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료용 초음파 실습 시 장치의 세균오염도 측정에 관한 융합적 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Measurement of Bacterial Pollution in Medical Ultrasonic Practice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10, 2019년, pp.75 - 80  

김동흔 (강원대학교 방사선학과) ,  박상희 (강원대학교 방사선학과) ,  박규태 (강원대학교 방사선학과) ,  정원희 (강원대학교 방사선학과) ,  김소연 (강원대학교 방사선학과) ,  홍희진 (강원대학교 치위생학과) ,  손나라 (강원대학교 치위생학과) ,  남설희 (강원대학교 치위생학과) ,  한만석 (강원대학교 방사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학교에서 의료용 초음파 실습 시 초음파 장치의 Freeze 및 Print Button, 프로브의 Lens, 손잡이, Line 부분 그리고 복부 Phantom에서 가장 접촉이 많은 부위를 임의로 선정하여 프로브에 상제하고 있는 세균을 검출하여 병원균의 수를 알아보고자 한다. 실험 방법으로는 실험 대상 위치에 균채집용 멸균된 면봉으로 검사 대상 부위를 20번 문지른 후 Lysogeny broth(LB) agar에 도말을 실시한 후 배양기에 넣어 48시간 동안 배양하고 colony forming unit (CFU) 수를 평가하여 프로브 손잡이, 복부 Phantom의 세균 분포정도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CFU 값은 Lens는 $3.0{\pm}0.87$, Print button는 $5.5{\pm}1.06$, Freeze button은 $8.0{\pm}4.95$, Phantom은 $20.0{\pm}2.78$, Line은 $23.5{\pm}2.50$, 그리고 Probe handle의 값은 $35.3{\pm}10.75$로 측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의료용 초음파 실습 시 실습 시 장비의 감염관리에 대한 주의를 부각시키고, 나아가서 초음파 장치의 세균 감염률 감소에 확실하게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ring the medical ultrasound exercise at school, we randomly select parts of the ultrasound device and areas with the most contact in the abdominal phantom to detect bacteria that are above the probe and determine the number of pathogens. I want to find out. The experimental method was rubbed 20 ti...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논문은 초음파 장치의 자주 사용하는 프로브, Freeze 버튼 등 감염 위치와 정도를 파악하여 실습 시 장비의 감염관리에 대한 주의를 부각시키고, 나아가서 임상 장비의 감염관리의 필요성을 시사하기 위해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프로브 재질을 이해하고 에탄올로 소독이 불가능한 Lens의 실리콘 부분을 천연 추출물로 사용할때 어떤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가? 본 저자는 결과적으로 사람의 몸에 가장 잘 접촉되는 프로브의 오염이 많으므로 프로브 재질을 이해하고 에탄올로 소독이 불가능한 Lens의 실리콘 부분을 천연 추출물로 사용한다면 보다 친환경적이고 장비와 인체에 무리를 주지 않고 소독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가 체계적이고 철저한 병원에서도 병원 감염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생각해보면 방사선사가 되기 위해 방사선학을 배우는 학교에서부터 감염관리를 한다면 병원에 취직 후에 병원 내의 초음파 장치의 세균 감염률 감소에 확실한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초음파 검사는 실시간으로 움직이는 구조물을 확인할 수 있고, 전산화 단층촬영(CT)이나 자기공명영상(MRI) 장치와 달리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가? 특히 유방, 갑상샘, 근골격과 같이 우리 몸의 표면에 있는 구조를 쉽고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다. 실시간으로 움직이는 구조물을 확인할 수 있고, 전산화 단층촬영(CT)이나 자기공명영상(MRI) 장치와 달리 검사 장치 이동이 쉬워 중환자나 수술 직후 환자의 중재적 시술 시 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최근 만성 B형 바이러스성 감염 환자의 간 기능 혈액 검사 수치와 간 섬유화 스캔 검사의 임상적, 기기적 융합 유용성을 평가하는 연구도 이루어졌다[2].
초음파 검사는 어떤방식으로 검사가 진행되는가? 초음파 검사(Sonography)는 초음파를 생성하는 탐촉자를 검사 부위에 밀착시켜 초음파를 보낸 다음 되돌아오는 초음파를 실시간 영상화하는 방식으로 검사가 진행된다. 따라서 초음파 검사는 환자가 편안하고 간편하며 인체에 해가 없어서 영상 검사 중 가장 기초가 되는 검사이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J. S. Choi. (1995). Principle and Application of Ultrasonic Image Diagnosis. The Processing of the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34(9), 541-547 

