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주경로 분석과 연관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구전(WoM)' 관련 연구동향 분석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f 'Word of Mouth (WoM)' through Main Path and Word Co-occurrence Network원문보기
구전(Word-of-Mouth) 활동은 오래 전부터 기업의 마케팅 과정에서 중요성을 인식하고 특히 마케팅 분야에서 많은 주목을 받아왔다. 최근에는 인터넷의 발달에 따라 온라인 뉴스,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서 사람들이 지식과 정보를 주고 받는 방식이 다양해지면서 구전은 후기, 평점, 좋아요 등으로 입소문의 양상이 다각화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에 따라 구전에 관한 다양한 연구들이 선행되어왔으나, 이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메타 분석 연구는 부재하다. 본 연구는 학술 빅데이터를 활용해 구전 관련 연구동향을 알아내기 위해서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적용하여 주요 연구들을 추출하고 시기별로 연구들의 주요 쟁점을 파악하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서 1941년부터 2018년까지 인용 데이터베이스인 Scopus에서 'Word-of-Mouth'라는 키워드로 검색되는 총 4389건의 문헌을 수집하였고, 영어 형태소 분석과 불용어 제거 등 전처리 과정을 통해 데이터를 정제하였다. 본 연구는 학문 분야의 발전 궤적을 추적하는 데 활용되는 주경로 분석기법을 적용해 구전과 관련된 핵심 연구들을 추출하여 연구동향을 거시적 관점에서 제시하였고, 단어동시출현 정보를 추출하여 키워드 간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시기별로 구전과 관련된 연관어들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살펴봄으로써 연구동향을 미시적 관점에서 제시하였다. 수집된 문헌 데이터를 기반으로 인용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SPC 가중치를 적용하여 키루트 주경로를 추출한 결과 30개의 문헌으로 구성된 주경로가 추출되었고, 연관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서는 시기별로 온라인 시대, 관광 산업 등 다양한 산업군 등 산업 변화가 반영돼 시대적 변화와 더불어 발전하고 있는 학술적 영역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구전(Word-of-Mouth) 활동은 오래 전부터 기업의 마케팅 과정에서 중요성을 인식하고 특히 마케팅 분야에서 많은 주목을 받아왔다. 최근에는 인터넷의 발달에 따라 온라인 뉴스,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서 사람들이 지식과 정보를 주고 받는 방식이 다양해지면서 구전은 후기, 평점, 좋아요 등으로 입소문의 양상이 다각화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에 따라 구전에 관한 다양한 연구들이 선행되어왔으나, 이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메타 분석 연구는 부재하다. 본 연구는 학술 빅데이터를 활용해 구전 관련 연구동향을 알아내기 위해서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적용하여 주요 연구들을 추출하고 시기별로 연구들의 주요 쟁점을 파악하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서 1941년부터 2018년까지 인용 데이터베이스인 Scopus에서 'Word-of-Mouth'라는 키워드로 검색되는 총 4389건의 문헌을 수집하였고, 영어 형태소 분석과 불용어 제거 등 전처리 과정을 통해 데이터를 정제하였다. 본 연구는 학문 분야의 발전 궤적을 추적하는 데 활용되는 주경로 분석기법을 적용해 구전과 관련된 핵심 연구들을 추출하여 연구동향을 거시적 관점에서 제시하였고, 단어동시출현 정보를 추출하여 키워드 간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시기별로 구전과 관련된 연관어들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살펴봄으로써 연구동향을 미시적 관점에서 제시하였다. 수집된 문헌 데이터를 기반으로 인용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SPC 가중치를 적용하여 키루트 주경로를 추출한 결과 30개의 문헌으로 구성된 주경로가 추출되었고, 연관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서는 시기별로 온라인 시대, 관광 산업 등 다양한 산업군 등 산업 변화가 반영돼 시대적 변화와 더불어 발전하고 있는 학술적 영역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Word-of-mouth (WoM) is defined by consumer activities that share information concerning consumption. WoM activities have long been recognized as important in corporate marketing processes and have received much attention, especially in the marketing field. Recently,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
Word-of-mouth (WoM) is defined by consumer activities that share information concerning consumption. WoM activities have long been recognized as important in corporate marketing processes and have received much attention, especially in the marketing field. Recently,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the way in which people exchange information in online news and online communities has been expanded, and WoM is diversified in terms of word of mouth, score, rating, and liking. Social media makes online users easy access to information and online WoM is considered a key source of information. Although various studies on WoM have been preceded by this phenomenon, there is no meta-analysis study that comprehensively analyzes them. This study proposed a method to extract major researches by applying text mining techniques and to grasp the main issues of researches in order to find the trend of WoM research using scholarly big data. To this end, a total of 4389 documents were collected by the keyword 'Word-of-mouth' from 1941 to 2018 in Scopus (www.scopus.com), a citation database, and the data were refined through