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관상용 Hosta 85 품종의 생장과 개화 특성
Growth and Flowering Characteristics of 85 Ornamental Hosta Cultivars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32 no.5, 2019년, pp.486 - 498  

류선희 (고려대학교 바이오시스템공학과) ,  이승연 (국립안동대학교 원예.생약융합학부) ,  이종석 (국립수목원 식물자원연구과) ,  최한 (국립수목원 식물자원연구과) ,  윤새미 (국립수목원 식물자원연구과) ,  김상용 (국립수목원 식물자원연구과) ,  김현진 (국립수목원 식물자원연구과) ,  양종철 (국립수목원 식물자원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외 개발된 Hsota 품종의 잎의 생육과 개화 특성을 조사한 결과, 식물의 크기는 H.'Abiqua Blue Crinkles', H.'Abiqua Drinking Gourd', H.'Dancing in the Rain', H.'Elegance', H. 'Inniswood', H.'Venus'등 6종류가 가장 컸으며(대형 계통, 50 cm 이상), H. 'Abby', H. 'Birchwood Parky's Gold', H. 'Blue Cadet', and H. 'Blue Edge등을 포함한 27종은 소형 계통이다(6 cm 이상 20 cm 미만). 79%가 무늬를 가지며 무늬 형태는 marginata (복륜), mediovarigata (중투), albomaculata (산반), striata (서반)이며, marginata 계통은 H. 'Abby', H. 'Abiqua Moonbeam', H. 'Atlantis'등을 포함하여 31종류로 전체 비율 중 36%로 가장 많았다. 개화기는 H. 'Abby', H. 'Abiqua Drinking Gourd', H. 'Abiqua Moonbeam'등 36종류가 5월 말부터 개화였고, H. 'Black Hills', H. 'Boeun', H. 'Fragrant Bouquet'등 9종은 8월 이후에 개화하였다. 꽃은 H. 'Avocado'가 5.0 ㎝ 이상으로 대륜 계통이었으며, H. 'Avocado', H. 'Fragrant Bouquet', H.'Fried Bananas' 등 H. plantaginea 계통이 대부분 크기가 컸다. 꽃의 색은 꽃의 색은 6가지로 분류되며, white 계열은 25.9%, lavender 계열은 45.9%, purple 계열은 28.2%가 개화하였다. H. 'Blue Mouse Ears', H. 'Captain Kirk', H.'Fragrant Bouquet' 등 12종류는 개화시 향기가 있었다. H.'Cherry Berry'와 H. 'Revolution'은 각각 빨간색과 노란색의 꽃대를 가지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leaf growth and flowering characteristics of 85 Hosta cultivars. The 85 cultivars were grown in a pot in Useful Plant Resources Center in Yangpyeong, Korea. H. 'Abiqua Blue Crinkles', H. 'Abiqua Drinking Gourd', H. 'Dancing in the Rain', H. 'Elegance', H. ...

주제어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7), 비비추속 식물의 활용 가치가 증대될 것을 예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및 국외에서 개발된 비비추속 식물의 85 품종을 대상으로 이들의 생육 특성을 조사하여 정원, 조경 소재로서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비추속식물은 무엇인가? 비비추속(Hosta Tratt.)식물은 비짜루과(Asparagaceae)로 분류되며(Angiosperm Phylogeny Group Ⅲ; APG Ⅳ, 2016), 한국, 일본, 중국의 동북부 및 러시아의 동남부지역을 포함한 동아시아 특산 식물로 전세계적으로 약 22-25종이 자생한다(Jones,1989; Maekawa, 1940). 그러나 비비추속 식물은 1800년대 중반유럽에서 처음으로 재배되었으며 1960년대 American HostaSociety가 설립되면서 큰 인기를 얻게 되었고(AHS the HostaRegistry, 2018), 현재 등록된 품종은 약 5,800개 이상으로 유럽과미국에서는 10여 년 이상에 걸쳐 판매 1위로 선호도가 큰 식물이다(AHS Hosta Registry, 2018; Cho et al.
비비추속식물의 현재 등록된 품종은 몇개인가? )식물은 비짜루과(Asparagaceae)로 분류되며(Angiosperm Phylogeny Group Ⅲ; APG Ⅳ, 2016), 한국, 일본, 중국의 동북부 및 러시아의 동남부지역을 포함한 동아시아 특산 식물로 전세계적으로 약 22-25종이 자생한다(Jones,1989; Maekawa, 1940). 그러나 비비추속 식물은 1800년대 중반유럽에서 처음으로 재배되었으며 1960년대 American HostaSociety가 설립되면서 큰 인기를 얻게 되었고(AHS the HostaRegistry, 2018), 현재 등록된 품종은 약 5,800개 이상으로 유럽과미국에서는 10여 년 이상에 걸쳐 판매 1위로 선호도가 큰 식물이다(AHS Hosta Registry, 2018; Cho et al., 2005b).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den, P. 1992. The Hosta Book. Second ed. Timber Press, Inc. Portland, OR (USA). 

