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나홀로족의 정신건강과 구강건강자각증상이 행복추구경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ntal Health and Oral Health Symptoms of the Myself Generation on Orientation to Happiness 원문보기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13 no.2, 2019년, pp.93 - 105  

박소영 (원광보건대학교 치위생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related to mental health and oral health awareness that affect the tendency to search for happiness. Methods: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self - report questionnaire survey with 197 participants belonging to the Myself Generati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나홀로족의 행복추구경향을 배가시킬 수 있는 관련변수로 일반적인 요인, 정신건강과 구강건강관련요인을 조사하여 영향요인들을 규명하고자 하며, 이들의 효율적인 건강관련서비스의 이용과 건강한 정신 및 구강기능을 통해 삶의 만족과 행복감향상에 일조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나홀로족의 행복추구경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혀내어 그들의 행복한 삶과 향상된 정신 및 구강건강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나홀로족의 행복추구경향을 배가시킬 수 있는 관련변수로 일반적인 요인, 정신건강과 구강건강관련요인을 조사하여 영향요인들을 규명하고자 하며, 이들의 효율적인 건강관련서비스의 이용과 건강한 정신 및 구강기능을 통해 삶의 만족과 행복감향상에 일조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나홀로족의 행복추구경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혀내어 그들의 행복한 삶과 향상된 정신 및 구강건강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나홀로족의 정신건강과 구강건강자각증상이 행복추구경향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해 분석하고자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자의 성별에 따른 행복추구경향의 영향요인을 살펴보면 여성이 남성보다 행복추구경향이 더 높았으며, 이는 선학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더 행복감을 느끼고 삶의 만족을 위해 추구하는 경향과 유사하였다[18][19].
  • 저자는 선행연구에서 나홀로족의 경우 행복추구 경향의 하위요인 중 의미추구경향과 즐거움추구경향, 비(非)나홀로족의 경우는 의미추구경향만이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준다는 연구결과를 문헌 고찰한 바 있다[25]. 이러한 기존 연구결과와 본 연구결과의 결정요인들을 인식하여 향후 연구에서는 좀 더 확대된 나홀로족과 비(非)나홀로족 집단의 인과성과 대조연구결과를 제시하여 이들의 신체적, 정신적, 구강건강관련요인이 행복추구경향에 주는 영향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과거 행복추구경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는 종종 발표된 바 있으나[5][7][8], 나홀로족의 행복추구 경향 종속변수와 건강관련 독립변수를 토대로 분석한 연구는 미비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행복추구경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정신건강과 구강건강을 언급하고자 한다. 경기개발연구원에 따르면 행복한 여생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건강이며, 주관적인 건강수준이 높은 경우에 행복한 느낌을 많이 받는다고 하였으며[9], Kim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나홀로족이란 무엇인가? 2018년 한국의 사회동향보고서[1]에 의하면 우리나라는 디지털 혁명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Social Network Services)의 급속한 확산으로 그간 경험해보지 못한 새로운 세계를 접하고 있으며, 점차 개인주의적인 생활패턴이 자연스레 확대되고 자신만의 여가생활을 즐기고 자발적으로 혼자만의 삶을 추구하는 나홀로족의 증가는 현시대에서 대표적인 현상이라 하였다. 나홀로족(Myself Generation)이란 미국의 마케팅 용어인 ‘코쿤 (cocoon)족’을 일컫으며, 이들은 타인과 동일하게 사회생활을 영위하며 혼자만의 시간을 즐기면서 안정과 휴식을 갖고, 혼자만의 활동을 즐김으로써 자기만족과 행복을 추구하는 사람들이다[2]. 나홀로족은 사회, 경제,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트렌드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들의 확대는 사회 패러다임 변화와 고령사회 진전으로 더욱 가속화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중요한 행복의 조건은 무엇인가? 기존문헌에 의하면 행복은 원만한 인간관계, 경제적인 안정감, 직업, 동거가족 등이 인구사회학적인 연관요인이며, 가족 및 자신의 건강자각인지와 긍정적인 사고를 통해 행복한 마음을 느끼는 성향이 중요한 행복의 조건이라 하였다[8]. 과거 행복 추구경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는 종종 발표된 바 있으나[5][7][8], 나홀로족의 행복추구 경향 종속변수와 건강관련 독립변수를 토대로 분석한 연구는 미비하다.
행복추구경향의 세가지에는 무엇이 있는가? [7]은 행복추구경향을 크게 세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는 의미추구경향으로 자신보다 더 중요한 것을 위해 기여하는 미덕을 개발하고 삶의 의미를 찾는 활동을 통해 행복을 추구하는 것이며, 두번째는 즐거움추구경향으로 긍정적인 정서의 경험을 많이 인지할 수 있는 삶을 추 구하는 것이라 하였으며, 마지막 세 번째는 몰입추구경향으로 특정한 행위에 집중하고 열정적으로 참여하여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함으로써 행복을 추구하는 것이라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Statistics Korea(2018), Korean Social Trends 2018, Daejeon: Statistics Korea, pp.1-24. 

