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대학생들의 팀 학습목표 지향성과 팀 창의성의 관계: 팀 성찰, 팀 효능감, 그리고 긍정적 집단 정서 분위기의 역할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Team Learning Goal Orientation and Their Team Creativity: The Roles of Team Reflexivity, Team Efficacy, and Positive Group Affective Ton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0 no.10, 2019년, pp.159 - 168  

김미희 (한양대학교 경영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급격한 환경변화에 속에서 창의성이 조직 생존을 위한 경쟁우위 요인으로 강조된 이 후, 많은 학자들은 어떻게 하면 창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 관심을 가져왔다. 수많은 조직들이 효율적인 업무처리를 위해 팀 제를 도입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팀 창의성에 대한 관심 역시 증가하는 추세이다. 본 논문에서는 팀 창의성에 대한 이해를 목표로 팀 학습목표 지향성을 선행요인으로 고려한다. 특히, 팀 학습목표 지향성과 팀 창의성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서로 다른 팀 프로세스(예, 팀 성찰, 팀 효능감, 긍정적 집단 정서 분위기(PGAT: Positive Group Affective Tone, 이하 PGAT))를 밝히는데 목적을 둔다. 본 연구의 분석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서울소재의 한 경영대학에서 개설하는 세 개의 경영학 전공 강좌의 수강생 187명(57개 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위계적 회귀분석을 방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팀 학습목표 지향성은 팀 창의성과 정(+)적으로 관련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팀 성찰과 팀 효능감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또한, 팀 성찰과 팀 효능감은 팀 창의적 성과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였으며, 동시에 팀 학습목표 목표 지향성과 팀 창의성 사이를 매개하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예측과 달리 PGAT는 팀 학습목표 지향성과 팀 창의성과는 통계적으로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본 연구 결과는 다양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가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raws on goal orientation theory and proposes the team learning goal orientation as an antecedent of team creativity. In addition, an Input-Process-Output (IPO) model was adopted, in which the team reflexivity, team efficacy, and positive group affective tone (PGAT) are linking mechanisms...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IPO 모델은 팀 유효성 연구를 비롯하여 팀 조직시민행동, 팀 창의성과 관련한 연구에서 실증을 통해 그 타당성이 입증 되어 왔다[4,31,33,34].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각각의 팀 학습목표 지향성을 팀의 특성으로써 투입요인, 팀 성찰, 팀 효능감 그리고 PGAT를 각각 인지적, 동기적, 정서적 과정요인으로 마지막으로 팀 창의성을 최종적인 산출요인으로 적용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팀 학습 목표지향성은 과업을 숙련하고자 하는 욕구뿐 아니라 팀의 역량을 개발시키고 학습하는 것에 동기부여가 되기 때문에 자발적으로 과업수행과정을 되돌아보고 부족한 점, 개선해 나가야 할 점을 서로 의논하고 좋은 아디이어를 공유하는 팀 성찰 과정을 통해 팀 창의성을 향상시킬 것으로 예측한다.
  • 그러나, 개별 연구당 하나의 매개요인을 검증함으로써 팀 학습목표 지향성과 팀 창의성의 관계 속에 내재되어 있는 다양한 측면의 프로세스를 동시에 살펴보는 것에 있어서는 그 한계가 존재한다[4,8].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팀 학습목표 지향성 이 독립적인 세개의 매개경로를 통해 팀 창의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제안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팀 학습목표 지향성과 팀 창의성 사이의 인지적 (cognitive) 프로세스로 팀 성찰(team reflexivity), 동 기적(motivational) 프로세스로 팀 효능감(team efficacy), 그리고 정서적(affective) 프로세스로 PGAT 을 고려하고자 한다.