preprocessing such as English morphological analysis, stopwords removal, and noun extraction. To carry out this study, we adopted main path analysis (MPA) and word co-occurrence network analysis. MPA detects key researches and is used to track the development trajectory of academic field, and presents the research trend from a macro perspective. For this, we constructed a citation network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node means a document and the link means a citation relation in citation network. We then detected the key-route main path by applying SPC (Search Path Count) weights. As a result, the main path composed of 30 documents extracted from a citation network. The main path was able to confirm the change of the academic area which was developing along with the change of the times reflecting the industrial change such as various industrial groups. The results of MPA revealed that WoM research was distinguished by five periods: (1) establishment of aspects and critical elements of WoM, (2)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WoM variables, (3) beginning of researches of online WoM, (4)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WoM and purchase, and (5) broadening of topics. It was found that changes within the industry was reflected in the results such as online development and social media. Very recent studies showed that the topics and approaches related WoM were being diversified to circumstantial changes. However, the results showed that even though WoM was used in diverse fields, the main stream of the researches of WoM from the start to the end, was related to marketing and figuring out the influential factors that proliferate WoM. By applying word co-occurrence network analysis, the research trend is presented from a microscopic point of view. Word co-occurrence network was construc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keywords and social network analysis (SNA) was utilized. We divided the data into three periods to investigate the periodic changes and trends in discussion of WoM. SNA showed that Period 1 (1941~2008) consisted of clusters regarding relationship, source, and consumers. Period 2 (2009~2013) contained clusters of satisfaction, community, social networks, review, and internet. Clusters of period 3 (2014~2018) involved satisfaction, medium, review, and interview. The periodic changes of clusters showed transition from offline to online WoM. Media of WoM have become an important factor in spreading the words. This study conducted a quantitative meta-analysis based on scholarly big data regarding WoM. The main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provides a micro perspective on the research trend of WoM as well as the macro perspective.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citation network constructed in this study is a network based on the direct citation relation of the collected documents for
Word-of-mouth (WoM) is defined by consumer activities that share information concerning consumption. WoM activities have long been recognized as important in corporate marketing processes and have received much attention, especially in the marketing field. Recently,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the way in which people exchange information in online news and online communities has been expanded, and WoM is diversified in terms of word of mouth, score, rating, and liking. Social media makes online users easy access to information and online WoM is considered a key source of information. Although various studies on WoM have been preceded by this phenomenon, there is no meta-analysis study that comprehensively analyzes them. This study proposed a method to extract major researches by applying text mining techniques and to grasp the main issues of researches in order to find the trend of WoM research using scholarly big data. To this end, a total of 4389 documents were collected by the keyword 'Word-of-mouth' from 1941 to 2018 in Scopus (www.scopus.com), a citation database, and the data were refined through preprocessing such as English morphological analysis, stopwords removal, and noun extraction. To carry out this study, we adopted main path