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접착영역 모델을 사용한 2상 리튬 이온 충전 시 실리콘 음극 전극의 균열진전 해석
Evaluation of Crack Propagation in Silicon Anode using Cohesive Zone Model during Two-phase Lithiation 원문보기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v.32 no.5, 2019년, pp.297 - 304  

김용우 (연세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한동석 (연세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접착영역 모델을 이용하여 2상 리튬이온 충전 시 실리콘 음극 전극의 균열진전 해석을 수행하였다. 리튬화 실리콘은 결정질 실리콘에 비해 부피가 약 3배 이상 크므로 리튬이온 충전 시 외각의 리튬화 실리콘에 매우 큰 압축력이 작용하여 압축항복이 발생한다. 리튬이온 충전 시 외각의 리튬화 실리콘은 압축항복 후에 내부의 결정질 실리콘이 리튬화 실리콘으로 상 변이하면서 발생하는 부피 팽창으로 인해 인장력이 작용한다. 이러한 인장력으로 인해 발생하는 균열진전을 접착영역 모델을 이용하여 모사하였다. 사용한 접착영역 모델은 PPR 포텐셜 기반 접착영역 모델로 하나의 포텐셜을 사용하여 복합모드에 대해서도 에너지 소산에 일관성을 지니고 있다. 유한요소 수치해석 모델로 2상 리튬이온 충전 시 모서리 균열진전을 모사한 결과가 실제 실험결과와 일치함을 확인하였고, 균열 팁에서의 최대 인장응력의 각도를 분석하여 실제 실험처럼 균열진전 방향이 회전할 것을 예측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research, crack propagation in a silicon anode during two-phase lithiation was evaluated using a cohesive zone model. The phase transition from crystalline silicon to lithiated silicon causes compressive yielding due to the high volume expansion rate. Li-ion diffuses from the surface of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접착영역 모델을 사용하여 2상 리튬 이온 확산 시 실리콘 음극 전극의 모서리 균열진전 해석을 수행하였다. 리튬 이온 충전시 실리콘 음극 전극 내부의 응력 분포를 확인하였고 외각의 리튬화 실리콘에 인장응력이 발생하여 모서리 균열진전이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해석의 수렴을 용이하기 위해 균열이 없을 경우의 리튬이온 농도 프로파일을 통하여 소성해석 및 균열진전 해석을 수행하였다. 리튬화 실리콘은 LixSi로 표현되고 여기서 리튬의 비 x는 0< x ≦4.
  • 이 장에서는 첫 번째 리튬 이온 충전 시 해석 시 소성 모델이 필요한 이유와 사용한 접착영역 모델, 균열진전 해석 유한요소 모델을 소개한 후, 수치해석 결과와 이에 따른 결과분석 및 추론을 설명하고자 한다.
  • 전극 물질은 배터리의 성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본 연구에서는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는 리튬 이온 배터리의 음극 전극에 대해 초점을 맞추었다. 다양한 음극 전극 후보 물질 중에서 실리콘은 이론상 배터리의 성능이 4200mAhg-1로 매우 높지만 배터리의 충방전 사이클을 거치면서 성능이 급격히 낮아져 신뢰성에 결함이 있다.
  • 일반적인 삼각형 형태의 접착영역 모델은 복합모드에서 에너지가 증가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이 모델은 하나의 포텐셜을 기반으로 하여 에너지 소산이 일관성있게 일어나므로 보다 본 연구에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PPR 모델은 8개의 변수를 가진 하나의 포텐셜 ψ로 나타낼 수 있으며 ψ는 다음 식과 같다.

가설 설정

  • 2와 같은 리튬이온 농도 프로파일 개형을 평행이동하여 만들어낸 여러 가지 농도 프로파일을 외각에서 부터 내부로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리튬이온 확산을 나타내었다. 실리콘의 물성은 Table 1과 Table 2와 같이 사용하였으며 모드 Ⅱ의 파괴 에너지와 접착영역 강도는 모드 Ⅰ의 파괴 에너지와 접착영역 강도의 반으로 가정하였다. 왼쪽에서 균열 진전을 유도하기 위하여 제일 왼쪽의 접착 영역 요소의 파괴 에너지와 접착영역 강도를 10% 작게 사용하였다.
  • 2는 해석에 사용된 리튬이온 농도 프로파일의 개형이며 상전이 구간은 cos 함수로 근사시켰다. 해석의 수렴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변이 구간을 20nm로 늘려 가정하였다. 이러한 리튬이온 농도 프로파일 개형을 평행 이동하여 만들어낸 여러 가지 농도 프로파일을 외각에서부터 내부로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리튬이온의 확산을 나타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배터리 신뢰성 결함의 주요 요인은? 다양한 음극 전극 후보 물질 중에서 실리콘은 이론상 배터리의 성능이 4200mAhg-1로 매우 높지만 배터리의 충방전 사이클을 거치면서 성능이 급격히 낮아져 신뢰성에 결함이 있다. 신뢰성 결함의 주요 요인 중 하나는 리튬 이온 충방전 시 발생하는 실리콘 음극 전극에서의 균열진전이다. 전극에서의 균열진전은 이온의 이동을 막기 때문에 배터리의 성능을 급격히 저하시킨다.
좋은 성능의 배터리의 개발이 필요한 이유는? 전기 에너지는 거의 모든 기계와 산업에 사용되는 에너지며 배터리는 이러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여 전기로 작동하는 장치가 이동하면서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최근 이동 장치들은 더욱 많은 기능과 좋은 성능을 가지는 대신 더욱 많은 전기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이에 따라 보다 좋은 성능을 가지는 배터리의 개발이 필요하다.
실리콘 배터리의 단점은? 전극 물질은 배터리의 성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본 연구에서는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는 리튬 이온 배터리의 음극 전극에 대해 초점을 맞추었다. 다양한 음극 전극 후보 물질 중에서 실리콘은 이론상 배터리의 성능이 4200mAhg-1로 매우 높지만 배터리의 충방전 사이클을 거치면서 성능이 급격히 낮아져 신뢰성에 결함이 있다. 신뢰성 결함의 주요 요인 중 하나는 리튬 이온 충방전 시 발생하는 실리콘 음극 전극에서의 균열진전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Chan, C.K., Peng, H., Liu, G., McIlwrath, K., Zhang, X.F., Huggins, R.A., Cui, Y. (2008) High-Performance lithium Battery Anodes using Silicon Nanowires, Nat. Nanotechnol., 3(1), pp.31-35. 

