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화학물질 배출량 특성에 관한 연구: 악취물질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of Odorous Substances in Korea 원문보기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45 no.5, 2019년, pp.465 - 473  

임지영 (화학물질안전원 사고예방심사1과) ,  전다영 (화학물질안전원 사고예방심사1과) ,  김보경 (화학물질안전원 사고총괄훈련과) ,  류지성 (화학물질안전원 사고예방심사1과) ,  윤대식 (화학물질안전원 사고예방심사1과) ,  이청수 (화학물질안전원 사고총괄훈련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A variety of industries handling hazardous chemicals emit odorous substances. Based on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of major odor substances from the results of hazardous chemical substance emissions, we will define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management methods of odorous substances. M...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번 연구에서는 유해화학물질 배출량 조사 결과 중 주요 악취물질의 배출 특성을 바탕으로 악취물질 관리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악취 발생에 관여하는 인자는 무엇인가? 3) 또한, 낮은 농도에서도 피해를 유발할 수 있고, 많은 종류의 성분이 섞여서 발생하는 복합적인 감각공해로써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판단하기 어렵다.4) 국내의 경우 사업장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화학물질과 유해한 대기오염물질과 연계하여 악취가 발생하고 있으며, 악취는 물질별로 각각 특유의 냄새 특성과 휘발성, 용해도, 기온 등의 물리적 인자 등이 서로 복합적으로 악취 발생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6)
악취가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2) 악취의 경우 감각적이고 주관적인 환경오염물질로 개인의 상황과 성향에 따라 문제의 심각성 여부와 정도를 판단하기 때문에 정량적인 측정이 어려운 물질이다.3) 또한, 낮은 농도에서도 피해를 유발할 수 있고, 많은 종류의 성분이 섞여서 발생하는 복합적인 감각공해로써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판단하기 어렵다.4) 국내의 경우 사업장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화학물질과 유해한 대기오염물질과 연계하여 악취가 발생하고 있으며, 악취는 물질별로 각각 특유의 냄새 특성과 휘발성, 용해도, 기온 등의 물리적 인자 등이 서로 복합적으로 악취 발생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해화학물질 배출량조사란 무엇인가? 지정악취물질 중 암모니아, 황화수소, 이황화메틸, 아세트알데하이드, 스티렌, 톨루엔, 자일렌, 메틸에틸케톤 총 8종의 경우 유해화학물질 배출량조사 대상 물질에 포함되어 있다. 유해화학물질 배출량조사는 1996년부터 사업장에서 배출되는 유해화학물질이 환경(대기, 수계, 토양)으로 배출되거나 또는 폐기물, 폐수처리업체로 이동되는 양을 파악하여 공개하는 PRTR (Pollutant Release and Transfer Registers, PRTR)제도이다.10) 이와 같이 악취물질의 경우 다양한 유해화학물질 취급 업종에서 많이 발생되고 있어, 유해화학물질 배출량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배출원 파악과 효과적인 환경정책 결정을 위한 신뢰성 있는 자료 구축이 필요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Strum M, Cook R, Thurman J, Ensley D, Pope A, Palma T, et al. Projection of hazardous air pollutant emissions to future years. Science of Total Environment. 2006; 366(2-3): 590-601. 

  2. JiYoung Im, Bokyeong Kim, Hyunji Kim, Jeonghyeon Yun, HwaJin Heo, JiHo Lee, et al.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arcinogenic Pollutant Emissions and Cancer Incidence Rates in Korea. J Environ Health Sci. 2018; 44(2): 160-168. 

  3. Both R. Directive on odour in ambient air: an established system of odour measurement and odour regulation in Germany. Water Sci Technol. 2001; 44(9): 119-126. 

  4. Myeong-Sug Lee, Dong-Hoon Kang, Jong-Lok Keum, Byoung-Youne Kwon, Hang-Wook Jo, Chan-Hyung Lee, et al. Emission Characteristics of Odor Compounds from a Sewage Treatment Plant Near an Industrial Complex Area in Daegu City. J Environ Health Sci. 2018; 44(2): 178-187. 