  2. M. J. Kim, M. S. Han & J. U. Jang. (2017). Evaluation of convergence Elasticity of Liver Fibroscan used measurement with Ultrasonograph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5), 79-85 

  3. C. H. Kim et al. (2004). Investigation into the Actual State or Sanitary Management and Recognition Degree and Infection Level of Ultrasonographic Probes.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27(3), 51 -58 

  4. J. E Moon & M. O. Song. (2017). A Convergence Study about the Performance of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of Hospital Nurses-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1), 51-59, 

  5. B. J. Misset et al. (2004). A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program reduces nosocomial infection rates in the ICU. Intensive Care Med, 30(3), 395-400, 

  6. S. Y. Jeong, H. S. Oh & H. K. Chun. (2015). Analysis of the Status of Infection Controls after Application of the Healthcare Accreditation System.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9(4), 33 

  7. C. H. Woo, J. Y. Park, S. Y. Lee & J. E. Oh. (2018). Factors Influencing the Infection Control Practice of Clinical Nurses based on Health Belief Model.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3), 121-129 

  8. J. Yoon & H. J. Kim. (2018). A study on effective disinfection methods of medical ultrasound probe resident flora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9(1), 346-354. 

  9. H. K. Lee, S. S. Kim, Y. C. Heo & D.K Han. (2018). A Study on Microbial Contamination and Disinfection of Ultrasonic Probe in Metropolitan Area.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41(5), 427-435 

  10. D. H. Hong & M.S. Park. (2017). Analysis of Healthcare Convergence on Bacterial Contamination of Radiological Equipment in Emergency Rooms of General Hospital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1), 51-59 

  11. K. Y. Choi, S, J. Yoo, J. H. Lee & S. Y. Hon. (2019). A Study on the Necessity Verification of Convex Probe Disinfe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13(2), 193-200 

  12. S. H. Bae, M. S. Lee, C. S. Lim & G. J. Kim. (2008). A Study on the Measurement of the Pollution Level of Bacteria and Disinfection of Table and IP Cassette,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31(3), 229-237 

  13. S. H. Shin. (2019). Relationships between Health Promoting Lifestyle, Health Belief about Emerging Infectious Disease and Hygiene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4), 285-293 

  14. S. Hayashi, H. Koibuchi, N. Taniguchi & Y. Hirai. (2012). Evaluation of procedures for decontaminating ultrasoundprobes, Journal of Medical Ultrasonics. 39(1), 11-4. 

  15. H. Koibuchi, K. Kotani & N. Taniguchi. (2013). Ultrasoundprobes as a possible vector of bacterial transmission. Medical ultrasonography, 15(1), 41-4. 

  16. J. S. Jeong, J. H. Choi, S. H. Lee & Y. S. Kim. (2003). Hand Hygiene Effects Measured by Hand Culture in Intensive Care Unit. The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5(2), 21-30, 

  17. S. Y. Jeong, H. S. Oh & H. K. Chun. (2015). Analysis of the Status of Infection Controls after Application of the Healthcare Accreditation System.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9(4), 33. 

  18. H. Y. Lee & S. G. Shin. (2017). Bacteriological Research for the Contamination of Digital Portable Radiography.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40(1), 7-12. 

  19. D. H. Hong & H. G. Kim (2016). Analysis of Bacterial Contamination on Surface of General Radiography Equipment and CT Equipment in Emergency Room of Radiology.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39(3), 421-27. 

  20. J. Y. Lee. (2017). Influence of Diagnostic X-ray Laboratory Automatic System on Pathogen Infection. Radiology, Mater's thesis. Cheongju University, Cheongju.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