analysis (MPA) and word co-occurrence network analysis. MPA detects key researches and is used to track the development trajectory of academic field, and presents the research trend from a macro perspective. For this, we constructed a citation network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node means a document and the link means a citation relation in citation network. We then detected the key-route main path by applying SPC (Search Path Count) weights. As a result, the main path composed of 30 documents extracted from a citation network. The main path was able to confirm the change of the academic area which was developing along with the change of the times reflecting the industrial change such as various industrial groups. The results of MPA revealed that WoM research was distinguished by five periods: (1) establishment of aspects and critical elements of WoM, (2)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WoM variables, (3) beginning of researches of online WoM, (4)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WoM and purchase, and (5) broadening of topics. It was found that changes within the industry was reflected in the results such as online development and social media. Very recent studies showed that the topics and approaches related WoM were being diversified to circumstantial changes. However, the results showed that even though WoM was used in diverse fields, the main stream of the researches of WoM from the start to the end, was related to marketing and figuring out the influential factors that proliferate WoM. By applying word co-occurrence network analysis, the research trend is presented from a microscopic point of view. Word co-occurrence network was construc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keywords and social network analysis (SNA) was utilized. We divided the data into three periods to investigate the periodic changes and trends in discussion of WoM. SNA showed that Period 1 (1941~2008) consisted of clusters regarding relationship, source, and consumers. Period 2 (2009~2013) contained clusters of satisfaction, community, social networks, review, and internet. Clusters of period 3 (2014~2018) involved satisfaction, medium, review, and interview. The periodic changes of clusters showed transition from offline to online WoM. Media of WoM have become an important factor in spreading the words. This study conducted a quantitative meta-analysis based on scholarly big data regarding WoM. The main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provides a micro perspective on the research trend of WoM as well as the macro perspective.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citation network constructed in this study is a network based on the direct citation relation of the collected documents fo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본 연구의 목적은 마케팅 분야에서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구전에 대하여 연구동향이 어떻게 발전해왔는지 데이터를 통해 탐색하고 그 특징을 분석하는 데 있다.
, 1999). 본 연구는 전통적인 메타 분석이 정성적인 평가에 의해 진행되는 것과는 달리 학술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계량분석적으로 접근하는 정량적 평가를 진행하여 구전에 관한 문헌들의 특징을 데이터를 통해 도출하였다.
본 절에서는 거시적인 관점에서 구전 관련 연구동향을 살펴보고자 추출된 주경로를 통시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기업의 마케팅 분야에서 특히 주목을 받아온 구전에 관한 연구들의 연구동향을 알아내고자 학술 빅데이터를 활용해 메타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경로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핵심연구들을 추출하였고 단어동시출현 기반 연관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구전 연구가 시기별로 어떤 단어들과 함께 진행되었는지 계량분석적으로 접근하여 그 특징을 분석하였다.
셋째, 본 연구는 4389건의 구전 관련 문헌을 수집하여 문헌분석을 실시하여 소수의 데이터에서 유도되는 데이터 왜곡을 최대한 피하고 분석결과의 대표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였다. 그 결과 온라인 구전과 관련된 연구의 기본적인 골격은 연구의 태생부터 최근까지 마케팅 차원에서 이루어졌으며, 구전의 구성요소를 파악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있다는 사실을 데이터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가설 설정
주경로 분석은 특정 학문 분야의 발전 궤적을 추적하는 데 활용되는 방법론으로 인용 네트워크에서 가장 의미 있는 경로를 추적하는 네트워크 분석 방법이다(Liu and Lu, 2012). 주경로 분석에서는 구축된 인용 네트워크 내에서 내향 연결정도(indegree)가 0인 모든 노드를 경로의 시작점인 소스(source), 외향 연결정도(outdegree)가 0인 모든 노드를 경로의 끝점인 싱크(sink)라 가정한다. 그리고 이 소스와 싱크 사이의 모든 노드와 아크에 대해 횡단 가중치(traversal weight)를 계산한 뒤 횡단 가중치가 가장 높은 경로를 주경로로 결정한다(Nooy et al.