  • 기존의 목표 지향성과 창의성 사이의 관계에 관심을 둔 연구들은 주로 개인수준에서 이루어져 왔거나 또는 팀 수준에서 진행되었다 할지라도 하나의 매커니즘 을 고찰하는데 머물러 있다[13,22,48-50]. 본 논문에서 는 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가 팀 학습목표 지향성과 팀 창의성 사이의 관계에 기저해 있는 서로 다른 매개 매커니즘을 동시에 밝혀냄으로써 기존 연구들보다 진일보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연구는 기존의 세 가지로 유형의 팀 목표 지향성 중 학습목표 지향성에만 초점을 두었다는 점이 그 한계로 지적될 수 있다.
  • 선행연구들에서는 주로 인지적 프로 세스에 해당하는 정보교환, 팀 성찰, 팀 학습 등들이 검증 되어 왔다[1-4,8]. 본 연구에서는 인지적 프로세스를 포함하여 두 관계를 보다 심층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동기적, 정서적 프로세스를 동시에 검증함으로써 기존 선행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고자 한다.
  • 따라서, 팀 학습 목표 지향성은 팀 구성원들의 상호 작용을 통한 팀 프로세스를 촉진시키는 선행요인으로써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팀 학습목표 지향성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유형이 서로 다른 팀 프로세스와 정(+) 적으로 관련할 것이라 예측한다. 먼저, 인지적 프로세스 에 해당하는 팀 성찰은 팀원들이 과업을 수행하는 동안에 관찰되는 행동으로써, 팀의 목표와 전략, 프로세스를 수용하고, 결과에 대한 반추하는 과정으로 정의될 수 있다[20].
  • 팀 창의성 그리고 혁신 등을 목표로 선택하고 성취하기 위한 행동을 결정하는데 있어 목표 지향성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함에도[5] 불구하고, 팀 목표 지향성과 팀 창의성 사이의 관계를 고찰한 연구는 제한적인 실정이다. 이를 근거로 본 연구에서는 개인 수준의 목표 지향성 이론(goal orientation theory)을 팀 수준에 적용하여, 팀 학습목표 지향성(team learning goal orientation)을 팀 창의성을 설명하는 주요 선행요인으로 고려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팀 학습목표 지향성이란, 팀이 학습함으로써 역량 개발 및 숙달을 목표로 이에 대한 팀 구성원들의 공통된 지각을 의미한다[6,7].
  • 팀 학습목표 지향성은(team learning goal orientation) 팀이 어떤 일을 수행함에 있어 역량 개발 및 숙달에 초점을 두는 것을 말하며, 팀 성과증명 목표 지향성(team performance-prove goal orientation) 은 호의적인 평가를 얻는 것과 다른 팀보다 뛰어난 성과를 수행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팀 성과회피목표 지향성 (team performance-avoid goal orientation)은 부정적인 평가를 회피하는 것에 관심을 둔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유형의 팀 목표 지향성 중 팀 창의성과 보다 직접적으로 관련하는 팀 학습목표 지향성에 주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팀 학습 목표 지향성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팀 학습 목표 지향성은 팀이 강조하는 역량개발 및 학습 목표를 강조하고 유지함으로써 공동의 목표 대해 순차적으로 팀의 의사결정을 활성화시키며, 협동적인 문제 해결을 도출해 내고, 팀 내 조정에 대한 기준을 제공한다 [6]. 따라서, 팀 학습 목표 지향성은 팀 구성원들의 상호 작용을 통한 팀 프로세스를 촉진시키는 선행요인으로써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팀 학습목표 지향성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유형이 서로 다른 팀 프로세스와 정(+) 적으로 관련할 것이라 예측한다.
팀 창의성이란 무엇인가? 팀 창의성은 구성원들의 제시하는 문제해결을 위한 새로운 아이디어 또는 참신한 관점 등이 업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얼마나 유용하게 쓰였는지를 의미한다[18]. 즉, 팀 구성원들이 주어진 과제나 과업을 얼마나 창의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하는지, 이를 실천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현방안 및 새로운 절차 아이디어를 마련하고 있는 정도를 말한다.
조직 장면에서의 목표 지향성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조직 장면에서의 목표 지향성은 조직구성원들이 성취 상황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고 지각하는지를 나타내는 것으로써, 구성원의 정서적, 인지적, 행동적 측면에 영향을 주게 된다[9]. 한, 조직 내에서 직면할 수 있는 목표와 관련한 여러 상황을 해석하고, 반응하는 행동 기준을 제공한다[9]. 팀 단위의 작업 증가와 함께 팀 구성원들은 동일한 제도, 문화 및 풍토에 노출됨으로써 집단 즉, 팀 수준에서의 목표 지향성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1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A. Somech, "The effects of leadership style and team process on performance and innovation in functionally heterogeneous teams", Journal of Management, Vol.32, No.4, pp.132-157, 2006. DOI: https://doi.org/10.1177/0149206305277799 

