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난 모니터링을 위한 Landsat 8호 영상의 구름 탐지 및 복원 연구
Cloud Detection and Restoration of Landsat-8 using STARFM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5 no.5 pt.2, 2019년, pp.861 - 871  

이미희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재난정보연구실) ,  천은지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재난정보연구실) ,  어양담 (건국대학교 기술융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Landsat 위성영상은 재난 피해 지역에 대해 주기적이며 광역적인 관측이 가능하여 재난 피해분석, 재난 모니터링 등 활용도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광학위성영상 특성상 구름으로 인한 결측된 영역으로 인해 주기적인 재난 모니터링에는 한계가 있어 결측된 영역의 복원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Landsat 8호 영상 취득 시 제공되는 QA밴드를 이용하여 구름 및 구름그림자를 탐지 및 제거하고, STARFM 알고리즘을 통해 제거된 영역의 영상 복원을 수행하였다. 복원된 영상은 기존의 영상 복원 방법으로 복원된 영상과 MLC 기법을 통해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STARFM으로 인한 복원방법이 전체정확도 89.40%로, 기존의 영상 복원 방법보다 효율적인 복원방법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통해 향후 Landsat 위성영상을 이용한 재난분석 수행 시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andsat satellite images have been increasingly used for disaster damage analysis and disaster monitoring because they can be used for periodic and broad observation of disaster damage area. However, periodic disaster monitoring has limitation because of areas having missing data due to clouds as a ...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위 방법들은 두꺼운 구름을 탐지하고 복원하는데 효율적인 방법이지만, 얇은 구름은 탐지하지 못하여 복원 영상에도 일부 구름이 남아있는 한계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andsat 8호 영상 취득 시 제공되는 Quality Assessment (QA)밴드를 이용하여 두꺼운 구름과 얇은 구름에 대해서도 효과적으로 탐지하여 제거하고, 제거된 영역에 대하여 Spatial and Temporal Adaptive Reflectance Fusion Model (STARFM) 기법으로 제작된 모의영상을 이용하여 복원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 사용자 정확도는 수행오차 또는 신뢰도라고도 부르며 참조자료를 기준으로 복원영상이 해당 클래스가 얼마나 정확하게 분류가 되었는지에 대한 지표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복원영상의 해당 클래스에 대한 정확도는 사용자 정확도로 확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Landsat 8호 영상으로부터 포함되어 있는 QA밴드를 이용하여 구름 영역 탐지 및 제거를 위해 간단하고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Fig. 2). Landsat 8호의 QA밴드는 영상을 촬영할 당시의 표면, 대기 및 센서 조건에 의한 영상 내 화소 품질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기 때문에 장비의 결함이나 구름의 영향을 받는 화소들을 표시하여 사용자들이 불량화소를 보다 쉽게 식별할 수 있다(Table 1).
  • 본 연구에서는 Landsat 8호 영상의 QA밴드를 이용하여 구름 탐지 및 제거하기 위해 효과적이고 간단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Fig.
  • 본 연구에서는 Landsat 8호 영상의 QA밴드를 이용하여 제거된 구름 및 구름그림자 영역을 복원하기 위하여 2가지 방법을 통해 복원을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Landsat 8호 영상의 활용성을 저해하는 요소 중 하나인 구름으로 인해 결측된 영역을 복원하기 위해 STARFM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결측 지역을 복원하는 방법을 수행하였다. 먼저, 구름 및 구름그림자 영역을 탐지하기 위하여 Landsat 위성영상으로부터 제공되는 QA밴드를 이용하여 구름 탐지 및 제거하였다.
  • 그러나 QA밴드는 시기별, 영상별, 지역별 차이 없이 일정한 값을 통해 구름을 탐지할 수 있으며 연무와 같은 얇은 구름에 대해서도 효과적으로 탐지가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구름이 제거된 영역에 대해 STARFM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결측된 영역을 복원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법은 STARFM 알고리즘을 통해 MODIS 영상과 Landsat 영상을 융합하여 구름으로 인해 결측된 날의 Landsat 모의영상을 제작하여 결측된 영역에 내삽하여 복원하였다.

가설 설정

  • 구름 및 구름그림자 탐지에 대한 정확도 평가는 구름분포와 운량의 참값을 취득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본 연구의 주목적인 영상 복원에 대한 정확도 평가만 수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구름으로 인해 결측된 영역에 대한 복원영상의 정확도 평가를 위해 복원된 영상은 분류 후에도 참조영상과 같은 클래스를 가져야한다는 가정 하에 참조영상과 복원영상 간의 영상분류를 통해 정확도 평가를 수행하였다(Park and Kim, 2012; Shiu et al., 2011; Kim et al., 201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결측된 영역의 복원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Landsat 위성영상은 재난 피해 지역에 대해 주기적이며 광역적인 관측이 가능하여 재난 피해분석, 재난 모니터링 등 활용도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광학위성영상 특성상 구름으로 인한 결측된 영역으로 인해 주기적인 재난 모니터링에는 한계가 있어 결측된 영역의 복원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Landsat 8호 영상 취득 시 제공되는 QA밴드를 이용하여 구름 및 구름그림자를 탐지 및 제거하고, STARFM 알고리즘을 통해 제거된 영역의 영상 복원을 수행하였다.
Landsat 영상을 이용한 재난 분석의 효과는 무엇인가? 82로 기존 복원방법보다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재난 피해 분석을 위해서 필수적인 피해 전 최근 영상 수급이 가능해지며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재난 모니터링 관측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통해 구름의 영향을 많이 받는 여름철 청천영상 수급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향후 Landsat 영상을 이용한 재난 분석 수행 시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생산자 정확도란 무엇인가? 각 클래스별 분류정확도는 생산자 정확도(producer’s accuracy)와 사용자 정확도(user’s accuracy)로 구성되어있다. 생산자 정확도는 누락오차라고도 하며 해당 클래스가 어느 클래스로 얼마나 분류될 수 있는가를 나타내는 지표를 의미한다. 사용자 정확도는 수행오차 또는 신뢰도라고도 부르며 참조자료를 기준으로 복원영상이 해당 클래스가 얼마나 정확하게 분류가 되었는지에 대한 지표를 나타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rindha, S., S. Archana, V. Divya, S. Manoshruthy, and R. Priy, 2013. Removing thick clouds in Landsat images, ITSI Transactions on Electrical and Engineering, 1(6): 121-125. 