  5. Kwang-Yul Kim, Ji-Sun Jung, Ik-Jun Yeon. Confirmation of odor materials in the Cheong-ju industrial complex area and characteristics of diffusion in residential areas. J Odor Indoor Environ. 2015; 14(3): 157-166. 

  6. Chan-Hyung Lee†, Hyun-Sook Jeon, Myung-Cheol Shin, Eun-Deok Kim, Yun-Jae Jang, Byoung-Youne Kwon, et al. Emission Characteristics of Odor Compounds from Fundamental Environmental Facilities in an Industrial Complex Area in Daegu City. J Environ Health Sci. 2016; 42(4): 246.254. 

  7. Ministry of Environment. Offensive odor control law. 2019. 

  8. Kwon J, Weisel CP, Morandi MT, Stock TH. Source proximity and meteorological effects on residential outdoor VOCs in urban areas: Results from the Houston and Los Angeles RIOPA studies. Sci Total Environ. 2016; 15(573): 954-964. 

  9. Jin-Sook Noh, Mi-Young Park, Deug-Soo Kim, Go-Su Yang.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Odors in Wan-Ju Industrial Area. J Odor Indoor Environ. 2007; 6(4): 225-233. 

  10. JiYoung Im, HyunJi Kim, MinSun Kim, JiHo Lee, SangMok Lee,ChungSoo Lee. A Study on the Variation of Hazardous Pollutant Emissions in Korea from 2006 to 2015. J Environ Health Sci. 2018; 44(1): 15-23. 

  11. Moolla R, Curtis CJ, Knight J. Assessment of occupational exposure to BTEX compounds at a bus diesel-refueling bay: A case study in Johannesburg, South Africa. Sci Total Environ. 2015; 15(537): 51-57. 

  12. Xiong F, Li Q, Zhou B, Huang J, Liang G, Zhang L, et al. Oxidative Stress and Genotoxicity of Long-Term Occupational Exposure to Low Levels of BTEX in Gas Station Workers.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2016; 13(12): 1212. 

  13. Benignus VA. Health effects of toluene: a review. Neurotoxicology. 1981; 2(3): 567-588. 

  14. Edokpolo B, Yu QJ, Connell D. Health risk assessment of ambient air concentrations of benzene, toluene and xylene (BTX) in service station environments.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2014; 11(6): 6354-6374. 

  15. Brown DR, Lewis C, Weinberger BI. Human exposure to unconventional natural gas development: A public health demonstration of periodic high exposure to chemical mixtures in ambient air. J Environ Sci Health A Tox Hazard Subst Environ Eng. 2015; 50(5): 460-472. 

  16. Kwon J, Weisel CP, Morandi MT, Stock TH. Source proximity and meteorological effects on residential outdoor VOCs in urban areas: Results from the Houston and Los Angeles RIOPA studies. Sci Total Environ. 2016; 573: 954-964. 

  17. YoungSeong Yu, KyuSeong Sim. A Study on the Effective Odor Reduction in the Area where Strong Civil Complaints Take Place to Odor. Gyeonggi Research Institute. 2007. 

  18. Barker F. Risk communication about environmental hazards. J Public Health Policy. 1990; 11(3): 341-359. 

  19. Lee CS, Lim YW, Kim HH, Yang JY, Shin DC. Exposure to heavy metals in blood and risk perception of the population living in the vicinity of municipal waste incinerators in Korea. Environ Sci Pollut Res Int. 2012; 19(5): 1629-1639. 

  20. Environment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Available: http://stat.me.go.kr [accessed 26 July 2019]. 

  21. Chemistry safety clearing-house. Available: https://csc.me.go.kr [accessed 26 July 2019]. 

  22. Palaszewska-Tkacz A, Czerczak S, Konieczko K. Chemical incidents resulted in hazardous substances releases in the context of human health hazards. Int J Occup Med Environ Health. 2017; 30(1): 95-110. 

  23. Hyunji Kim, JiYoung Im, Jeonghyeon Yun, JiHo Lee, JunHo Jeon, ChungSoo Lee.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hemicals in Major Industrial Complexes. J Environ Health Sci. 2018; 44(6): 515-52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