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반들산쇠고비(관중과): 미기록 양치식물
Cyrtomium yamamotoi Tagawa (Dryopteridaceae), a New Addition to Fern Flora of the Republic of Korea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32 no.5, 2019년, pp.559 - 564  

선은미 (국립수목원 산림생물다양성연구과) ,  김혜원 (국립수목원 산림생물다양성연구과) ,  이강협 (국립수목원 산림생물다양성연구과) ,  이성권 (제주생태관광지원센터 보전국) ,  손동찬 (국립수목원 산림생물다양성연구과)

초록

반들산쇠고비(Cyrtomium yamamotoi Tagawa)는 관중과 쇠고비속(Cyrtomium Presl)에 속하는 미기록 양치식물이다. 지금까지 타이완, 중국, 일본에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2018년 제주도 제주시와 전라남도 해남군에서도 자생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종은 근연분류군인 쇠고비(C. fortunei J.Sm.)와 1회 우상복엽이고, 구형의 포막을 가지는 특징 등으로 매우 유사하지만, 반들산쇠고비는 피침평 또는 피침상 난형의 우편이 12쌍 이하이고, 포막의 중앙부는 암갈색 또는 흑색을 띠며, 가장자리에 얕은 톱니가 있는 특징으로 구분된다. 본 연구에서는 반들산쇠고비의 상세한 형태학적 기재와 한국산 쇠고비속의 명확한 동정을 위한 주요 형태 형질 사진 및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yrtomium yamamotoi Tagawa is an unrecorded species of perennial Pteridophyta that belongs to the genus Cyrtomium of Dryopteriaceae. It is known as native to Taiwan, China and Japan, but we found it in Jeju-si, Jeju-do and Haenam-gun, Jeollanam-do, Republic of Korea in 2018. This species is very sim...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clivicola)를 쇠고비에 통합하여 처리하였다. 한국산 미기록 식물로 확인된 양치식물 C. yamamotoi는 C. laetevirens와 같이 우편에 반들거리는 광택이 있으나 소우편 기부에 귀(auricle)가 발달하고, 포막의 중심부가 이색성을 띠는 특징이 있어 국명을 ‘반들산쇠고비’로 명명하였으며, 주요형질의 사진 및 검색표를 제공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대다수의 양치식물들이 제주도에 자생하고 있는 이유는? 8%)이 제주도에 자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국내 대다수의 양치식물이 제주도에 자생하고 있는 것은 제 주도가 난대부터 온대를 비롯한 아고산대까지의 다양한 기후대  보유하여 양치식물이 생육하기 좋은 다양한 환경을 많이 지 니고 있기 때문이다(Im, 1992).
양치식물의 정의는? 양치식물은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는 식물로, 계통학적으로는 선태식물과 종자식물 중간에 위치하며, 무성세대와 유성세대가 서로 교차하며(Lee et al., 2019) 포자로 번식하는 식물이다(Korean Fern Society, 2005). 전 세계에 열대를 중심으로 약 1만종이 분포하며, 한반도에는 약 258-333 종이 알려져 있다(Korea National Arboretum, 2017; Park et al.
양치식물의 분포지역 및 한반도에 존재하는 종의 수는? , 2019) 포자로 번식하는 식물이다(Korean Fern Society, 2005). 전 세계에 열대를 중심으로 약 1만종이 분포하며, 한반도에는 약 258-333 종이 알려져 있다(Korea National Arboretum, 2017; Park et al.,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Im, H.T. 1992. Plant geographical study for the plant of Cheju. Kor. J. Plant Tax. 22(3):219-234 (in Korean). 

  2. Iwatsuhki, K. 1995. Dryopteridaceae: In Iwatsuki, K., T. Yamazaki, D.E. Boufford and H. Ohba (eds.), Flora of Japan, Vol. I. Kodansha, Tokyo, Japan. pp. 120-124. 

  3. Jin, M.-L. and X. Cheng. 2003. Distributional study of the genus Cyrtomium C. Presl (Dryoteridaceae): In Chandra, S. and M. Srivastava (eds.), Pteridology in the New Millenium. Kluwer Academic Publishers, Dordrecht, Netherlands. pp. 133-141. 

  4. Kang, U.C. and S.S. Jung. 2012. Composition of Pteridophyta's life-form spectra in Korea. Korean J. Plant Res. 25(4):433-446. 

  5. Korea National Arboretum. 2017.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 1,000 (in Korean). 

  6. Korean Fern Society. 2005. Ferns and Allies of Korea. Gobook, Seoul, Korea. p. 399 (in Korean). 

  7. Kung, H.S., L.B. Zhang, W.M. Zhu, Z.R. He and Y.T. Xie. 2001. Dryopteridaceae: In Kung, H.S. (ed.), Flora Reipublicae Popularis Sinicae, Tomus 5(2). Science Press, Beijing, China. pp. 1-222. 

  8. Little, D.P. and D.S. Barrington. 2003. Major evolutionary events in the origin and diversification of the fern genus Polystichum (Dryopteridaceae). American Journal of Botany 90:508-514. 

  9. Love, A., D. Love and R.E.G. Sermolli. 1977. Cytotaxonomical atlas of the Pteridophyta. J. Cramer, Vaduz, Liechtenstein. p. 398. 

  10. Lee, C.S., K.H. Lee and Y.S. Hwang. 2013. First record of Cyrtomium laetevirens and Dryopteris simasakii var. paleacea (Dryopteridaceae) from Korea. Kor. J. Plant Tax. 43(3):171-180. 

  11. Lee, C.S. and K.H. Lee. 2018. Pteridophytes of Korea: Lycophyes & Ferns. Geobook, Seoul, Korea. p. 491 (in Korean). 

  12. Lee, S.I., B.K. Jang and C.G. Lee. 2019. Effect of medium and soil conditions on propagation of gametophyte and sporophyte in Leptogramma pozoi (Lag.) Ching subsp. mollissima (Fisch. ex Kunze) Nakaike. Korean J. Plant Res. 32(4):290-295. 

  13. Ohwi, J. 1965. Dryopteridaceae: In Meyer, F.G and E.H Walker (eds.), Flora of Japan, Angiospermae, Dicotyledoneae. Smithsonian Institution, Washington, D.C., USA. pp. 58-60. 

  14. Park, S.H., Y.M. Lee, J.C. Yang, K.H. Lee, C.S. Chang, H.J. Lee, H.J. Choi, S.S. Jung and J.H. Lee. 2008. Illustrated Pteridophytes of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 547 (in Korean). 

  15. Presl, K.B. 1836. Tentamen. Pteridographiae: Seu Genera Filicacearum Praesertim Juxta Venarum Decursum et Distributionem Exposita, Vol. 3. Typis Filiorum Theophili Haase, Prag, Czech. p. 290. 

  16. Shing, K.H. 1965. A taxonomical study of the genus Cyrtomium Presl. Acta Phytotax. Sin. I (Additamentum):1-48. 

  17. Tagawa, M. 1935. Two varieties of Cyrtomium fortunei J.Smith. Vol. IV. Acta Phytotax. Geobot. 1(4):38-39. 

  18. Yatskievych, G., D.B. Stein and G.J. Gastony. 1988. Chloroplast DNA evolution and systematics of Phanerophlebia (Dryopteridaceae) and related genera.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USA 85:2589-2593. 

  19. Zhang, X.-C., M. Kato and H.P. Nooteboom. 2013. Dryopteridaceae: In Wu, Z.-Y. and P.H. Raven (eds.), Flora of China. Vol. 2. Science Press, Beijing, China and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St. Louis, USA. pp. 541-72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