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한국 석탄산업 정책의 전망과 적정 비축 규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spective of Coal Industry Policy and the Optimal Storage of Korea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10, 2019년, pp.103 - 113  

유원근 (강원대학교 글로벌인재학부) ,  최호영 (강원대학교 지역발전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한국에서의 석탄산업이 신기후체제의 출범 이후에도 여전히 중요하며, 일정한 물량의 석탄 비축을 통해 에너지원의 수급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닐 필요성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는데 있다. 최근 신재생에너지의 비중 증가는 석탄이나 석유와 같은 화석연료의 의존도를 낮출 것으로 전망된다. 그리고 이에 따라 석탄의 사용도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아직 에너지원별 수요의 면에서나 전력 공급의 면에서 석탄이 에너지원으로서의 지위가 여전히 큰 것이 확인되었다. 석탄의 최적 비축 규모는 기존 연구의 연간 수요를 기준으로 추정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산업적 정책으로서 석탄산업의 유지와 연간 최적 비축 규모의 결정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ustaining the coal industry in spite of the declaration of new climate change regime. Due to the importance to have the ability to control the supply and demand for energy source, this study will present the ground supporting the need to s...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980년대 후반부터 환경에 대한 관심의 고조와 소득의 증대에 따른 에너지 수요 패턴의 변화와 채굴조건의 악화로 인한 경쟁력 상실로 위기에 처한 석탄 산업에 대해 정부는 법적 조치를 통해 이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정부는 개별법으로 시행되던 법률들5)을 「석탄산업법」(법률 제3807호, 1986.
  • 본고는 이러한 정책적 의미에서 국내 석탄산업이 맞이할 경제적 미래에 대하여 전망하고 산업정책적 고려 사항들을 검토할 것이다. 한국의 석탄산업은 사양화의 추세에도 불구하고 탄광지역의 경제적 기반을 이룰 뿐 아니라 서민용 연탄수요와의 연동성을 지닌다는 점에서 산업 정책의 대상이 됨을 논증할 것이다.
  • 앞서 본 바와 같이, 석탄의 비축이 전략적으로 비상시 석탄위기에 대한 대응능력의 확보를 위한 것이라 할 때, 그것의 최적 규모는 어느 정도인지에 대해서는 석탄의 평균적인 수요량 및 다른 에너지원에 대한 수요의 동향과 대체성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석탄 비축 규모에 대한 기존의 연구 성과를 검토하여 최적 규모를 설정하는 방식을 취하고자 한다.
  • 또한 미래 석탄의 열효율 제고형 사용 기술의 도입 가능성을 고려하고, 나아가 남북경협과 에너지 안보의 차원에서 대응되는 석탄 비축의 정책적 유지와 밀접한 연계성을 갖는다는 점에서 석탄산업의 향후 방향성을 검토할 것이다. 이를 위해 본고는 석탄산업에 대한 고려로 지역경제에 대한 산업적 기여와 에너지 안보의 확보를 위한 정책적 유지의 필요성을 논의할 것이다. 또한 이를 통해 석탄 비축의 필요성을 논증하고, 서민용 에너지원으로서의 석탄에 대한 수요의 유지와 안보적 차원에서 비축할 필요가 있는 석탄의 적정 비축 규모를 검토하여 비축사업의 합리성을 확보할수 있는 근거를 제시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략비축이란? 석탄의 비축과 관련하여 가장 중요한 수준은 전략비축이다. 전략비축이란 자원의 공급에 장애가 발생했을 경우 국가적으로 중대한 위기가 초래되지 않도록 정부 또는 민간이 보유하는 비축을 의미한다[16].13) 자원과 관련하여 중요한 비축의 방식은 완충비축인데, 이는 경기조정을 목적으로 하는 재고 보유 정책의 의미를 지닌다.
신재생에너지의 발전은 석탄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가? 본 논문은 한국에서의 석탄산업이 신기후체제의 출범 이후에도 여전히 중요하며, 일정한 물량의 석탄 비축을 통해 에너지원의 수급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닐 필요성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는데 있다. 최근 신재생에너지의 비중 증가는 석탄이나 석유와 같은 화석연료의 의존도를 낮출 것으로 전망된다. 그리고 이에 따라 석탄의 사용도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아직 에너지원별 수요의 면에서나 전력 공급의 면에서 석탄이 에너지원으로서의 지위가 여전히 큰 것이 확인되었다.
석탄산업이 신 기후체제의 출범으로 의존도가 낮아 졌지만, 아직 중요한 이유는? 최근 신재생에너지의 비중 증가는 석탄이나 석유와 같은 화석연료의 의존도를 낮출 것으로 전망된다. 그리고 이에 따라 석탄의 사용도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아직 에너지원별 수요의 면에서나 전력 공급의 면에서 석탄이 에너지원으로서의 지위가 여전히 큰 것이 확인되었다. 석탄의 최적 비축 규모는 기존 연구의 연간 수요를 기준으로 추정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Motie. (2019). The 3rd Basic Plan for Energy. 

  2. T. H. Kim & T. E. Lee. (2018). Securing strategy for natural resources against the change in demand for industrial material in the era of Energy Transition,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3. H. S. Kwon & S. H. Hong. (2015), The Coal Export Potential and Policy of the Principal Exporting Nations and the Countermeasures of Korea,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4. H. S. Kwon. (2018). The future direction of Domestic Coal Industry, KCA, No. 49, Korea Coal Association. 

  5. H. S. Kwon. (2015). The Consideration point in relation to the coal industry of North Korea, KCA, No. 46, Korea Coal Association. 

  6. Motie. (2015). The 2nd Basic Plan for Energy. 

  7. Motie. (2017). The 8th Basic Plan for Supply and Demand for Electric Power(2017-2031). 

  8. S. J. Woo. (2017). The Present State of Coal Industry and The present State of Coal Industry and the Direction of Policy, KCA, No. 48, Korea Coal Association. 

  9. E. Y. Kim. (2017). Review of 30 years project of rationalization of coal industry and preparation fot hereafter, KCA, No. 48, Korea Coal Association. 

  10. B. C. Park. (2015). The present State of Coal Industry and the Direction of Policy, KCA, No. 46, Korea Coal Association. 

  11. D. H. Yoo & H. S. Kwon. (2013). A Study on the Clearing Strategy of Rationalization of Coal Industry Policy,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12. Motie. (2018). 2018 Annual Statistics of Local Energy,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13. Motie. (2017). Mid-term Perspective of Energy Demand(2017-2022),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14. Motie. (2019). 2019 Plan for supply-demand for Anthracite. 

  15. Korea Coal Corporation, Southwestern region. (2019). WP News [Online]. http://blog.naver.com/iamkowepo/221526207365 

  16. Motie. (2017). A Study on Prior-feasibility of Coal Saving Program. Energy Industry Promotion Agency. 

  17. H. J. Park & Y. S. Nam. (2011). A Study on the Analysis of Optimal Saving-Amount of Natural Resourses, National Assembly Budget Offic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