제안 방법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 기존의 정성적 분석을 통해 진행한 메타 분석과는 달리 대량의 학술 빅데이터를 수집하여 콘텐츠 분석을 실시하는 분석기법 즉, 계량분석기법을 도입하여 정량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계량분석기법은 인용문헌을 기반으로 연구가 진행된 주경로(main path)를 분석하는 주경로 분석기법과 단어의 동시출현빈도에 기반한 연관어 네트워크 분석기법이다.
(2015)는 온라인 구전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51건의 연구를 통해 메타 분석을 실시하고 온라인 구전 효과를 실증적으로 입증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제품 성격과 산업 특성, 플랫폼 특성 등을 고려한 추가 데이터를 수집해 분석에 반영하였다. 연구 결과, 제품 매출과 온라인 구전의 질과 양은 각각 0.
국내 마케팅 분야의 학술 연구를 대상으로 문헌 고찰을 실시한 연구로는 Ryu and Yoo(2015)의 연구로, 마케팅연구, Asia Marketing Journal, 소비자학연구, 경영학연구 등 주요 마케팅 관련 학술지 4종에 10년간 게재된 논문 중 구전과 관련된 문헌을 선정하고 이들의 연구결과를 정리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그는 구전 관련 연구를 구전 발생 및 정보 전달, 구전 효과 및 정보 수신, 구전 보상과 사회 연결망 등 세 가지로 구분하고, 구전 연구의 증가추세, 연구 주제와 방법론 등을 분석하였다. 그의 연구에서는 소비 경험 및 품질, 소비자 및 상황 요인, 구전의 차원 및 유형, 메시지의 특성 등 다양한 변수들이 구전 발생의 영향 요인과 구전 효과의 조절 요인으로 다루어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텍스트 전처리 과정에서 영어 형태소 분석과 불용어 제거를 수행하였다. 불용어에는 검색 키워드인 ‘word-of-mouth’, ‘wom’와 더불어 연구논문에서 빈번하게 나타나는 ‘structural equation model’,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ime’, ‘mediator’, ‘focus group’, ‘design methodology approach’, ‘empirical result’, ‘first study’, ‘research model’, ‘survey data’, ‘research finding’ 등이 포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주경로 분석과 동시출현단어기반 연관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구전’관련 연구의 메타 분석을 수행하였다.
주경로 분석을 위해서는 관련 기능을 가진 Bibexcel(Persson, Danell, & Schneider, 2009)과 Pajek(http://mrvar.fdv.uni-lj.si/pajek/)을 활용해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구전 관련 연구의 연구동향을 미시적으로 분석하여 시기별 변화를 살펴보고자 서명과 초록에 나타난 단어들을 기반으로 동시출현 기반 연관어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사회 연결망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 SNA) 기법으로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동시출현용어 기반 연관어 네트워크 분석은 특정 용어와 동시에 출현한 단어들을 추출하여 연관어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분석하는 방법론이다(Kang, 2010).
본 연구에서는 구전 관련 연구의 시기별 트렌드를 분석하기 위해서 시기별 논문 발행 건수를 고려하여 분석 기간을 크게 세 개의 시기로 구분하여 구분하였다. 1941년부터 2018년까지 수집된 데이터를 1941-2008년(P1), 2009-2013년(P2), 2014-2018년(P3) 등 총 세 구간으로 나눠서 시기별 구전 관련 연구에 대한 핵심 키워드를 추출하여 연관어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구전 관련 연구의 시기별 트렌드를 분석하기 위해서 시기별 논문 발행 건수를 고려하여 분석 기간을 크게 세 개의 시기로 구분하여 구분하였다. 1941년부터 2018년까지 수집된 데이터를 1941-2008년(P1), 2009-2013년(P2), 2014-2018년(P3) 등 총 세 구간으로 나눠서 시기별 구전 관련 연구에 대한 핵심 키워드를 추출하여 연관어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구축된 연관어 네트워크는 VOSviewer(www.
