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재생사업에서 젠트리피케이션 발생 요인 분석
An Analysis of Index for Gentrification occurred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0 no.10, 2019년, pp.187 - 194  

이정동 (한국토지주택공사 도시재생지원기구)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에서 발생한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을 검토하고 국내외 연구 자료를 통해 젠트리피케이션 발생지표를 도출하여 정량화 된 수치로 진단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된 젠트리피케이션 발생 지표를 바탕으로 구조와 주체, 생산과 소비, 공급과 수요, 자본과 문화로 4개 평가영역을 구분하였다. 영역별 중요도를 살펴보면, 젠트리피케이션 발생 중요지표로 생산과 소비측면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공급과 수요, 구조와 주체, 자본과 문화 순으로 나타났다. 세부요인별로는 구조와 주체에서 매출액변화, 생산과 소비에서 프랜차이즈 증가, 공급과 수요에서 임대료 상승, 자본과 문화에서 통행량의 증가를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도시재생사업지역 내 젠트리피케이션 발생 지표를 중요도로 분석한 결과 프랜차이즈 증가, 1인 창업, 임대료 상승, 부동산 가치 상승 등 생산과 소비, 공급과 수요 측면에서 높은 가중치를 보이고 있다. 즉 도시재생 사업지역 내 젠트리피케이션 발생은 기존 사례지역에서 알 수 있듯이 프랜차이즈 증가와 임대료 상승에 대한 부분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모니터링을 통해 단계별 대책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Gentrification and Development Index in terms of domestic and foreign gentrification. Based on the important indicators of the Gentrification index through previous research, the four evaluation areas were divided into structure and subject, production and...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 도출한 지표 외에 도시재생사업에서 젠트리피케이션 발생에 대한 정량적 지표 진단을 통한 사전대응을 하는데 목표가 있다.
  • 지금까지 도시재생사업 대상지내 젠트리피케이션 발생지표 도출을 기본전제로 하여 도시재생사업지내 있어 젠트리피케이션 발생을 알 수 있는 중요도 지표의 우선 순위를 정함으로써 젠트리피케이션 대응 방안을 체계적으로 수립할 수 있을까?에 대한 접근방법을 모색하고자 수행한 실험적인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한 계층분석(AHP)기법의 적용을 통해 젠트리피케이션 발생 지표를 유형화, 계층화하여 평가항목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파악하였다.
  • 하지만 지자체간 젠트리피케이션 대응 역량이 차이가 있고 단일 정책 추진으로 모든 지역에 획일적으로 적용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에서 발생한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을 검토하고 국내외 연구 자료를 통해 젠트리피케이션 발생지표를 도출하여 정량화 된 수치로 진단할 수 있는 지표를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fig.
  •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한 계층분석(AHP)기법의 적용을 통해 젠트리피케이션 발생 지표를 유형화, 계층화하여 평가항목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파악하였다. 이와 같이 도시재생사업지내에 젠트리피케이션 발생지표를 토대로 장기적으로 대응체계를 수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연구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다.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된 젠트리피케이션 발생 중요지표를 바탕으로 구조와 주체, 생산과 소비, 공급과 수요, 자본과 문화로 4개 평가영역을 나누고, 각 영역별 세부요인을 구조와 주체, 자본과 문화는 4가지, 생산과 소비, 공급과 수요는 3가지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젠트리피케이션 발생 요인을 도출하고, 중요도 분석을 통해 도시재생사업 시행자가 활용 가능한 것은? 위험 단계 지역의 경우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하거나 구체적 개발 행위 제한 및 입점 규제가 필요하 다. 도시재생사업 시행자에게는 젠트리피케이션 발생 요인을 도출하고, 중요도 분석을 통해 지역의 젠트리피케이션 발생요인을 정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 가능하며, 이에 따라 도시재생사업 시행자는 선제적 정책 대응 자료로 활용 가능하다. 특히 지표분석을 통해 지역 의 젠트리피케이션 문제에 대해 이해관계자간 이해를 돕고 적극적인 대응책 발굴이 가능하다.
젠트리피케이션의 긍정적, 부정적 관점에서의 각각의 정의는? 이후 많은 국외학자들이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고 사용하면서 긍정적․부정적 관점에서 모두 사용되고 있다. 긍정적 측면은 쇠퇴한 지역이 고급화되거나 새로운 상권이 발생하 면서 주변을 활성화 시켜 새로운 상권, 기반으로 대체되는 현상으로 정의하고 있다. 반면에 부정적 측면에서 골목상권의 고유성이 상업화되면서 기존상가 세입자들은 상승하는 임대료를 감당하지 못해 떠나고 대규모자본을 가진 외지인 또는 프랜차이즈가 유입되는 현상으로 정의 한다.
도시재생사업이란? 도시재생사업은 인구의 감소, 산업구조의 변화, 도시 의 무분별한 확장, 주거환경 노후화 등으로 쇠퇴하는 지역을 새로운 기능의 도입․창출 및 지역자원을 활용하여 사회적․경제적․물리적으로 활성화 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국내 도시재생사업은 2013년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 에 관한 특별법」 제정이후 도시경제기반형, 근린재생형 등 2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사업을 추진되고 있고, 2014년 도시재생선도지역 13곳으로 경제기반형 사업 2 곳(부산 동구, 청주)과 일반근린형 11곳(창원, 서울 종로 구, 천안시, 청주시, 공주시, 군산시, 광주 동구, 목포, 태 백, 영주, 대구 남구) , 2016년에 도시재생일반지역 33곳 으로 경제기반형 사업 5곳(서울 노원․도봉, 인천 중․동구, 부천, 대전 중․동구, 대구 서․북구)과 중심시가지형 사업 9 곳(전주, 제천, 충주, 김천, 안동, 울산 중구, 김해, 부산 영도, 제주시) 근린일반형 19곳(서울 용산, 서울 구로, 인 천 강화, 부천, 성남, 수원, 아산, 남원, 광주 서구, 광주 광산구, 나주, 광양, 춘천, 대구 서구, 울산 북구, 울산 동 구, 부산 중구, 부산 강서구, 부산 서구) 을 지정하여 기반 시설 확충, 주거환경 개선 등 하드웨어 사업과 주민역량 강화, 공동체 활성화 등 소프트웨어 사업으로 추진 중에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tkinson, R, "Measuring Gentrification and Displacement in Greater london", Urban studies, vol. 37, No. 1, January 2000.pp.149-165. DOI: http://dx.doi.org/10.1080/0042098002339 

