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호흡저항이 병행된 전신진동자극 훈련이 뇌졸중환자의 호흡기능 및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Stimulation Training Combined with Respiratory resistance on Respiratory and Balance Function in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9 no.10, 2019년, pp.234 - 243  

김병수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박삼호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박효정 (용인대학교 일반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이명모 (대전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호흡저항이 병행된 전신진동자극 훈련이 뇌졸중환자의 호흡기능 및 균형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만성 뇌졸중환자 17명을 호흡저항이 병행된 전신진동자극 훈련을 적용한 실험군(n=8)과 일반 진동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한 대조군(n=9)으로 무작위 배정하였다. 중재는 30분간 1일 1회 주 3회, 4주간 실시하였다. 중재 전후 폐활량과 호흡근력 그리고 동적/정적 균형능력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실험군에서 정 동적 균형능력, 폐활량과 호흡근력의 전 후 비교 결과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그리고 실험군과 대조군을 비교하였을 때 동적 균형능력, 폐활량과 호흡근력의 결과값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실험군의 폐활량과 호흡근력 또한 실험전후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며,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변화량의 차이를 나타내었다(p<.05).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호흡저항이 병행된 전신진동자극훈련은 뇌졸중환자의 호흡기능 및 균형능력 향상 프로그램으로 유익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stimulation training combined with respiratory resistance on respiratory and balance function in stroke patients. 17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n = 8) and the general vibra...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본 연구에서 전신진동과 호흡저항을 병행한훈련이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BBS와 정적균형능력평가(WBB)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4주간의 훈련에 대한 BBS는 5.
  • 본 연구는 17명의 만성뇌졸중환자를 대상으로 전신진동과 호흡저항을 병행한 운동이 뇌졸중환자의 균형 및 호흡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진행된 대조 실험연구이다. 그 결과 실험군 뇌졸중 환자의 균형능력 및 호흡기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6개월 이상 만성 뇌졸중환자 16명을 대상으로 실험군에선 호흡저항이 병행된 전신진동자극훈련을 적용하였으며, 대조군에선 전신진동자극훈련만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호흡저항운동과 전신진동훈련이 기존 전신진동훈련과 비교하여 호흡기능 및 균형능력에 미치는 효과 차이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환자의 기능 활동에 있어서 호흡 중재를 통합시킨 재활프로그램이 효과적이라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전신진동자극훈련을 병행한 호흡재활 프로그램의 유용성을 평가하고 호흡기능과 균형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편측마비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은 무엇인가? 뇌졸중으로 인한 장애 증상은 손상된 뇌 부위와 크기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사지의 반신 마비, 감각 및 운동 손상, 인지 및 언어, 시‧지각, 연하 장애, 정적 기립자세에서 자세의 흔들림 증가 등의 문제를 보인다[3,4]. 특히 뇌졸중환자의 주된 증상인 편측마비는 신체 편측에 근육 힘 약화를 가져오며 환자의 일생생활 수행력을 제한하는 요소로 균형능력에 영향을 줌으로써 일상생활활동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을 준다[5]. 뇌졸중환자에게서 균형은 자세조절을 하기 위한 필수적 요소 중 하나로, 자세조절능력의 증가는 안정성과 체중부하, 조절력 및 균형능력의 향상을 위하여 매우 중요하다.
호흡근 조절력 감소로 발생할 수 있는 질병과 문제점은 무엇인가? 호흡근 조절력 감소는 호흡근과 체간의 자세조절에 영향을 미쳐 가슴우리의 움직임과 호흡근의 세기를 저하시킴으로써 호흡능력에 대한 감소를 불러일으킨다[7]. 이로인해 뇌졸중 환자의 객담제거 능력 감소로 이어져 기도 내 분비물의 축적을 초래하여 여러가지 호흡기 합병증을 일으킨다[8]. 호흡기 합병증은 호흡곤란과 운동 수행능력에 지장을 주기 때문에 호흡근훈련을 통하여 호흡근 기능을 강화, 합병증을 예방하고 운동 내성을 증진하는 치료적 중재가 요구되고 있다[9].
뇌졸중이란 무엇인가? 뇌졸중은 대표적인 뇌혈관 질환으로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거나 파열되어 발생하는 질병으로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사망원인이 되고있으며 뇌졸중 유병률 또한 2012년에서 2013년 대비 4.0% 증가한 정황을 보이고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OECD Health Statistics. (2016). Available from: http://opendata.hira.or.kr/op/opc/olapOecdInfo.do. 

  2.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8). Available from: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012 

  3. L. Mercier et al. (2001). Impact of motor cognitive and perceptual disorders on ability to perform activities of daily living after stroke. Stroke, 32(11), 2602-2608. 

