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지별 홍화씨의 화학적 성분 특성
Properties of Chemical Compositions of Safflower Seed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32 no.5, 2019년, pp.454 - 461  

이영철 (한국식품연구원 전통식품연구단) ,  안채경 (우송정보대학 식품영양조리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emical properties of safflower seeds cultivated at some areas in Korea. Safflower was used as one of the functional foods and medicinal plants for many centuries. Porximate compositions of safflower seeds were moisture, 4.8~8.1%, crude protein 16.5~19....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상북도, 경상남도, 전라남도와 충청북도에서 재배한 홍화 종실 8종 시료에 대하여 일반성분, 아미노산, 지방산, 비타민 C, 무기질, 유리당 등의 성분을 비교하여 가공 소재의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홍화의 형태학적 특징은? 로 우리나라 여러 지역에서 재배하는 일년생 초목이다(LEE YR 2006). 홍화는 이집트가 원산지로 알려져 있으며, 높이 1 m 가량이며, 7~8월에 꽃은 황색으로 피고, 엉겅퀴와 모양이 비슷하나, 시간이 지나면서 적색으로 변한다(Bea KH 2000). 홍화 꽃은 수용성의 황색색소인 safflower yellow 화합물과 불용성의 적색물질인 carthamin 화합물 등의 색소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염료로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왔으며, 홍화씨는 뼈 건강과 관련된 소재로 사용하고 있다(Bea KH 2000).
홍화 종실의 생리학적 효능은 무엇인가? 골절 및 골다공증 등 뼈 질환에 효과가 있으며, 심혈관계 질환, 발암, 노화를 억제하는 생리활성물질로 관심을 받고 있는 홍화 종실을 국내 산지별 채취하여 일반성분, 지방산, 아미노산, 무기질, 비타민류, 유리당 등의 성분을 비교하였다. 일반성분은 수분 4.
산지에 따라 홍화 종실의 유리당 조성과 함량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홍화 종실에는 raffinose, sucrose, glucose, fructose 등이 존재하였다. 분리 확인된 유리당에서 sucrose와 raffinose가 주요 유리당이었으며, 각각 469.2~649.9 mg%와 423.8~991.7 mg% 함유되어 있었다. Fructose와 glucose의 함량은 각각 0.3~1.8 mg%, 16.1~83.0 mg%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Kim JH 등(1999)이 경북 의성산 홍화 종실에 존재하는 주요 유리당은 sucrose와 raffinose로 각각 2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p.723.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2.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p.1110.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3. AOCS. 1990. AOCS Official Method Ce 2-66. pp.487-488.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4. Bae KH. 2000. Korean Medicinal Plants. p.499. Kyoha Pub 

  5. Choi CH, Kim HD, Im EB. 2011. Reviews of research trends on safflower seed (Carthamus tinctorius L.). J Korean Med Class 24:63-90 

  6. Choi MS. 2000. The effects of safflower seed powder and its fraction on bone tissue in rib-fractured rats during the recovery. J Nutr Health 33:411-420 

  7. Ha TM, Won SL, Seo JS, Kang HY, Lee DH, Kwon YH. 2019. Analysis of free sugars contents of fruit and fruit vegetables classified by cultivar and cultivation area. Korean J Food Nutr 32:321-327 

  8. Heinrikson RL, Meredith SC. 1984. Amino acid analysis by reverse phas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Precolumn deribatization with phenylisocyanate. Anal Chem 136:65-74 

  9. Ikegaya K, Takayanagi H, Anan T. 1990. Quantitative analysis of tea constituents. Bull Natl Res Tea 71:43-74 

  10. Jeon SM, Kim JH, Lee HJ, Lee IK, Moon KD, Choi MS. 1998. The effects of Korean safflower (Carthamus tinctorious L.) seed powder supplementation diet on bone metabolism indices in rats during the recovery of rib fractur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1049-1056 

  11. Kee CH. 1993. The Pharmacology of Chinese Herbs. pp.249-250. CRC Press 

  12. Kim JH, Jeon SM, An MY, Ku SK, Lee JH, Choi MS, Moon KD. 1998. Effects of diet of Korean safflower (Carthamus tinctorious L.) seed powder on bone tissue in rats during the recovery of rib fractur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698-704 

  13. Kim JH, Jeon SM, Park YA, Choi MS, Moon KD. 1990. Effects of safflower (Carthamus tinctorious L.) powder on lipid metabolism in high fat and high cholesterol-fed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625-631 

  14. Kim JH, Kwak DY, Choi MS, Moon KD. 1999. Comparison of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Korean and Chinese safflower (Carthamus tinctorious L.) seed. Korean J Food Sci Technol 31:912-918 

  15. Kim SK, Kim HJ, Jung BH, Cha JY, Cho YS. 2000. Properties of the chemical composition of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J Life Sci 10:431-435 

  16. Latha TS, Prakash V. 1964. Studies on the proteins from safflower seed (Carthamus tinctorius L.). J Agric Food Chem 32:1412-1416 

  17. Lee YC, Oh SW, Chang J, Kim IH. 2004. Chemical composition and oxidative stability of safflower oil prepared from safflower seed roasted with different temperatures. Food Chem 84:1-6 

  18. Lee YR. 2006. An Illustrated Guide to Korean Flora. p.860. Kyoha Pub 

  19. Noh WS, Park JS. 1992. Lipid composition of Korean safflower seeds. J Korean Agric Chem Soc 35:110-114 

  20. Salazalr Zazueta AJ, Price RL. 1989. Solubility and electrophoretic properties of processed safflower seed (Carthamus tinctorius L.) proteins. J Agric Food Chem 37:308-312 

  21. SAS Institute Inc., 1996. SAS User's Guide Version 5. Cary, NC 

  22. Shirvani A, Jafari M, Goli SAH, Soltani Tehrani N, Rahimmalek M. 2016. The changes in proximate composition, antioxidant activity and fatty acid profile of germinating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seed. J Agric Sci Technol 18:1967-1974 

  23. Spanevello DE, Allis ME, Richards LV 1975. Factors influencing the extractability of safflower protein (Carthamus tinctorius L.). J Food Sci 40:1010-1013 

  24. Waters. 1993. AccQ.Tag Amino Acid Analysis Column: Operator's Manual 

  25. Wilson AM, Work TM, Bushway AA, Bushway RJ. 1981. HPLC determination of fructose, glucose and sucrose in potatoes. J Food Sci 46:300-301 

  26. Yang R, Zhang L, Li P, Yu L, Mao J, Wang X. 2018. A review of chemical composition and nutritional properties of minor vegetable oils in China. Trends Food Sci Tech 74:26-32 

  27. Yul SR, Shin SM. 2017. Effects of Carthamus tinctorius extract on adipogenic differentiation of mouse bone marrow-derived mesenchymal stromal stem cells. J Int Korean Med 38:1-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