본 절에서는 구전 관련 연구동향을 미시적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초록으로부터 추출한 키워드를 기반으로 동시출현 기반 연관어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SNA 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시기별로 제시하였다. 키워드 추출과 네트워크 분석은 VOSviewer의 키워드 기반 동시출현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진행하였으며 시각화는 Overlay Visualization을 이용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기업의 마케팅 분야에서 특히 주목을 받아온 구전에 관한 연구들의 연구동향을 알아내고자 학술 빅데이터를 활용해 메타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경로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핵심연구들을 추출하였고 단어동시출현 기반 연관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구전 연구가 시기별로 어떤 단어들과 함께 진행되었는지 계량분석적으로 접근하여 그 특징을 분석하였다.
첫째, 본 연구는 구전 관련 연구 트렌드를 분석하기 위해서 다수의 문헌들을 대상으로 정성적 평가에 의존하는 전통적인 메타 분석을 사용한 것이 아니라, 학술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계량분석적으로 접근하는 정량적 평가를 진행하여 구전에 관한 문헌들의 내용적 특징(content analysis)을 데이터를 통해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이는 텍스트마이닝을 적용한 최신 방법론으로 특히 구전관련 연구분야에서는 시도한 것이 없다.
둘째, 본 연구에서 제시한 데이터 기반 계량분석은 구전 관련 연구동향을 거시적 관점과 미시적 관점으로 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주경로 분석을 통해 구전과 관련된 핵심 연구를 거시적 관점에서 연구동향을 통시적으로 분석하여 결과를 제시하였고, 연관어 네트워크를 통해 미시적관점에서의 연구동향의 변화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 제시한 데이터 기반 계량분석은 구전 관련 연구동향을 거시적 관점과 미시적 관점으로 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주경로 분석을 통해 구전과 관련된 핵심 연구를 거시적 관점에서 연구동향을 통시적으로 분석하여 결과를 제시하였고, 연관어 네트워크를 통해 미시적관점에서의 연구동향의 변화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구전 연구의 동향분석을 통해 온라인 시대, 관광 산업 등 다양한 산업군 등 산업 변화가 반영돼 시대적 변화와 더불어 발전하고 있는 학술적 영역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대표적인 인용 데이터베이스인 Scopus와 Web of Science의 선택에서 발생하게 된 한계이다. 본 연구는 데이터 수집과 분석의 과정에서 Scopus 데이터베이스에서 문헌을 수집하는 것이 데이터 사이즈 등 연구에 실질적인 유익을 준다는 판단 아래 Scopus에서 문헌을 수집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러나 Scopus 문헌의 인용정보(reference)를 활용하여 확대 인용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는 적절한 도구(tool)가 아직 개발된 것이 없다.
그러나 Scopus 문헌의 인용정보(reference)를 활용하여 확대 인용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는 적절한 도구(tool)가 아직 개발된 것이 없다. 따라서 4389건의 구전관련 문헌이 포함하고 있는 참고문헌의 서지사항을 추출하여 확대 인용 네트워크로 구축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어 본 연구에서는 수집된 문헌만으로 구성된 직접인용 네트워크로 제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941∼2008년(P1), 2009∼2013년(P2), 2014∼2018년(P3) 등 세 시기로 구분하여 구전 관련 문헌들에 나타난 연관어들의 변화를 제시하였다.
대상 데이터
데이터는 ‘Word-of-Mouth’라는 키워드를 사용하여 검색하였고 1941년부터 2018년까지 Scopus등재 총 4389건의 문헌이 수집되었다.