  4. S. Ryerson et al. (2008). Altered trunk position sense and its relation to balance functions in people post-stroke. Journal of Neurologic Physical Therapy, 32(1), 14-20. 

  5. R. W Bohannon. (2007). Knee extension strength and body weight determine sit-to-stand independence after stroke. Physiotherapy Theory and Practice, 23(5), 291-7. 

  6. J. Mehrholz et al. (2007). Electromechanical -assisted training for walking after stroke. Cochrane Database Systematic Reviews, 17(4). 

  7. R. S. Howard et al. (2001). Pathophysiological and clinical aspects of breathing after stroke. Postgraduate Medical Journal, 77(913), 700-2. 

  8. L. F. Teixeira-Salmela et al. (2005). Respiratory pressures and thoracoabdominal motion in community-dwelling chronic stroke survivor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6(10), 1974-8 

  9. P. Weiner et al. (2003). Comparison of specific expiratory inspiratory and combined muscle training programs in COPD. CHEST Journal, 124(4), 1357-1364. 

  10. J. Rittweger et al. (2002) Treatment of chronic lower back pain with lumbar extension and whole-body vibration exercis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pine, 27, 1829-34. 

  11. M. Roelants et al. (2006). Whole-body-vibration-induced increase in leg muscle activity during different squat exercises. The Journal of Strength and Conditioning Research, 20, 124. 

  12. T. K. Tihanyi et al. (2007) One session of whole body vibration increases voluntary muscle strength transiently in patients with stroke. Clinical Rehabilitation, 21, 782-793. 

  13. Van Nes et al. (2006). Long-term effects of 6-week whole-body vibration on balance recovery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the postacute phase of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troke 37, 2331-2335. 

  14. G. Lee. (2015). Does whole-body vibration train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have effects on motor function and balance of chronic stroke survivors? A preliminary study.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27, 1133-1136. 

  15. L. Moodie et al. (2011). Inspiratory muscle training increases inspiratory muscle strength in patients weaning from mechanical ventilation: A Systemic review. journal of Physiotherapy. 57(4), 213-221. 

  16. E. Cappadocia Carin et al. (2016). Improved Balance with Aquatic Therapy and Body Weight Supported Treadmill Training for a Patient with Chronic Strokes. Journal of Aquatic Physical Therapy, Winter. 24(1), 32-40. 

  17. D. K. Lee et al. (2018). The effect of respiratory exercise on trunkcontrol, pulmonary function, an dtrunkmuscle activity in chronic stroke patients.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30(5), 700-703. 

  18. AR. Amani. (2018). The effect of creatine mono hydrate supple ment on stroke volume during high intensity aerobic exercise in non active adults. Pedagogics, Psychology, Medical-Biological Problems of Physical Training and Sports, 22(3), 120-123. 

  19. I. Bautmans et al. (2005). The feasibility of whole body vibration in institutionalised elderly persons and its influence on muscle performance, balance and mobility: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ISRCTN62535013]. BMC geriatrics, 5, 17. 

  20. Ross A. Clark. et al. (2010).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Nintendo Wii Balance Board for assessment of standing balance. Gait & posture, 31(3), 307-310. 

  21. S. Downs et al. (2014). Normative scores on the Berg Balance Scale decline after age 70 years in healthy community-dwelling people: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Physiotherapy, 60, 85-89 

  22. D. Podsiadlo et al. (1991). The timed up & go : a test of Basic functional mobility for frail elderly person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39, 142-148. 

  23. DJ. Lynn et al. (1994). Respiratory dysfunction in muscular dystrophy and other myopathies. Clinics in chest medicine, 15(4), 661-674 

  24. M. De Haart et al. (2004). Recovery of standing balance in postacute stroke patients: a rehabilitation cohort study.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5(6), 886-95. 

  25. D. J. Cochrane. (2011). Vibration Exercise: The Potential Benefits.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s Medicine, 32(2), 75-99. 

  26. Y. Jammes et al. (2000). Response of the rabbit diaphragm to tendon vibration. Neuroscience Letters, 290(2), 85-8. 

  27. D. Leduc et al. (2001). Response of the canine internal intercostal muscles to chest wall vibration.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163(1), 49-54. 

  28. J. Rittweger. (2010). Vibration as an exercise modality: how it may work, and what its potential might be. Europea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108, 877-904. 

  29. J. H. Kim et al. (2014). Effects of Respiratory Muscle and Endurance Training using an Individualized Training Device on Pulmonary Function and Exercise Capacity in Stroke Patients. Medical Science Monitor, 20, 2543-2549. 

  30. R. R. Britto et al. (2011). Inspiratory muscular training in chronic stroke survivor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92(2), 184-90. 

  31. A. Nicolini et al. (2013). Effectiveness of treatment with high-frequency chest wall oscillation in patients with bronchiectasis. BMC Pulmonary Medicine, 13, 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