  2. Ryu, Tae-chang, "The Necessity of Urban Regeneration in the Market", 2018 

  3. Newman, P. and Kenworthy, J. Sustainability and Cities: Overcoming Automobile Dependence. Island Press, Washington. 1999. 

  4. Ley, D., "Artist, Aestheticization and the Field of Gentrification," Urban Studies, 40(12): 2527-2544, 2003 

  5. Ley, D, "Gentrification and the politics of the New Middle Class", Environment and Planning D:Society and Space, 1994. DOI: http://dx.doi.org/10.1068/d120053 

  6. Zukin, S., "Urban lifestyles: diversity and standardization in spaces of consumption," Urban studies. (1987, 1998) DOI: http://dx.doi.org/10.1080/0042098984574 

  7. Freeman, L. and Braconi, F, "Displacement or Succession? Residential Mobility in Gentrifying Neighborhoods", Urban Affairs Review, 40(4), 2004. pp.463-491. 

  8. Freeman, L. and Braconi, F, "Gentrification and Displacement", The Urban Prospect, 8(1), 2002. pp.1-4. 

  9. Millard-Ball, A, "Gentrification in a Residential Mobility Framework : Social Change, Tenure Change and Chains of Moves in Stockholm", Housing Studies, Vol. 17, NO. 6, 2002. pp.833-856 

  10. Rose, D, "Rethinking Gentrification : Beyond the Uneven Development of Marxist Urban Theory", Environment and Planning D, 2, 1999. pp.47-74. DOI: http://dx.doi.org/10.1068/d020047 

  11. Song, ji-eun &, "A Study on the Countermeasures of Commercial Gentrification in Urban Area", Korea Research Institute, 2016 

  12. Kim, hyung-gyun, "Status and Countermeasures of Gentrification in Busan", Busan Development Forum(159), 2016, pp6-15 

  13. Park, jeong-ho, "Development and Meaning of Gentrification Early Warning System in the United States", auric, No. 26, 2017 

  14. Kim, jung-hoon, "A Study on the Important Factors for the Regional Synergistic and Prevention of the Gentrification", Residential Environment, NO.15, 2017 DOI: http://dx.doi.org/10.22313/reik.2017.15.2.209 

  15. Smith, N, "Toward a theory of Gentrification : a back to the city movement by capital, not people",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45, October 1979. pp.538-548 DOI: http://dx.doi.org/10.1080/01944367908977002 

  16. Wyly, E. K. and D. j. Hammel, "Islands of Decay in Seas of Renewal : Housing Policy and the Resurgence of Gentrification", Housing Policy Debate, Vol. 10, No. 4, 1999. pp.711-771. DOI: http://dx.doi.org/10.1080/10511482.1999.9521348 

  17. Newman, K. and Wyly, E. K, " The Right to Stay Put, Revisited : Gentrification and Resistance to Displacement in New York City", Urban Studies, Vol. 43, No. 1, January 2006. pp.23-57 DOI: http://dx.doi.org/10.1080/00420980500388710 

  18. Lee, ji-hyun, "The Empirical Study on the Gentrification of Seoul", University of Seoul, Master Thesis, 2011 

  19. Kim, Bong-Won, kwon, Ni-A, and Gil, Ji-hye, Analysis of the Commercial Characteristics about the Samcheongdong-gil Gentrification. The Korea Regional Economic Association, No. 15, pp. 83-102. 

  20. Kin, kirl, "Housing Redevelopment and Neighborhood Change As a Gentrification Process in Seoul, Korea: A Case Study of Wolgok-4 Dong Redevelopment District", Florida State University, 2006, pp215-216. 

  21. Oh, Dong Hoon, "Searching for Direction of Practicable Urban Revitalization Policy by Gentrification Case Study", Korea Real Estate Analysts Association(Kreaa), 2005, pp51-67 

  22. Jung, hyun joo, "Theories and Issues of Gentrification: Contextual Analysis through Comparative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Geography Education, 2005, pp321-335(1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