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우-지하수위 상관성 분석을 통한 사질토층의 수리전도도 산정
Determination of Hydraulic Conductivities in the Sandy Soil Layer through Cross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Rainfall and Groundwater Level 원문보기

지질공학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29 no.3, 2019년, pp.303 - 314  

박승혁 (중앙컨설턴트(주)) ,  손두기 (중앙컨설턴트(주)) ,  정교철 (안동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얕은 대수층에서 매우 복잡한 함양과정을 거치는 지하수의 함양은 지표와 지하매질의 투수성에 의해 상당한 영향을 받는다. 투수성은 고유투수계수(intrinsic permeability)와 수리전도도(hydraulic conductivity)의 두 가지 개념으로 설명되며 이중 지표매질의 특성만으로 수리전도도를 구하려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경주지역 지하수기초조사에서 수행된 미고결퇴적물의 입도분포곡선과 강우-지하수위 교차상관분석을 토대로 회귀식을 사용하여 강우-지하수위 교차상관분석을 통한 수리전도도 산정식을 제안하고 실제현장에서 수행한 대수성 시험결과와 비교하여 그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사질토 기반 충적층대수층에서 Zunker의 경험식에서 산정된 수리전도도와 강우-지하수위 최대 교차상관계수의 상관식이 자연로그형태로 증가하면서 결정계수 0.95 이상으로 매우 큰 상관성을 나타내었고 이 회귀식을 다른 관측공에 적용한 결과 실제 현장에서 수행한 대수성시험 결과와 평균제곱근오차가 2.83%로 나타나 강우-지하수위 모니터링 자료만으로 매우 신뢰할 만한 수리전도도를 추정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urface permeability and shallow geological structures play significant roles in shaping the groundwater recharge of shallow aquifers. Surface permeability can be characterized by two concepts, intrinsic permeability and hydraulic conductivity, with the latter obtained from previous near-surface geo...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강우에 따른 대수층의 지하수위 변화가 비슷한 상대밀도를 갖는 사질토 기반의 대수층에서 어떠한 상관성을 갖는지 살펴보고 이를 통해 수리전도도를 추정하여 수리지질학적 관점에서 그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hlinhan, M.F., 2012, Stability of non-cohesive soils with respect to internal erosio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cour and Erosion, Paris, France, ICE6, 1-15. 

  2. Beyer, W., 1966, Hydrogeological investigation in the deposition of water pollutants, Journal of Applied Geology, 12(1), 599-606. 

  3. Blohm, F.J.A., 2016, Determination of hydraulic conductivities through grain-size analysis, M.S. Thesis, Boston College University, Boston, 100p. 

  4. Carrier, D., 2003, Goodbye, hazen; hello, kozeny-carman, Journal of Geotechnical and Geoen-vironmental Engineering, 129(11), 1054-1056. 

  5. Chapuis, R.P., 2012a, Predicting the saturated conductivity of soils: a review, Bulletin of Engineering Geology and the Environment, 71(3), 401-434. 

  6. Chapuis, R.P., 2012b, Estimating the in situ porosity of sandy soils sampled in boreholes, Engineering Geology, 141-142, 57-64. 

  7. Cheng, C., Chen, X., 2007, Evaluation of methods for determination of hydraulic properties in an aquifer-aquitard system hydrologically connected to river, Hydrogeology Journal, 15, 669-678. 

  8. Dullien, F.A., 1979, Porous media: Fluid transport and pore structure, Hydrogeology Journal, Academic Press, 396p. 

  9. Fallico, C., Bartolo, S.D., Troisi, S., Veltri, M., 2010, Scaling analysis of hydraulic conductivity and porosity on a sandy medium of an unconfined aquifer reproduced in the laboratory, Geoderma,160(1), 3-12. 

  10. Hamm, S.Y., Cheong, J.Y., Lee, J.H., Kim, H.S., Han, J.S., 2005, The comparison of hydraulic conductivity according to the grain size analysis and pumping test, KoSSGE Conference, Apr. 14-15, Gongju, 446-45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Healy, R.W., 2010, Estimating groundwater rechar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8-9. 

  12. Hussain, F., Nabi, G., 2016, Empirical formulae evaluation for hydraulic conductivity determination based on grain size analysis, Pyrex Journal of Research in Environmental Studies, 3(3), 26-32. 

  13. Istomina, V.S., 1957, Filtration stability of soils, Gostroizdat, Moscow, Leningrad. 

  14. Kim, T.H., Chung, J.H., Kim, M., Oh, S.H., Lee, J.S., 2014,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geological characteristics and water withdrawals in the laterals of radial collector well,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24(2), 201-21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Kruseman, G.P., Ridder, N.P., 1994, Analysis and evaluation of pumping test data, 2nd ed., ILRI Publication 47, 377p. 

  16. Lee, J.Y., Lee, K.K., 2002, A comparative study on characteristics of waterlevel responses to rainfall in the two aquifer systems,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7(1), 3-1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McCarthy, P.E., David, F., 2006, Essentials of soil mechanics and foundations, 7 edition, Prentice Hall, New York, 864p. 

  18. Memon, B.A., 1995, Quantitative analysis of springs, Environmental Geology, 26, 111-120. 

  19. Odong, J., 2007, Evaluation of empirical formulas for determination of hydraulic conductivity based on grain size analysis, Journal of American Science, 3(3), 54-60. 

  20. Pliakas, F., Petalas, C., 2011, Determination of hydraulic conductivity of unconsolidated river alluvium from permeameter tests, empirical formulas and statistical parameters effect analysis, Water Resources Management, 25(11), 2877-2899. 

  21. Slichter, C.S., 1899, Theoretical investigation of the motion of groundwaters, USGS 19th Annual Report, 1897-98, Wachington D.C., 295-384. 

  22. Song, Y.S., Lee, N.W., 2011, Unsatured hydraulic conductivity of sand according to relative densities, KSEG Conference, Apr. 7-9, Jeju, 57-6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Strobel, M., 2005, The early times let's talk water-hydraulic conductivity, USGS, URL http://nevada.usgs.gov/barcass/strobel_articles.htm, 295-384. 

  24. Tillmann, A., Engelert, A., Nyari, Z., Fejes, I., Vanderborght, J., Vereecken, H., 2008, Characterization of subsoil heterogeneity, estimation of grain size distribution and hydraulic conductivity at the Krauthausen test site using Cone Penetration Test, Journal of Contaminant Hydrology, 95(1-2), 57-75. 

  25. USBR, 1993, Drainage manual: a water resources technical publication, URL https://www.usbr.gov//tsc/techreferences/mands/mands-pdfs/DrainMan.pdf, 212-221. 

  26. Vukovic, M., Soro, A., 1992, Determination of hydraulic conductivity of porous media from grain-size composition, Water Resources Publications, 83p. 

  27. Zimmerman, R., Gudmundur, B., 1996, Hydraulic conductivity of rock fractures, Transport in Porous Media, 23(1), 1-3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