관련 논문을 수집하는데 있어 검색 키워드로 ‘WoM’, ‘Word of Mouth’, ‘eWoM’, ‘Electronic -Word of Mouth’, ‘Online Word-of-Mouth’ 등 다양하게 시도하였으나, ‘Word-of-Mouth’로 검색되는 문헌이 가장 많아 이 키워드의 검색결과가 포괄적으로 구전에 관한 문헌을 수집할 수 있으리라 보고 ‘Word-of-Mouth’ 키워드를 최종 선택해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는 세계 최대 인용 데이터베이스 중 하나인 Scopus 데이터베이스(www.scopus.com)에서 구전 관련 연구논문(article) 데이터를 수집하여 수행하였다. Scopus는 전세계 학술지 2만2700여종의 저널을 수록한 글로벌 최대 학술 데이터베이스 중 하나로 문헌의 서지, 초록, 인용 정보 등을 제공하고 있다.
구전 관련 연구가 가장 많이 진행된 국가는 미국(1610건)이며, 그 뒤로 영국(360건)과 중국(321건)이다. 대한민국 251건으로 5위로 확인되었다.
데이터처리
본 연구에서 사용한 횡단 가중치는 가장 효율적으로 횡단 가중치를 산출하는 기법인 SPC를 사용하였고, 키루트 주경로 추출 기법을 통해 구전 관련 연구의 통시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절에서는 구전 관련 연구동향을 미시적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초록으로부터 추출한 키워드를 기반으로 동시출현 기반 연관어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SNA 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시기별로 제시하였다. 키워드 추출과 네트워크 분석은 VOSviewer의 키워드 기반 동시출현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진행하였으며 시각화는 Overlay Visualization을 이용하여 제시하였다. Overlay Visualization은 주요 키워드를 평균 연도별로 색상 변화를 통해 보여주어 연도별 주요 키워드를 파악하는 데 용이하다.
이론/모형
본 연구에서 수행한 계량분석기법은 인용문헌을 기반으로 연구가 진행된 주경로(main path)를 분석하는 주경로 분석기법과 단어의 동시출현빈도에 기반한 연관어 네트워크 분석기법이다. 연관어 분석을 위해서는 사회연결망 분석기법에 사용되는 중심성 지수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노드의 중심성을 측정하는 지표로 Freeman(1979)이 제시하는 연결 중심성(degree centraliy), 근접 중심성(closeness centrality), 매개 중심성(between centrality) 척도 중에서 연결 중심성을 적용하였다. 연결 중심성은 노드와 연결된 이웃 노드가 많을수록 중심성 값이 증가한다.
1941년부터 2018년까지 수집된 데이터를 1941-2008년(P1), 2009-2013년(P2), 2014-2018년(P3) 등 총 세 구간으로 나눠서 시기별 구전 관련 연구에 대한 핵심 키워드를 추출하여 연관어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구축된 연관어 네트워크는 VOSviewer(www.vosviewer.com)를 이용하여 시각화하였다. 주경로 분석을 위해서는 관련 기능을 가진 Bibexcel(Persson, Danell, & Schneider, 2009)과 Pajek(http://mrvar.
성능/효과
마지막으로 온라인 구전의 질보다는 양이 매출에 영향을 더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정적인 구전은 항상 매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었으나 변동성이 높은 리뷰일수록 매출에는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 연구에서는 제품 성격과 산업 특성, 플랫폼 특성 등을 고려한 추가 데이터를 수집해 분석에 반영하였다. 연구 결과, 제품 매출과 온라인 구전의 질과 양은 각각 0.236과 0.417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독립적인 리뷰 사이트에서 게재된 리뷰와 경쟁이 낮은 산업의 개인 소유의, 실험성이 덜한 상품일수록 구전의 양과 질적 차이에 미치는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17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독립적인 리뷰 사이트에서 게재된 리뷰와 경쟁이 낮은 산업의 개인 소유의, 실험성이 덜한 상품일수록 구전의 양과 질적 차이에 미치는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내구 소모재(자동차와 TV 등 한번 사면 오래 사용하는 상품)와 전문리뷰 사이트에 게재된 리뷰일수록 매출과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독립적인 리뷰 사이트에서 게재된 리뷰와 경쟁이 낮은 산업의 개인 소유의, 실험성이 덜한 상품일수록 구전의 양과 질적 차이에 미치는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내구 소모재(자동차와 TV 등 한번 사면 오래 사용하는 상품)와 전문리뷰 사이트에 게재된 리뷰일수록 매출과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커뮤니티 사이트에서는 온라인 후기의 질과 매출의 상관관계가 더 높았다.