  2. W. Tsai, N. Chi, A. A. Grandey, S. Fung. "Positive group affective tone and team creativity: Negative group affective tone and team trust as boundary condition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29, pp.239-261, 2012. DOI: https://doi.org/10.1002/job.775 

  3. Y. Shin. 2014. "Positive group affect and team creativity mediation of team reflexivity and promotion focus", Small Group Research, Vol.45, No.3, pp:337-364, 2014. DOI: https://doi.org/10.1177/1046496414533618 

  4. A. Y. Zhang, A. S. Tsui, D. X. Wang. "Leadership behaviors and group creativity in Chinese organizations: The role of group processes", The Leadership Quarterly, Vol.22, No.5, pp.851-862. 2011. DOI: https://doi.org/10.1016/j.leaqua.2011.07.007 

  5. G. Chen, R. Kanfer. "Toward a systems theory of motivated behavior in work teams",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Vol.27, pp.223-267. 2006. DOI: https://doi.org/10.1016/S0191-3085(06)27006-0 

  6. J. S. Bunderson, K. M. Sutcliffe. "Management team learning orientation and business unit performan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8, No.3, pp.552-. 2003. DOI: http://dx.doi.org/10.1037/0021-9010.88.3.552 

  7. S. M. Gully, J. M. Phillips, J. M. A Research in personnel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pp. 1-51, Greenwich, CT: JAI Press/Elsevier Science. 2005. 

  8. A. Carmeli, Z. Sheaffer, G. Binyamin, R. Reiter-Palmon. T. Shimoni.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creative problem­solving: The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safety and reflexivity", The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Vol.48, No.2, pp.115-135, 2014. DOI: https://doi.org/10.1002/jocb.43 

  9. C. S. Dweck, E. L. Leggett. "A social-cognitive approach to motivation and personality", Psychological Review, Vol.95, pp.256-273, 1988. DOI: http://dx.doi.org/10.1037/0033-295X.95.2.256 

  10. L. Dragoni, "Understanding the emergence of state goal orientation in organizational work groups: The role of leadership and multilevel climate perceptio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90, No.6, pp.1084-1095. 2005. DOI: http://dx.doi.org/10.1037/0021-9010.90.6.1084 

  11. A. Mehta, H. Feild, A. Armenakis, N. Mehta. "Team goal orientation and team performance: The mediating role of team planning", Journal of Management, Vol.35, No.4, pp.1026-1046, 2009. DOI: https://doi.org/10.1177/0149206308326773 

  12. C. O. Porter. "Goal orientation effects of backing up behavior, performance, efficacy and commitment in team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90, pp. 811-818. 2005. DOI: http://dx.doi.org/10.1037/0021-9010.90.4.811 

  13. Y. Gong, T-Y. Kim, D-R. Lee, J. Zhu. "A multilevl model of team goal orientation, information exchange, and creativity",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56, No.3, pp.327-851, 2013. DOI: https://doi.org/10.5465/amj.2011.0177 

  14. Kozlowski, S. W. & Bell, B. S. Handbook of Psychology. pp.333-375, Wiley, 2003. 

  15. L. Alexander, D. Van Knippenberg. "Teams in pursuit of radical innovation: A Goal Orientation Perspectiv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39, No.4, pp.423-438. 2014. DOI: https://doi.org/10.5465/amr.2012.0044 

  16. E. Salas, S. M. Fiore. Team cognition: Understanding the factors that drive process and performance.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4. 