  2. Angiosperm Phylogeny Group. 2016.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V. Bot. J. Linn. Soc. 181:1-20. 

  3. AHS the Hosta Registry 2018. http://www.hostaregistrar.org/. Accessed 10 Oct. 2018. 

  4. Cho, J.Y., B.G. Heo and S.Y. Yang. 2005a. Ecological environment and rhizosphere microflora in the native soil of purple-bracted plantain lily for wild vegetables. Korean J. Org. Agric. 13:389-400. 

  5. Cho, K.W., K.H. Tae and S.K. Sung. 2005b. Characteristics of flowering habit, pollination patterns and seeds setting of Hosta plantaginea Aschers. Korean J. Plant Res. 18:309-314. 

  6. Choi, H., J. Lee, H. Sohn, D. Cho and Y. Song. 2017. Feasibility of green network in a highly-dense urbanized area by introducing urban gardens. Korean J. Environ. Ecol. 31:252-265. 

  7. Grenfell, D. 1996. The gardener's guide to growing Hosta: In Timber Press, Portland, OR (USA). 

  8. Hong, H.K. and J.S. Lee. 2010. Studies on the leaf vase life of Hosta cultivars. J. Bio-Environ. Control 19:223-228. 

  9. Hosta Library 2019. http://www.hostalibrary.org/. Accessed 18 Mar. 2019. 

  10. Jones, S.B. Jr. 1989. Hosta yingeri (Liliaceae / Funkiaceae): A new species from Korea. Annals of the Missouri Botanical Garden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76:602-604. 

  11. Kim, H.J. and J.S. Lee. 2012. New cultivar 'Blue Edge' of leaf variegated Hosta minor. Korean J. Plant Res. 25:652-655. 

  12. Kim, H.J., J.S. Lee and J.H. Kim. 2012. New cultivar 'Yellow Tiara' of leaf variegated Hosta. Korean J. Plant Res. 25:504-506. 

  13. Lee, J.S. and Y.K. Chang. 2002.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nalysis of genetic relationship using RAPD in leaf varigated Hosta minor native to Korea. Hortic. Environ. Biote. 43:373-378. 

  14. Lee, J.S. and J. Hong. 2004a. New cultivar 'White Edge' of leaf variegated Hosta minor (Albomarginata) native to Mt. Halla. Korean J. Hortic. Sci. p.108. 

  15. Lee, J.S. and J. Hong. 2004b. New cultivar 'Yellow Dream' of lime colored Hosta minor native to Mt. Halla. Korean J. Hortic. Sci. p.108. 

  16. Lee, J.S. and H.E. Seo. 2003. Growth characteristics of Hosta native species and introduced cultivars. Hortic. Environ. Biote. 44:921-927. 

  17. Lee, J.S. and H.E. Seo and J. Hong. 2003. Leaf burn development in Hosta native species and introduced cultivars in outdoor gardens. Korean J. Hortic. Sci. 21:353-358. 

  18. Lee, S. and M. Maki. 2015. Origins of Hosta cultivars based on sequence variations in chloroplast DNA. Hortcul. J. 84:350-354. 

  19. Maekawa, F. 1940. The genus Hosta. Journal of the Faculty of Science, the University of Tokyo, Section 3 Botany 5:317-425. 

  20. Schmid, W.G. 1999. The genus Hosta. Timber Press, Inc. Portland, (OR) USA. 

  21. Smelser, J. 2018. Missouri Botanical Garden, Plants in combination. http://www.missouribotanicalgarden.org/. Accessed 12 Nov. 201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