091로 나타났으며 플랫폼, 제품 등 특성에 따라 결과는 달라졌다. 특히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서의 온라인 구전 효과가 전자상거래(e-commerce) 플랫폼보다 강한 것으로 확인됐고 시장에 새로 선보인 유형재의 매출에 온라인 구전 효과가 강한 반면, 제품의 수명 주기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구전의 질보다는 양이 매출에 영향을 더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정적인 구전은 항상 매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었으나 변동성이 높은 리뷰일수록 매출에는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
Matos and Rossi(2008)는 구전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연구하기 위해 선행연구들을 정리하는 메타 분석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 긍정과 부정 등 구전의 억양, 만족도와 충성도가 구전과 높은 관계를 보였으며, 구전의 의도와 관련된 연구보다 구전의 태도에 관한 연구가 구전과 충성도의 관계가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Colliander(2018)는 인스타그램 마케팅에 있어 제품의 사진을 올릴 때, 스냅샷과 스튜디오 사진을 올리는 계정 중 어떤 계정이 브랜드 인지도를 상승시키고 사람들이 계정을 팔로우할 수 있게 하는지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스냅샷사진을 사용하는 계정이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다른 사람들에게 계정을 추천시키도록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구전관련 마케팅의 방향이 고객경험 중심으로의 변화로 발전하고 있음을 알 수 있게 한다. 특히 P2와 큰 차이점으로 브랜드 이미지(brand image), 브랜드 가치(brand equity)와 브랜드 충성도(brand loyalty), 브랜드 신뢰(brand trust), 브랜드 사랑(brand love) 등이 충성도(loyalty)와 연결정도가 높게 나타났다(Figure 6). “후기 클러스터”에서는 온라인 구전(ewom), 온라인 후기(online review), 신뢰(trustworthiness, credibility) 등이 연관어로 등장과 함께 여행 어드바이저(tripadvisor), 호텔(hotel) 등 관광산업 분야에서 구전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으로 보이는 단어들이 포함되었다.
마지막으로 “매체(medium) 클러스터”에서는 소셜 네트워크(social network), 페이스북(facebook), 트위터(twitter), 블로그(blog) 등 온라인 구전을 전달하는 매체들을 나타내는 단어들이 연관어로 포함되었다.
이는 텍스트마이닝을 적용한 최신 방법론으로 특히 구전관련 연구분야에서는 시도한 것이 없다. 매년 마케팅 및 구전과 관련된 연구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므로 ICT기술에 힘입어 텍스트마이닝 기술을 이용한 주경로 분석과 네트워크 분석을 적용한 새로운 시도의 메타 분석을 제안한 것이 본 연구의 가장 큰 의의이다.