  17. M. Kim, Y. Shin. "The mediating effect of team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 goal orientation and team OCB". Korean Corporation Management Review, Vol.10, pp.175-193. 2013. UCI: G704-002085.2013.20.5.013 

  18. G. R. Oldham, A. Cummings. "Employee creativity: Personal and contextual factors at work",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9, No.3, pp:607-634. 1996. DOI: https://doi.org/10.5465/256657 

  19. B. S. Bell, W. J. Kozlowski. "Goal orientation and ability: interactive effects on self-efficacy, performance, and knowledg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7, No.3, pp:497-505. 2002. DOI: http://dx.doi.org/10.1037/0021-9010.87.3.497 

  20. M. A. West. Product Development Teams. pp.1-29, Stanford, CT: JAI Press, 2000. 

  21. M. A. West. Handbook of Work Group Psychology. pp.555-579, Chichester: John Wiley & Sons, 1996. 

  22. Y. Shin, M. Kim, S-H. Lee. "Reflection toward creativity: Team reflexivity as a linking mechanism between team goal orientation and team creative performance", Journal of Business and Psychology, Vol.32, No. 6. pp.655-671, 2017. DOI: https://doi.org/10.1007/s10869-016-9462-9 

  23. A. Bandur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Macmilan, 1997. 

  24. S. B. Button, J. E. Mathieu, D. M. Zajac. "Management team learning orientation and business unit performan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8, pp.552-560. 2003. DOI: http://dx.doi.org/10.1037/0021-9010.88.3.552 

  25. J. M. George. "Personality, affect, and behavior in group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75, No.2, pp.107-116. 1990. DOI: http://dx.doi.org/10.1037/0021-9010.75.2.107 

  26. K. Talor, C. Marenau, M. Fiddler. Developming adult learners. San Francisco: Jossey-Bass. 2000. 

  27. D. Bye, D. Pushkar, M. Conway. "Motivation, interest, and positive affect in traditional and nontraditional undergraduate student", Adult Education Quarterly, Vol.57, No.2, pp.141-158, 2007. DOI: https://doi.org/10.1177/0741713606294235 

  28. M. C. Shippers, D. N. Den Hartog, P. L. Koopman.L."Reflexivity in teams: A measurement and correlates", Applied Psychology: An International Review, Vol.56, pp.189-211. 2007. DOI: https://doi.org/10.1111/j.1464-0597.2006.00250.x 

  29. Y. K. Lee, J. K. Kim "A study on effect of team workforce diversity on team effectiveness-mediating effect of conflict and reflexivity",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Vol.20, No.4, pp.179-200. 2013. DOI: http://doi.org/10.14396/jhrmr.2013.20.4.179 

  30. C. B. Gibson, P. C. Earley. "Collective cognition in action: Accumulation, interaction, examination, and accomodation in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group efficacy beliefs in the workplac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32, No.2, pp.438-458. 2007. DOI: https://doi.org/10.5465/amr.2007.24351397 

  31. M. Kim, Y. Shin. "Collective efficacy as a mediator between cooprative group norms and group positive affect and team creativity", Asia Pacific Journal of Management, Vol.32, No.3, pp.693-716. 2015. DOI: https://doi.org/10.1007/s10490-015-9413-4 

  32. J. E. McGrath. Groups: Interaction and performance.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1984. 

  33. Y. Shin, J. N. Chio. " What makes a group of good citizens? The role of perceived group-level fit and critical psychological states in organizational teams",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83, pp.531-552. 2010. DOI: https://doi.org/10.1348/096317909X440233 

  34. H. J. Bang. "The Relationship among psychology safety climate, team performance, and commitment to team: mediating role of team reflexivity", Korean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Vol.27, No.8, pp. 1269-1284. 2014. UCI: G704-000789.2014.27.8.006 

