Joseon singmul hyangmeyongjip. Journal of the Korean History of Science Society 40: 551-608. (in Korean) 

  8. Choi, I.-S., I.-G. Song, H.-D. Lee, J.-T. Cho, K.-S. Choi, S.-S. Lee, S.-D. Kim, S.-G. Park and I.-M. Chung. 1996. Effect of seed tuber weight on growth and yield in Polygonatum stenophyllum Max. Korean Journal of Plant Research 9: 23-30. (in Korean) 

  9. Chung, M. Y., J. Lopez-Pujol, J. M. Chung, K.-J. Kim and M. G. Chung. 2014. Contrasting levels of clonal and within-population genetic diversity between the 2 ecologically different herbs Polygonatum stenophyllum and Polygonatum inflatum (Liliaceae). Journal of Heredity 105: 690-701. 

  10. Chung, T. H., B. S. Do, D. B. Lee and H. J. Lee. 1937. Botanical Names of Joseon. Society of History of Joseon, Seoul, 222 pp. (in Korean) 

  11. Chung, T. H., B. S. Do and H. J. Shim. 1949. Plant Names in Korea, I. Herba. Society of Biology of Joseon, Seoul. 235 pp. (in Korean) 

  12. Chung, Y. H., H.-K. Choi, B.-Y. Sun, Y. C. Chung and K.-J. Kim. 1986. The history of vascular plants in Korea. In Introduction to the Historical Study of Korea Plant Taxonomy. Chung, Y. H. (ed.), Academy Publishing Co., Seoul, Pp. 1-190. (in Korean) 

  13. Chung, Y. W., Y. P. Hong, K. H. Shim and K. K. Kim. 1997. Dictionary of Chinese Terms in Later Chosen Dynasty.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Seongnam, 694 pp. (in Korean) 

  14. Dequaan, L. and M. G. Gilbert. 2003. Portulaceae. In Flora of China, Vol. 5. Ulmaceae through Basellaceae. Science Press, Beijing and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St. Louis, MO. Pp. 442-444. 

  15. Flora of China in Chinese. 2019. Retrieved April 20, 2019, available from http://frps.iplant.cn/. 

  16. Flora of China in English. 2019. Retrieved April 20, 2019, available from http://www.efloras.org/. 

  17. Hayashi, Y. and D. G. Tei. 1936. Wild Medicinal Plants of Chosen (Korea). Bulletin of Forest Experiment Station 22: 1-228. (in Japanese) 

  18. Im, R. J. 2000. Flora Koreana, Vol. 9. The Science and Technology Publishing House, Pyongyang, 378pp. (in Korean). 

  19. Ishidoya, T. 1917. Report on the Oriental Medicinal Plants in Korea. The Government of Chosen, Seoul, 60 pp. 

  20. Jang, C. G. 1998. A systematic study of the genus Polygonatum (Liliaceae) with a special reference to Korean species. PhD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458 pp. (in Korean) 

  21. Jang, C. G. 2002. A taxonomic review of Korean Polygonatum (Ruscaceae).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32: 417-447. (in Korean) 

  22. Jang, K. H., J. M. Park, J. H. Kang and S. T. Lee. 1998. Growth and flowering characteristics of Polygonatum spp.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6: 142-148. (in Korean) 

  23. Jones, S. B. Jr. and A. E. Luchsinger. 1987. Plant Systematics. 2nd ed. McGraw-Hill Book Company, New York, 512 pp. 

  24. Kim, D.-C. 1983. A diachronic study on the name transcription system, with special reference to Hyangmyong in the Hyangyak Chipsong-pang. MS thesis, Dankuk Univeristy, Seoul, 191 pp. (in Korean) 

  25. Kim, I. K. 2015. A study of traditional organism classification and its literature materials. Korean Studies Quarterly 38: 116-161. (in Korean) 

  26. Lee, G. W. 2002.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oriental herbs in Decortion Part in Dong-Eui-Bo-Gam. M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ju, 80 pp. (in Korean) 

