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강보험수가제도 개선을 통한 의료전달체계 확립방안
Establishment of Healthcare Delivery System through Improvement of Health Insurance System 원문보기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 보건행정학회지, v.29 no.3, 2019년, pp.248 - 261  

오영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의료연구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stablishing a healthcare delivery system is key to building a cost-effective healthcare system that can prevent the waste of healthcare resources and increase efficiency. Recently, the rapid increase in the national medical expenditures due to the aging of the population and the increase in chronic...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종별 가산제를 폐지함으로써 환자들의 3차 의료기관 쏠림현상을 바로잡기 위한 방안으로 환자 측에 비용부담을 주는 것이다. 즉 건강보험공단이 설정한 일정 범위 내에서 공급자에게 의료기관의 유형과 종별에 따라 해당 의료기관에 합당한 본인부담금 비율을 결정할 수 있는 환자본인부담금 결정권을 부여토록 한다.
  • 우리나라 보건의료분야가 직면한 문제 중에서 의료전달체계가 크게 영향을 미치는 문제들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즉 제대로 확립되지 않은 의료전달체계가 주요 원인 중의 하나가 되어 발생되고 있는 보건의료의 문제점은 크게 몇 가지 측면으로 요약할 수 있다.
  • 특히 수도권 대형병원의 환자 편중현상은 심화되어 의원급과 병원급 의료기관이 서로 경쟁하고 있으며, 의료자원의 지역간 불균형과 효율적 활용 측면에서 문제가 발생하면서 의료기관 종별기능 재정립 등의 의료전달체계 확립의 필요가 시급하다 판단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연구에서는 제대로 확립되지 않은 우리나라 의료 전달체계가 초래하고 있는 보건의료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문제 개선을 위한 정책방향과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 의료전달체계 확립을 위한 정부의 공식적인 정책은 1989년 도입된 전국민건강 보험제도와 함께 시작되었다. 정책의 목적은 환자들이 가능한 집에서 가까운 의료기관을 이용하게 하고, 또 단순하고 기본적인 의료기술과 진료능력을 갖춘 의료기관에서부터 의료이용을 시작하여 필요에 따라 복합적이고 상위수준의 의료기술을 갖춘 의료기관으로 옮겨가도록 하는 것이었다. 의료전달체계 정책은 시행 초기에 효과가 어느 정도 나타난 것으로 평가되었지만[1], 지역 간 공급 불균형에 따른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규제개혁 차원에서 1995년에 대진료권 구분이 없어지고, 1998년 공 · 교의료보험과 지역의료보험을 통합하면서 중진료권의 구분도 없어짐으로써 의료이용의 지역화 추진은 중단되었다[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료전달체계 정책의 효과는 어떠하였는가? 정책의 목적은 환자들이 가능한 집에서 가까운 의료기관을 이용하게 하고, 또 단순하고 기본적인 의료기술과 진료능력을 갖춘 의료기관에서부터 의료이용을 시작하여 필요에 따라 복합적이고 상위수준의 의료기술을 갖춘 의료기관으로 옮겨 가도록 하는 것이었다. 의료전달체계 정책은 시행 초기에 효과가 어느 정도 나타난 것으로 평가되었지만[1], 지역 간 공급 불균형에 따른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규제개혁 차원에서 1995년에 대진료권 구분이 없어지고, 1998년 공 · 교의료보험과 지역의료보험을 통합하면서 중진료권의 구분도 없어짐으로써 의료이용의 지역화 추진은 중단되 었다[2]. 이후 현재까지 의료기관 종별 역할 및 기능이 제대로 작동되지 않고 있다.
의료기관의 종류와 기능은 어떻게 나뉘는가? 현재 우리나라 의료공급 및 의료이용체계를 포함한 의료전달체계는 의료법과 국민건강보험법에 근거하고 있으며, 의료기관의 종류와 기능은 의료법에 규정되어 있다. 의료법(제3조)3) 은 의료기관을 크게 의원급과 종합병원을 포함한 병원급으로 나누고, 상급종합병원은 병원급에서 따로 구분한다[6,7]. 기능면에서 의원급은 주로 외래환자를, 병원급은 주로 입원환자를, 상급종합병원은 중증질환을 대상으로 의료행위를 하는 기관으로 정의하고 있다[6] (Table 1).
행복한 삶을 누리기 위한 조건은? 보다 더 건강하고 더 행복한 삶을 누리기 위한 조건 중의 하나는 적절한 보건의료를 사회적 형평에 기초하여 균등하고 효율적으로 제공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는 그동안 의료공급 확대와 전국 민건강보험 실시 등의 정책을 수립하여 의료의 양적 성장과 함께 의료접근성을 확보하려고 노력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Myoung JI, Chung YC. Analysis on management of medical delivery system.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1991. 

  2. Han D, Kim B, Lee Y, Bae S, Kwon S. An evaluative analysis of the referral system for insurance patients. Korean J Prev Med 1991;24(4):485-495. 

  3. Lee WC, Kim JH, Lee WY, Park JL, Jo HH, Rim IG, et al. Challenges for establishing a medical delivery system. Healthc Policy Forum 2015;13(4):47-55. 

  4. Lee SH. Direction of desirable primary health care reinforcement policy. Healthc Policy Forum 2011;9(3):54-59. 

  5. Song KY, Moon OR, Kwon SM, Oh YH, Doh SR, Chung WJ, et al. Development of standard role and functions by classification of medical institutions.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1. 

  6. Oh YH, Jung SE, Yee NH, Kim DY, Lee YJ. An efficient utilization method of health care resources to keep medical expenses at an appropriate level in korea: focused on the attending hospital system.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6. 

  7. Kim KH.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outpatient medical care concentration in tertiary general hospitals. Healthc Policy Forum 2010;8(4):106-113. 

  8. Oh YH. Improvement ways for health care delivery system. Health Welf Policy Forum 2012;(189):50-67. 

  9.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health statistics. Paris: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16. 

  10. Healthcare Future Planning Task Force Team. The Second Health Care Future Commission deliberation item no. 3, mid-term temporary estimation and economic and social meaning of national health expenditure. Seoul: Healthcare Future Planning Task Force Team; 2011. 

  11.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Long-term financial outlook for 2060. Sejong: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2015. 

  1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n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es. Patient survey.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2, 2005, 2008, 2010, 2013, 2015, 2016. 

  13.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health data. Paris: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18. 

  14.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Health status [Internet]. Paris: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10-2018 [cited 2019 Mar 10]. Available from: https://stats.oecd.org/index.aspx?DataSetCodeHEALTH_STAT#. 

  15.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Statistical index of medical expenses each year. Wonju: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2002-2017. 

  16.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National healthcare survey. Cheongju: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8. 

  17.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Medical fee by topic [Internet]. Wonju: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2017 [cited 2019 Mar 15]. Available from: https://www.hira.or.kr/dummy.do?pgmidHIRAA020033000000. 

  18. Oh YH. Distortion of medical resources and medical utilization due to collapse of medical delivery system. Healthc Policy Forum 2013;11(3):46-54. 

  19.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Policy changes in patient's out-of-pocket costs. Wonju: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2019. 

  20.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The effect of raising the copayment rate of drug costs for outpatient mild diseases. Wonju: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5. 

  21. World Health Organization. The world health report 2008: primary health care (now more than ever).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