  2. Choi, J.W., Cui, Y., Nix, W.D. (2011) Size-Dependent Fracture of Si Nanowire Battery Anodes, J. Mech. & Phys. Solids, 59(9), pp.1717-1730. 

  3. Ebrahimi, F., Kalwani, L. (1999) Fracture Anisotropy in Silicon Single Crystal, Materials Sci. & Eng.: A, 268(1), pp.116-126. 

  4. Hall, J.J. (1967) Electronic Effects in the Elastic Constants of N-Type Silicon, Phys. Rev., 161(3), p.756. 

  5. Hauch, J.A., Holland, D., Marder, M., Swinney, H.L. (1999) Dynamic Fracture in Single Cystal Silicon, Phys. Rev. Lett., 82(19), p.3823. 

  6. Hertzberg, B., Benson, J., Yushin, G. (2011) Ex-situ Depth-sensing Indentation Measurements of Electrochemically Produced Sili Alloy Films, Electrochem. Commun., 13(8), pp.818-821. 

  7. Kluge, M.D., Ray, J.R.,Rahman, A. (1986) Molecular Dynamic Calculation of Elastic Constants of Silicon, J. Chem. Phys., 85(7), pp.4028-4031. 

  8. Lee, S.W., Gao, H., Cui, Y., Nix, W.D. (2014) Microscopic Model for Fracture of Crystalline Si Nanopillars during Lithiation, J. Power Sources, 255, pp.274-282. 

  9. Lee, S.W., McDowell, M.T., Berla, L.A., Nix, W.D., Cui, Y. (2012) Fracture of Crystalline Silicon Nanopillars during Electrochemical Lithium Insertion, Proc. Nat. Academ. Sci., 109(11), pp.4080-4085. 

  10. Liu, X.H., Zhong, L., Huang, S., Mao, S.X., Zhu, T., Huang, J.Y. (2012) Size-Dependent Fracture of Silicon Nanoparticles during Lithiation, Acs Nano, 6(2), pp.1522-1531. 

  11. McDowell, M.T., Lee, S.W., Harris, J.T., Korgel, B.A., Wang, C., Nix, W.D., Cui, Y. (2013) In Situ Tem of Two-Phase Lithiation of Aorphous Silicon Nanospheres, Nano Lett., 13(2), pp.758-764. 

  12. Park, K., Paulino, G.H., Roesler, J.R. (2009) A Unified Potential-based Cohesive Model of Mixed-Mode Fracture, J. Mech. & Phys. Solids, 57(6), pp.891-908. 

  13. Pharr, M., Suo, Z., Vlassak, J.J. (2013) Measurements of the Fracture Energy of Lithiated Silicon Electrodes of Li-ion Batteries, Nano Lett., 13(11), pp.5570-5577. 

  14. Sethuraman, V.A., Chon, M.J., Shimshak, M., Srinivasan, V., Guduru, P.R. (2010) In Situ Measurements of Stress Evolution in Silicon Thin Films during Electrochemical Lithiation and Delithiation, J. Power Sources, 195(15), pp.5062-5066. 

  15. Swadener, J., Baskes, M., Nastasi, M. (2002) Molecular Dynamics Simulation of Brittle Fracture in Silicon, Phys. Rev. Lett., 89(8), p.085503. 

  16. Wortman, J.J., Evans, R.A. (1965) Young's Modulus, Shear Modulus, and Poisson's Ratio in Silicon and Germanium, J. Appl. Phys., 36(1), pp.153-156. 

  17. Zhao, K., Pharr, M., Wan, Q., Wang, W.L., Kaxiras, E., Vlassak, J.J., Suo, Z. (2012) Concurrent Reaction and Plasticity during Initial Lithiation of Crystalline Silicon in Lithium-Ion Batteries, J. Electrochem. Soc., 159(3), pp.A238-A24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