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형 토양유실공식에 의한 토양유실량 현장예측
Application of KORSLE to Estimate Soil Erosion at Field Scale 원문보기

지하수토양환경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24 no.5, 2019년, pp.31 - 41  

송재민 (공주대학교 생물산업공학부) ,  양재의 (강원대학교 바이오자원환경학과) ,  임경재 (강원대학교 지역건설공학과) ,  박윤식 (공주대학교 생물산업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2013,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 South Korea promulgated a new regulatory bulletin that contained revised enforcement ordinance on soil management protocols. The bulletin recommends the use of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USLE) for the soil erosion estimation, but USLE has limited applicabil...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고 유출량은 집수플럼부 퇴적량과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총 토양유실량을 포함하여 다른 퇴적량과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Table 3, Table 4).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총 토양유실량 예측에 있어 유출량(L)에 관한 함수로 표현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 이와 함께 지표피복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작물의 생장을 고려할 수 있도록 4대강 수계별 및 월별 지표피복인자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고 있다(Kongju National University, 2018). 범용토양유실공식에 의해 예측되는 토양유실량 발생 가능성 추정치는 연간 1개의 값만이 산정될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월별 토양유실량 발생 가능성 추정이 가능한 한국형 토양유실공식에 의해 모니터링기간에 대한 토양유실 발생 가능성 추정치를 산정하였다.
  • 본 연구는 현장 적용성이 높은 범용토양유실공식에 근거하여 토양유실 발생 가능성을 추정하고, 이를 실측 토양유실량과 비교하고 보정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여 환경부 고시를 개정하고 현장에서 보다 정확한 토양유실을 예측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 본 연구는 현재 한국환경공단에서 수행하고 있는 ‘표토의 침식 현황 조사에 관한 고시’의 현장조사 단계에서 토양유실량 실측 및 예측에 대한 비교 및 검정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토양 자원의 손실을 추정하기 위해 오랫동안 사용된 공식은? 경작지에서의 토양유실은 토양 자원의 손실로 작용하며, 또한 유실된 토양이 강이나 하천으로 유일될 경우에는 탁도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토양 입자에 의해 이동하는 영양염류로 인해 물 오염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토양유실의 양을 추정하기 위해 범용토양유실공식(Universal Soil Loss Equation, USLE) (Wischmeier and Smith, 1965; Wischmeier and Smith, 1978)이 오랫동안 사용되고 있다. 범용토양유실공식은 단위 면적(ha)에서 발생할 수 있는 토양유실 발생 가능성(potential soil loss, Mg/ha/yr)을 추정하기 위한 공식으로, 강우침식능인자(rainfall erosivity factor; R factor, MJ & middot; mm/ha& middot;yr & middot; hr), 토양침식성인자(soil erodibility factor; K factor, Mg& middot; hr/MJ & middot; mm), 지형인자(slope and slope steepness factor; LS factor, dimensionless), 지표피복인자(crop and cover management factor; C factor, dimensionless), 보전관리인자(conservation practice factor; P factor, dimensionless)의 5개 인자를 필요로 한다((Wischmeier and Smith, 1965; Wischmeier and Smith, 1978).
토양유실이란? 토양유실은 강우 발생 시에 빗방울의 타격 및 지표 유출수에 의해서 토양 표면의 토양 입자가 이동하는 현상이다. 그러나 도시화 등과 같은 토지 이용 현황이 인위적으로 바뀌거나 혹은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 유형의 변화에 따라 토양입자의 거동은 다양하게 바뀔 수 있다.
토양입자의 거동이 다양하게 바뀔 수 있는 요인으로는? 토양유실은 강우 발생 시에 빗방울의 타격 및 지표 유출수에 의해서 토양 표면의 토양 입자가 이동하는 현상이다. 그러나 도시화 등과 같은 토지 이용 현황이 인위적으로 바뀌거나 혹은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 유형의 변화에 따라 토양입자의 거동은 다양하게 바뀔 수 있다. 경작지에서의 토양유실은 토양 자원의 손실로 작용하며, 또한 유실된 토양이 강이나 하천으로 유일될 경우에는 탁도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토양 입자에 의해 이동하는 영양염류로 인해 물 오염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De Rosa P., Cencetti C., and Fredduzzi A., 2016, A GRASS tool for the Sediment Delivery Ratio mapping. Proceedings of the 4th Open Source Geospatial Research and Education Symposium, In Marchesini I. & Pierleoni A. (Eds.), Perugia, Italy. 