  27. Lee, J. 2012. Contested botanizing in colonial Korea (1910-1945), conflicting visions of modernity emerging through colonial interaction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researchers. Ph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89 pp. (in Korean) 

  28. Lee, W. T. 1996. Lineamenta Florae Koreae. Academic Books, Seoul, 1688 pp. (in Korean) 

  29. Lee, Y. O. 2016. Herb Names Rechristening by Japanese. Inmul and Sasang Publishing, Co., Seoul, 204 pp. (in Korean) 

  30. Li, P.-T. and A. J. M. Leeuwenberg. 1996. Gelsemium Jussieu. In Flora of China, Vol. 15. Myrsinaceae through Loganiaceae. Wu, Z. Y. and P. H. Raven (eds.), Science Press, Beijing and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St. Louis, MO. P. 329. 

  31. Mori, T. 1922. An Enumeration of Plants hitherto Known form Corea. The Government of Chosen, Seoul, 624 pp. 

  32. Murata, S. 1932. Botanical Dictionary of Korean and Manchuria. Mesirokaku Showing, Tokyo, 778 pp. (in Japanese) 

  33. Nam, K. W. 2017. Kyohak Dictionary of Ancient Hangeul. Kyohaksa, Seoul, 1475 pp. (in Korean) 

  34. Oh, C.-K. 2011. Applications of Classified Emergency Materia Medica on treasured mirror of Eastern medicine and compendium of prescriptions from the countryside. Journal of Oriental Medical Classics 24: 107-118. (in Korean) 

  35. Park, M.K. 1949. An Enumeration of Korean Plants. Ministry of Education, Seoul, pp.340+176pp, (in Korean). 

  36. Radford, A. E., W. C. Dickison, J. R. Massey and C. R. Bell. 1974. Vascular Plant Systematics. Harper & Row Publishers, New York, 891 pp. 

  37. Sheen, Y. I. 1994. A research of Hyang-Yack-Ku-Keup-Pang (Restoration and Medico-Historic Investigation). PhD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Seoul, 190 pp. (in Korean) 

  38. Shin, D. W. 2014. History of Medicine in Chosen. Deunyuk, Seoul, 951 pp. (in Korean) 

  39. Shin, H., M. Nomura, I. K. Kim and S.-J. Hong. 2017. Reexamination of the Korean plant names Changpo and Sukchangpo.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47: 154-160. (in Korean) 

  40. Shin, H., M. Nomura, I. K. Kim, H.-C. Ki and S.-J. Hong. 2017. Reexamination of plant names, Jingyo.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47: 328-335. (in Korean) 

  41. Shin, M. K. 2015. Clinical Traditional Herbalogy. Youngrimsa, Seoul, 956 pp. (in Korean) 

  42. Shin, M. K., K. Park and W. J. Maeng. 1998. Korean Translation Edition of Hyangyak jipseongbang (translantion). Youngrimsa, Seoul, 2086 pp. (in Korean) 

  43. Shin, S. S. 1995. A study on the Korean traditional medical literatures before Koryo Dynasty. Korean Journal of Medical History 4: 45-66. (in Korean) 

  44. Son, B.T. 1996. Research on the plants names of Hyangyak. Yeungnam Emunhak 30: 105-191. (in Korean). 

  45. Song, J.-M., G.-Y. Lee and J.-S. Yi. 2009. Growth environment and vegetation structure of natural habitat of Polygonatum stenophyllum Maxim. Journal of Forest Science 25: 187-194. (in Korean) 

  46. Tian, Q.-J., Z. Zhao and F.-G. Gu. 2009. Studies on properties of flowering and seed setting of culture Polygonatum. Seed 2009: 29-31. (in Chinese) 

  47. Wang, F. T., T. Tang, S.-C. Chen, G.-Y, Chang, L.-K. Dai, S.-Y. Liang, Y.-C. Tang, L. Liou and K.-Y. Lang. 1978. Flora Reipublicae Popularis Sinicae. Tomus 15. Science Press, Beijing, 280 pp. (in Chinese)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