구체적으로 주경로 분석을 통해 구전과 관련된 핵심 연구를 거시적 관점에서 연구동향을 통시적으로 분석하여 결과를 제시하였고, 연관어 네트워크를 통해 미시적관점에서의 연구동향의 변화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구전 연구의 동향분석을 통해 온라인 시대, 관광 산업 등 다양한 산업군 등 산업 변화가 반영돼 시대적 변화와 더불어 발전하고 있는 학술적 영역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본 연구는 4389건의 구전 관련 문헌을 수집하여 문헌분석을 실시하여 소수의 데이터에서 유도되는 데이터 왜곡을 최대한 피하고 분석결과의 대표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였다. 그 결과 온라인 구전과 관련된 연구의 기본적인 골격은 연구의 태생부터 최근까지 마케팅 차원에서 이루어졌으며, 구전의 구성요소를 파악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있다는 사실을 데이터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1941년부터 2018년까지 발행된 4389건의 구전 관련 문헌으로 구성된 인용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SPC 가중치를 적용하여 키루트 주경로를 추출한 결과 총 30건의 문헌으로 구성된 주경로가 추출되었다. 추출된 주경로 문헌의 내용을 검토한 결과 다루고 있는 주제를 중심으로 다섯구간으로 나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941년부터 2018년까지 발행된 4389건의 구전 관련 문헌으로 구성된 인용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SPC 가중치를 적용하여 키루트 주경로를 추출한 결과 총 30건의 문헌으로 구성된 주경로가 추출되었다. 추출된 주경로 문헌의 내용을 검토한 결과 다루고 있는 주제를 중심으로 다섯구간으로 나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분된 각 시기는 1990-2001년(1기), 2005-2008년(2기), 2010-2015년(3기), 2015-2017년(4기), 2018년 이후(5기)이다.
후속연구
또한 매체별, 기업·지역·국가별 다양한 정보원으로부터 데이터를 다양하게 수집해 비교분석을 실시하고 지역적인 편차를 파악하는 연구도 학술적·실무적 의미를 발견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진행될 수 있는 구전 관련 연구 영역을 제시하여보자면 대통령 또는 국회의원 선거, 정치 스캔들 등 정치·행정 상황에서의 구전 효과와 특정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국가별 구전 효과의 비교 등이 미개척 영역 중에 하나로 남아있다.
그리고 소셜 미디어별·기업별·산업별로 달라지는 구전 효과에 대해서도 아직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기존에 마케팅 영역에 편향된 구전를 넘어서 정치 캠페인 전략에 따른 구전을 구성하는 요소나 양상 따위 등을 분석하는 연구가 진행된다면 정치 활동에 있어서 구전의 중요성 등을 가늠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또한 매체별, 기업·지역·국가별 다양한 정보원으로부터 데이터를 다양하게 수집해 비교분석을 실시하고 지역적인 편차를 파악하는 연구도 학술적·실무적 의미를 발견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주경로 분석을 위해서 본 연구에서 구축한 인용 네트워크가 수집된 문헌의 직접인용(direct citation) 관계를 기반으로 한 네트워크라는 점이다. 이는 대표적인 인용 데이터베이스인 Scopus와 Web of Science의 선택에서 발생하게 된 한계이다.
후속 연구로는 한계점을 보완하는 간접인용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연구의 범위를 확대할 수 있으리라고 본다. 만약 완전한 인용 정보를 바탕으로 한 주경로 분석을 실시한다면 보다 연구 주제를 잘 대변할 수 있는 데이터 분석 결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된다.
후속 연구로는 한계점을 보완하는 간접인용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연구의 범위를 확대할 수 있으리라고 본다. 만약 완전한 인용 정보를 바탕으로 한 주경로 분석을 실시한다면 보다 연구 주제를 잘 대변할 수 있는 데이터 분석 결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전 활동은 크게 어떻게 구성되는가?
구전(Word-of-Mouth)이란 소비자들이 말이나 글 등 언어를 사용하여 소비와 관련된 정보를 주고받는 행위이다(Richins, 1983). 구전 활동은 크게 정보를 전달하는 것과 이를 수신하는 두 단계로 구성된다. 구전에 대한 역할과 중요성에 대해서는 오래 전부터 인식되어 왔으며, 특히 마케팅학계에서는 기업의 마케팅과정에서 소비자들의 구전 활동이 차지하는 중요성에 대해 인지하고 오래전부터 수많은 연구가 진행돼 왔다(Ryu and Yoo, 2015).
구전이란?
구전(Word-of-Mouth)이란 소비자들이 말이나 글 등 언어를 사용하여 소비와 관련된 정보를 주고받는 행위이다(Richins, 1983). 구전 활동은 크게 정보를 전달하는 것과 이를 수신하는 두 단계로 구성된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