  2. K.Y. Choi, Y.R. Park, M.K. Son, M.R. You, H.J. Yoo(2018), A Study on Consumption Behaviors of the College Aloners, Journal of Human Ecology, Vol.22(1);103-123. 

  3. J.W. Hwang, K.H. Kim(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Orientations to Happiness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Korea Journal of Counseling, Vol.10(1);57-71. 

  4. K.M. Kim, J.H. Lim(2012), Effects of Optimism and Orientations to Happiness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Vol.50(1);89-101. 

  5. G.H. Chen(2010), Validating the Orientations to Happiness Scale in a Chinese Sampl of University Students, Social Indicators Research, Vol.99(3);431-442. 

  6. J. Helliwell, R. Layard, J. Sachs(2018), World Happiness Report 2018, United Nations, pp.1-7. 

  7. C. Peterson, N.S. Park, M.E. Seligman(2005), Orientations to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The Full Life Versus the Empty Life,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Vol.6(1);25-41. 

  8. K.J. Hyun(2004), An Exploratory Study of Sources and Themes of Happiness among Koreans: A Longitudinal Approach, Mental Health Social Work, Vol.18(1);60-100. 

  9. H.Y. Kim, A.H. Lee, S.J. Lee, S.H. Choi(2013), Fourfold Hardships of Korean Elders, Causes and Countermeasures, Gyeonggi Research Institute Issue & Analysis, Vol.120(1);1-20. 

  10. S.K. Kim, Y.S. Jang, H.S. Cho, M.S. Cha(2008), A Study of Determinants and Indicators of Happiness among Koreans,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pp.1-362. 

  11. C.S. Park, S.Y. Park(2016),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Living Alone Based on Their Physical, Mental and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0)2;167-177. 

  12. D.J. Weigel, P. Devereux, G.K. Leigh, B.R. Deborah(1998), A Longitudinal Study of Adolescents' Perceptions of Support and Stress: Stability and Change, Journal of Adolescent Research, Vol.13(2);158-177. 

  13. N. Shtereva(2006), Aging and Oral Health Related to Quality of Life in Geriatric Patients, Rejuvenation Research, Vol.9(2);355-357. 

  14. S.S. Saltnes, K. Storhaug, C.R. Borge, I. Enmarker, T. Willumsen(2015), Oral Health-Related Quality-of-Life and Mental Health in Individual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cta Odontologica Scandinavica, Vol.73(1);14-20. 

  15. Korea Health Statistics(2016),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VII-1),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pp.1-279. 

  16. D. Locker, D. Matear, M. Stephens, H. Lawrence, B. Payne(2001), Comparison of the GOHAI and OHIP-14 as Measures of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Community Dentistry and Oral Epidemiology, Vol.29(5);373-381. 

  17. K.M. Kim, J.H. Lim(2013), The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Orientations to Happiness Questionnaire for Korean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the Human Development, Vol.20(3);23-37. 

  18. C.S. Park, S.Y. Park(2015), Effects of Subjective Oral Health Condition and Oral Health Behavior on Happiness in the Elderly Peopl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Vol.15(3);443-450. 

  19. S.Y. Park(2018), Effects of Oral Health Risk Factors and Denture Management Behavior on the Life Satisfaction of Denture-Wearing Elderly,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2)3;107-118. 

  20. G. MacKerron, S. Mourato(2013), Happiness is Greater in Natural Environments, Global Environmental Change, Vol.(23)5;992-1000. 

  21. H.K. Kim, K.E. Davis(2009), Toward a Comprehensive Theory of Problematic Internet Use: Evaluating the Role of Self-Esteem, Anxiety, Flow, and the Self-rated Importance of Internet Activitie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25)2;490-500. 

  22. K.A. Lee(2010),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ir Job related Wariables: Based on Job Satisfaction, Teacher Efficacy, Role Perporming Ability, Turnover Intention, The Graduate School of Dong-eui University, pp.1-188. 

  23. B.L. Fredrickson, M.M. Tugade, C.E. Waugh, G.R. Larkin(2003), What Good Are Positive Emotions in Crises? A Prospective Study of Resilience and Emotions Following the Terrorist Attacks on the United States on September 11th, 2001,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84(2);365-376. 

  24. S.Y. Park, Y.S. Shim, S.Y. An(2017), Effect of Dentures Wearers' Denture Satisfaction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n their Happines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Vol.(11)4;157-168. 

  25. H.N. Park(2018), The Effect of Orientation to Happiness and Self-concept Clarity on Subjective Well-being in Myself Generation, The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pp.1-7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