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촌여성노인의 베트남며느리 뒷바라지 체험
The Lived Experience of Elderly Women's dueitbaragi for Vietnamese Daughter-in-law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10, 2019년, pp.381 - 393  

김윤경 (기독간호대학교) ,  양복순 (예수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농촌여성노인의 베트남며느리 뒷바라지 체험의 의미와 본질을 탐색하기 위하여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베트남며느리와 동거하는 농촌지역 여성노인 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면대면 심층면접과 관찰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8개의 본질적 주제와 28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농촌지역 여성노인들은 베트남며느리를 맞아 아들가정을 지속적으로 지원해 주어야만 했고, 한국과 베트남의 문화 차이로 인한 높은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실용적이고 포괄적인 지역사회 간호 중재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지며, 향후 모든 가족 구성원의 관점에 기초하여 베트남며느리, 아들 및 손자 관점에서의 경험을 탐구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explore and understand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ir experiences in the context of Vietnamese daughter-in-law and rural elderly women's lives. Van Manen's hermeneutics phenomenological method was used.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8 people who live with a Vietnamese Daughter...

주제어

표/그림 (1)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단일민족과 가부장제의 문화를 배경으로 살아온 농촌여성노인들은 외국인며느리와 어떠한 문제를 경험하는가? 그러나 단일민족과 가부장제의 문화를 배경으로 평생을 살아온 농촌여성노인들에게 외국인며느리를 내 가족으로 받아들이는 일은 결코 쉬운 일은 아니었고, 서로 다른 언어, 문화 및 세대 차이로 인해 한국며느리를 둔 여성노인이 알지 못하는 많은 문제들을 경험하고 있다[11]. 또한 아들내외가 결혼에 이르기 까지 소요된 시간이 평균 3.
신뢰성(credibility)이란? 신뢰성(credibility)은 연구방법의 정확한 숙지, 절차에 따른 연구 진행과 도출 과정을 명확히 알 수 있는 연구결과 및 논리적 모순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의미하고, 이를 통해 연구 참여자가 경험한 것을 있는 그대로 충분하게 진술할 수 있도록 했는가를 측정하는 것이다. 참여자가 진술한 경험 및 주제 진술 내용의 일치여부 등을 확인하기 위해 박사학위 논문을 질적연구로 수행한 간호학 전공 교수 2명과 임상실무자 1명에게 연구결과를 검토받았다.
참여자들, 즉 농촌여성노인은 혼기를 놓친 아들을 위해 어떻게 하는가? 그러나 1990년 이후 우리나라의 성비불균형의 심화, 한국사회 전반의 고학력화 및 여성들의 경제활동 증가로 만혼과 혼자 사는 여성들이 증가하는 반면, 농촌지역의 상대적인 경제력 약화는 농촌에 거주하는 남성들이 결혼 적령기를 지나고서도 배우자를 찾지 못하는 현상을 야기시켰다[2]. 실제 농촌지역 여성노인들은 혼기를 놓친 아들과 함께 살면서 농사를 위한 노동력뿐만 아니라 정서적 지지를 제공받고 있지만[3], 아들의 결혼은 자신이 죽기 전 꼭 해결해야 하는 과업이자 부담일 뿐만 아니라 노인 삶의 성공여부를 평가하는 주요 변인 중 하나이다[4]. 농촌여성노인들은 가사와 농사일을 아들부부에게 넘겨주고, 자신이 돌봄의 대상이 되어야 하지만 아직 아들을 결혼시키지 못한 여성노인인 경우 아들의 성혼을 위해 적극적으로 국제결혼시장에 나서고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Statistics Korea. (2018. 08. 27). 2017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internet). Daejeon : Statistics Korea.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1/10/1/index.board?bmoderead&aSeq370326 

  2. H. A. Mun. (2013). Features of international marriage of vietnamese immigrant women and plans for institutional improvement. Journal of Legislation Research, 44, 757-796. 

  3. S. J. Kim (2016). Vietnamese migration and its implications. The Korean Journal of Humanities and the Social Sciences, 40(4), 171-200. 

  4. M. H. Kim & K. R. Shin (2005).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successful aging' scale for korean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5(2), 35-52. 

  5. H. J. An & H. I. Chung (2014). Adaptation process of mothers-in-law of vietnamese women married to korean 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 22-34. DOI : 10.11111/jkana.2014.20.1.22 

  6. D. H. Kim, S. H. Lee, Y. S. Bae & Y. K. Ha. (2015). The effects of socio-demographic factors, acculturation stress and resilience on depression among mothers-in-law in multicultural families. Journal of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6(3), 221-229. DOI : 10.12799/jkachn.2015.26.3.221 

  7. H. Y. Lee. (2015). A study on the gender inequality of elderly women's household and caregiving labor. PNU Journal of Women's Studies, 25(3), 141-177. 

  8. J. E. Kim & H. M. Kim. (2013). Depression among elderly in multicultural familie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3(1), 143-162. 