  35. C. Ostroff, A. J. Kinicki, M. A. Clark. "Substantive and operational issues of response bias across levels of analysis: an example of climate-satisfaction relationship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7, No.2, pp.355-368. 2002. DOI: http://dx.doi.org/10.1037/0021-9010.87.2.355 

  36. P. M. Podsakoff, S. B. MacKenzie, S. B, J. Y. Lee, N. P. Podsakoff. "Common method biases in behavioral research: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recommended remedi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8, pp.879-903. 2003. DOI: http://dx.doi.org/10.1037/0021-9010.88.5.879 

  37. D. VandeWal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work domain goal orientation instrument",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Vol.57, pp.995-1110. 1997. DOI: https://doi.org/10.1177/0013164497057006009 

  38. S. M. Carter, M. A. West. "Reflexivity, effectiveness, and mental health in BBC-TV production teams", Small Group Research, Vol.29, No.5, pp.583-601. 1998. DOI: https://doi.org/10.1177/1046496498295003 

  39. C. L. Hoyt, S. E. Murphy, S. K. Halverson, C. B. Watson, C. B. "Group leadership: Efficacy and effectiveness", Group Dynamics: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Vol.7, No.4, pp.259-274. 2003. DOI: http://dx.doi.org/10.1037/1089-2699.7.4.259 

  40. W. E. Watson, K. Kumar, L. K. Michaelsen, L. K. "Cultural diversity's impact on interaction process and performance: Comparing homogeneous and diverse task group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6, pp. 390-602. 1993. DOI: https://doi.org/10.5465/256593 

  41. M. C. Schilpzand, D. M. Herold, C. E. Shalley. "Members' openness to experience and team creative performance", Small Group Research, Vol.42, pp.55-76. 2011. DOI: https://doi.org/10.1177/1046496410377509 

  42. R. M. Baron,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pp.1173-11182. 1986. 

  43. D. P. MacKinnon, A. J. Fairchild, M. S. Fritz. "Mediation analysi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Vol.58, pp.593-614. 2007. DOI: http://dx.doi.org/10.1146/annurev.psych.58.110405.085542 

  44. K. J. Preacher, D. D. Rucker, A. F. Hayes. "Addressing moderated mediation hypotheses: Theory, methods, and prescriptions",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Vol.42, No.1, pp.185-227. 2007. DOI: https://doi.org/10.1080/00273170701341316 

  45. D. Chan. "Functional relations among constructs in the same content domain at different level of analysis: A typology of composition model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3, No.2, pp.234-246. 1998. DOI: http://dx.doi.org/10.1037/0021-9010.83.2.234 

  46. L. R. James, R. G. Demaree, G. Wolf. "Estimating within-group interrater reliability with and without response bia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69, No.1, pp.85-98, 1984. DOI: http://dx.doi.org/10.1037/0021-9010.69.1.85 

  47. P. D. Bliese,. 2000. Multilevel theory, research, and methods, in organizations: Foundations, externsions, and new directions. pp.349-381. San Francisco, CA, US: Jossey-Bass, 2000. 

  48. G. Hirst, D. Van Knippenberg, J. Zhou. "A cross-level perspective on employee creativity: Goal orientation, team learning behavior, and individual creativity",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52, No.2, pp.280-293. 2009. DOI: https://doi.org/10.5465/amj.2009.37308035 

  49. O. Janssen, N. W. Van Yperen. "Employee's goal orientations, the quality of leader-member exchange, and the outcomes of job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47, No.3, pp. 368-384. 2004. DOI: https://doi.org/10.5465/20159587 

  50. Y. Gong, J. C. Huang, J. L. Farh. "Employee learning orientati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employee creativity: The mediating role of employee creative self-efficacy",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52, No.4, pp.765-778. 2009. DOI: https://doi.org/10.5465/amj.2009.4367089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