  2. Chen, J., X. Zhu, J. E. Vogelmann, F. Gao, and S. Jin. 2011. A simple and effective method for filling gaps in Landsat ETM+ SLC-off image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5(4): 1053-1064. 

  3. Cho, M. H., Y. J. Park, S. S. Kim, J. W. Choi, and S. H. Goo, 2012. Analysis on HAITI earthquake damage using high resolution imagery, Proc.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YongIn-si, Republic of Korea, Feb. 16. vol. 10, p. 125. 

  4. Cho, M. J., J. Lu, and C. W. Lee, 2013. Time-series analysis of pyroclastic flow deposit and surface temperature at Merapi volcano in Indonesia using Landsat TM and ETM+,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9(5): 443-45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Gao, F., J. Masek, M. Schwaller, and F. Hall, 2006. On the blending of the Landsat and MODIS surface reflectance: predicting daily Landsat surface reflectance,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44: 2207-2218. 

  6. Han, S. H. and J. K. Park, 2012. Construction of corrected image about cloud cover area using multi-temporal Landsat data, Proc. of the Korean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KAIS) Fall Conference, Daejeon, Republic of Korea, May 25-26, pp. 845-847. 

  7. Jensen, J. R., 2005. Introductory Digital Image Processing: A Remote Sensing Perspective 3rd Edition, Pearson Prentice Hall, Upper Saddle River, NJ, USA. 

  8. Jin, S., C. Homer, L. Yang, G. Xian, J. Fry, P. Danielson, and P. A. Townsed, 2013. Cloud-free satellite image mosaics with regression trees and histogram matching,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34(5): 1540-1560. 

  9. Kim, Y. J. and J. S. Won, 2008. Zero disaster, disaster prevention strategy for Seoul, SDI Policy Report, 25: 1-22. 

  10. Kim, B. H., Y. H. Kim, Y. K. Han, W. S. Choi, and Y. I. Kim, 2014. Fully automated generation of cloud-free imagery using Landsat-8,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32(2): 133-14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La, P. H. and M. Q. Nguyen, 2017. Reconstruction of missing data caused by cloudcover based on beyesian neural network and multitemporal images, Proc.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Geo-Spatial Technologies and Earth Resource, Hanoi, Vietnam, Oct. 5-6, pp. 89-102. 

  12. Lee, H. S. and K. S. Lee, 2015. Development of cloud detection method with 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y for land application,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1(5): 371-38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Lee, B. R., Y. K. Lee, D. H. Kim, and S. W. Kim, 2019. Correction of lunar lrradiation effect and change detection using Suomi-NPP dat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5(2): 265-27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Maxwell, S., 2004. Filling Landsat ETM+ SLC-off gaps using a segmentation model approach, Photogrammetric Engineering and Remote Sensing, 70(10): 1109-1112. 

  15. Park, J. K. and M. G. Kim, 2012. SLC-off image correlation and usability evaluation by gapfill funct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13(8): 3692-3697. 

  16. Shiu, Y. S., M. L. Lin, and T. H. Chu, 2011. Mapping and recovering cloud-contaminated area in multispectral satellite imagery with visible and near-infrared bands, Proc. of 2011 IEEE International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Symposium, Vancouver, BC, Canada, Jul. 24-29, pp. 543-546. 

  17. Sun, L., X. Mi, J. Wei, J. Wang, X. Tian, H. Yu, and P. Gan, 2017. A cloud detection algorithm-generating method for remote sensing data at visible to short-wave infrared wavelengths, ISPRS Journal of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124: 70-88. 

  18. Tralli, D. M., R. G. Blom, V. Zlotnicki, A. Donnellan, and D. L. Evans, 2005. Satellite remote sensing of earthquake, volcano, flood, landslide and coastal inundation hazards, ISPRS Journal of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59(4): 185-198. 

  19. Walker, J. J., K. M. De Beurs, R. H. Wynne, and F. Gao, 2012. Evaluation of Landsat and MODIS data fusion products for analysis of dryland forest phenology,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7: 381-393. 

  20. Yin, G., G. Mariethoz, and M. McCabe, 2016. Gap-filling of Landsat 7 imagery using the direct sampling method, Remote Sensing, 9(1): 1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