  9. Y. E. Yim (2017). A study types of korean multi-cultural adaptation of vietnamese people in korea.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8(2), 893-913. DOI : 10.22143/HSS21.8.2.47 

  10. E. J. Lee & M. Y. Jun. (2016). A study on family perception, gender-role values, elderly parent support values of vietnamese women. Journal of Korean Mamagement Association, 34(3), 129-145. DOI : 10.7466/JKHMA.2016.34.3.129 

  11. E. H. Lee. (2011). The effects of acculturation stress on mental health of korean rural mothers-in-law with foreign daughters-in-law: focusing on the mediation effect on the quality of relationship between daughters-in-law and mothers-in-law. Journal of Social Work Practice, 10, 105-133. 

  12. D. H. Seol, G. S. Han, S. Y. Park & K. S. Shim. (2017). Survey of international marriage brokerage in Korea 2017. Sejong :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13. W. S. Chang (2013). A Study of the korean life-adaptation of a the foreign daughter-in-law as affected by her korean mother-in-law's communication and attitude.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8(1), 31-49. DOI : 10.15300/jcw.2014.51.4.71 

  14. S. Y. Park. (2016). The experience of relationship between women marriage immigrants and mothers-in-law: the strange intimacy and the paradox of difference. Korean Journal of Qualitative Research in Social Welfare, 10(1), 5-30. 

  15. H. Y. Kang & S. Y. Auh. (2014). Contextual factors in conflicts in multicultural mother and daughter in-law relationships: a qualitative approach with dyadic in-depth Interviews.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2(4), 355-369. DOI : 10.6115/fer.2014.031 

  16. B. K. Park & P. S. Noh. (2014). The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sense of pressure shown from the family adjustment experience of mothers-in-law with arried immigrant women. Journal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14(1), 250-265. DOI : 10.5392/JKCA.2014.14.01.250 

  17. Y. J. Cho. (2012). The phenomenological study on mother-in-law and daughter in-law's (grand)child rearing experiences in multicultural family. Journal of Family Relations, 17(1), 279-309. 

  18. M. Y. Park & K. W. Sung. (2015). Nutritional risk, stress,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older women with a foreign daughter-in-law.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9(2), 312-324. DOI : 10.5932/JKPHN.2015.29.2.312 

  19. S. H. Park, J. H. Lee & E. J. Kim (2014). The effects of a program for improved relations between mothers-in-law and daughters-in-law: focused on mothers-in-law of multicultural families regarding family functions and cultural acceptance attitudes.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9(4), 883-904. DOI : 10.13049/kfwa.2014.19.4.883 

  20. M. van Manen. (2000). Researching lived experience. Seoul : Hyunmoon Publishing Company. 

  21. J. M. Morse. & P. A. Field. (1995).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or health professionals. 2nd ed. Thousand Oaks, CA : Sage. 

  22. H. Suri. (2011). Purposeful sampling in qualitative research synthesis. Qualitative Research Journal, 11(2), 63-75. 

  23. M. Sandelowski. (1986). The problem of rigor in qualitative research. Advances in Nursing Science, 8(3), 27-37. 

  24. M. van Manen. (2014). Phenomenology of practice: Meaning-giving methods in phenomenological research and writing. Walnut Creek California : Left Coast Press. 

  25. M. R. Lee. (2009). The experience of spousal bereavement in older adults. Journal of College Education, 10(4), 329-339. 

  26. R. Kumar & R. K. Pathak. (2017). Socio-economic problems of the elderly residing in old age homes. Indian Journal of Gerontology, 31(4), 497-506. 

  27. Y. J. Cho. (2015). The case study on marriage immigrant women' child birth intention.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4(5), 631-643. DOI : 10.5934/kjhe.2015.24.5.631 

  28. B. J. Jeon & E. Y. Choi (2016). Level and determinative factors of successful aging of elderly in multi-cultural family.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32(1), 1-29. 

  29. S. Her & K. H. Kim (2010). The life experiences among mothers-in-law of multi-cultural families. Health & Nursing, 22(2), 51-63. 

  30. K. J. Kwon & J. Y. Bae. (2016).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he depression in elderly people who live alone in rural area. Journal of Regional Studies, 24(4), 71-88. 

  31. H. S. Kim. (2017). Effect of Pain, Nutritional Risk, Loneliness, Perceived Health Status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Elderly Women Living Alon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7), 207-218. DOI : 10.15207/JKCS.2017.8.7.207 

  32. H. J. Kim. (2019). Conjunctive Predictors of Suicidal Ideation in Korean Elderly : Panel Data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7), 391-397. DOI : 10.15207/JKCS.2019.10.7.391 

  33. Y. J. Kim. (2017). The influence of Social networks and Social support on Depression : for Older Women in Rural area.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10), 339-349. DOI : 10.15207/JKCS.2017.8.10.339 

  34. Y. K. Shin. (2010). A Case Study on Adaptability Factors in Family Life for Vietname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in Terms of the Inter-culturalism.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4(3), 109-1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