  2. Engel, B., Storm, D., White, M., Arnold, J., and Arabi, M., 2007, A hydrologic/water quality model application protocol. J. Am. Water Resourc. Assoc., 43(5), 1223-1236. 

  3. Jung, K.H., Kim, W.T., Hur, S.O., Ha, S.K., Jung, P.K., and Jung, Y.S., 2004, USLE/RUSLE factors for national scale soil loss estimation based on the digital detailed soil map. Korean J. Soil. Sci. Fert., 37(4), 199-206. 

  4. Kim, J., Yang, J.E., Lim, K.J., Kim, S.C., Lee, G., Hwang, S., Yu, N., and Park, Y.S., 2017, A study to define area of concern for potential soil loss in Geumgang watershed by KORSLEbased GIS model, J. Soil Groundwater Environ., 22(6), 29-36. 

  5. Kim, J., Jang, J.U., Seong, G.G., Cha, S.S., and Park, Y.S., 2018, A study to determine to rainfall erosivity factor of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using recent rainfall data, J. Korean Soc. Ag. Eng., 60(6), 13-20. 

  6. Kongju National University, 2018, Development of topsoil erosion model for Korea. Yesan-gun: Republic of Korea. 

  7.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A bulletin on the survey of the erosion of topsoil. Sejong-si: Ministry of Environment. 

  8. Park, Y.S., Kim, J., Kim, N., Kim, K.S., Choi, J., and Lim, K.J., 2007, Analysis of sediment yields at watershed scale using area/slope-based sediment delivery ratio in SATEEC, J. Korean Soc. Water Qual., 23(5), 650-658. 

  9. Ramanarayanan, T.S., Williams, J.R., Dugas, W.A., Hauck, L.M., and McFarland, A.M.S., 1997. Using Apex to identify alternative practices for animal waste management. ASAE International Meeting, Minneapolis, MN, USA. 

  10. Sung, Y.S., Jung, Y., Lim, K.J., Kim, J., Kim, K.S., Park, S.K., Shin, M., Kum, D.H., and Park, Y.S., 2016, A study to develop monthly cover management factor database for monthly soil loss estimation, J. Korean Soc. Ag. Eng., 58(6), 23-30. 

  11.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1972, National Engineering Handbook: Sediment Source, Yileds, and Delivery Ratios, Soil Conservation Service, Washington, DC., USA. 

  12. Vanoni, V.A., 1975, Sedimentation Engineering, Manual and Report No. 54,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New York, USA. 

  13. Williams, J.R. and Berndt, H.D., 1977, Sediment Yield Prediction Based on Watershed Hydrology, Trans. Am. Soc. Ag. Eng., 20, 1100-1104. 

  14. Williams, J.R., 1977, Sediment yield prediction with universal equation using runoff energy factor. In: Present and Prospective Technology for Predicting Sediment Yield and Sources, USDAARS-S-40,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Washington, DC., USA. 

  15. Wischmeier, W.H. and Smith, D.D., 1965, Predicting rainfall erosion losses from cropland east of the Rocky Mountains: A guide for selection of practices for soil and water conservation Handbook No.282.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16. Wischmeier, W. H. and Smith, D.D., 1978, Predicting rainfall erosion losses: A guide to conservation planning Handbook No.537. U. S. Department of Agriculture. 

  17. Yu, N.Y., Lee, D.J., Han, J.H., Lim, K.J., Kim, J., Kim, K.H., Kim, S., Kim, E.S., and Park, Y.S., 2017, Development of Arc-GIS-based model to estimate monthly potential soil loss, J. Korean Soc. Ag. Eng., 59(1), 21-3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