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한국산 족도리풀속(Asarum)의 외부형태학적 형질에 의한 분류
Taxonomy of Korean Asarum (Aristolochiaceae) by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32 no.4, 2019년, pp.344 - 354  

임효선 (국립생태원 생태조사연구실) ,  오병운 (충북대학교 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산 족도리풀속(Asarum L.) 7종의 44개 질적형질 및 28개 양적형질을 분류학적으로 재검토하였다. 질적형질 중, 27개 형질은 본 속의 모든 종에서 나타나는 공통형질이었으며, 28개 양적형질 중 단일형질은 인편엽의 수(2-4장), 잎의 수(2장), 악편의 수(3장), 수술의 수(12개) 및 암술의 수(6개) 등 5개였다. 잎 표면의 흰색 얼룩무늬는 개족도리풀과 무늬족도리풀을 다른 종들과 구분하는 유용한 형질이었으며, 금오족도리풀과 털족도리풀의 잎 이면에는 긴 연모가 다수 분포함으로써 짧은 털이 분포하는 다른 종들과 차별화되었다. 악통 내부 표면의 선모는 종에 따라 자루가 없는 선모(개족도리풀, 족도리풀, 자주족도리풀)와 자루가 있는 선모(금오족도리풀, 무늬족도리풀, 털족도리풀, 각시족도리풀)의 2가지 유형이 구분됨으로써 이들의 유연관계를 잘 반영해 주었다. 악편의 길이, 형태, 색 및 반곡 정도, 악통 입구(통인)의 직경 및 색 또한 유용한 분류형질로 확인되었다. 악편 표면에 발달하는 선모의 밀도는 드물게 분포하는 금오족도리풀과 밀생하는 자주족도리풀을, 중간 정도의 밀도를 보이는 다른 종들과 뚜렷하게 구분시켜주었다. 한편, 금오족도리풀의 화주돌기 길이는 나머지 종들의 그것과 뚜렷하게 차이가 났다. 연변족도리풀과 녹연변족도리풀의 실체에 대해서는 재검토가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seven species of Korean Asarum, 44 qualitative and 28 quantitative characters were reviewed taxonomically. Among 44 qualitative characters observed in vegetative and reproductive organs, the states of 27 characters were common in all the seven species. Among 28 quantitative characters, five chara...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설 설정

  • 2. 악편은 악통쪽으로 반곡된다; 잎 이면에는 연모가 밀생 한다        6.
  • 4. 잎 표면에는 흰색의 무늬가 없다.
  • 4. 잎 표면에는 흰색의 알록무늬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족도리풀속의 유연관계 잘 나타내 준 것은? 잎 표면의 흰색 얼룩무늬는 개족도리풀과 무늬족도리풀을 다른 종들과 구분하는 유용한 형질이었으며, 금오족도리풀과 털족도리풀의 잎 이면에는 긴 연모가 다수 분포함으로써 짧은 털이 분포하는 다른 종들과 차별화되었다. 악통 내부 표면의 선모는 종에 따라 자루가 없는 선모(개족도리풀, 족도리풀, 자주족도리풀)와 자루가 있는 선모(금오족도리풀, 무늬족도리풀, 털족도리풀, 각시족도리풀)의 2가지 유형이 구분됨으로써 이들의 유연관계를 잘 반영해 주었다. 악편의 길이, 형태, 색 및 반곡 정도, 악통 입구(통인)의 직경 및 색 또한 유용한 분류형질로 확인되었다.
족도리풀속(Asarum L.)이란? 족도리풀속(Asarum L.)은 쥐방울덩굴과(Aristolochiaceae) 에 포함되는 다년생 초본으로서 중국의 약 39종을 포함하여 동 남아시아에 약 80종, 남미와 유럽에 약 10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erry and Alan, 1997; Huang et al., 2003).
족도리풀속이 쥐방울덩굴속과 구별되는 점은? , 2003). 본 속에 속하는 식물들은 악편의 형태가 종모양 또는 단지모양이 고, 방사상칭으로 세 갈래로 갈라지며, 지하경이 옆으로 뻗는 특징에 의해 쥐방울덩굴속(Aristolochia L.)과 구별된다(Park, 1974; Ohwi, 1984; Kerry and Alan, 1997; Oh, 20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Huang, S., L. Kelly and M. Gilbert. 2003. Aristolochiaceae: In Wu, C.Y., P.H. Raven and D.Y. Hong (eds.), Flora of China, Vol. 5., Science Press and Missori Botanical Garden Press, Beijing and St. Louis. pp. 246-269. 

  2. Kerry, B. and T.W. Alan. 1997. Aristolochiaceae: In Flora of North America Editorial Committee (eds.), Flora of North America, Vol. 3., Oxford University Press, London, UK. pp. 44-52. 

  3. Kim, M.Y. 2017. Korean Endemic Plants. Haejin Media, Seoul, Korea. pp. 56-59. 

  4. Lee, B.R., S.H. Kim and M.K. Huh. 2010. Phylogenic study of genus Asarum (Aristolochiaceae) in Korea by trnL-trnT Region. Journal of Life Science 20(11):1697-1703. 

  5. Lee, W.T. 1996. Lineamenta Florae Koreae. Academy Press, Seoul, Korea. p. 125. 

  6. Lee, Y.N. and J.Y. Lee. 2000. Asarum in Korea: In Lee, Y.N. (ed.), Bulletin of Korea Plant Research, No. 1, Korea Research Insititute, Seoul, Korea. pp. 16-30. 

  7. Lee, Y.N., Y.S. Jun and Y.S. Kim. 2005. Two new species, two new varieties and two new forms of Asarum: In Lee, Y.N. (ed.), Bulletin of Korea Plant Research, No. 5., Korea Research Insititute, Seoul, Korea. pp. 5-10. 

  8. Miquel, F.A.G. 1865. Frolusio Florae Japonicae. Annales Musei Botanici Lugduno-Batavi 2:133-135. 

  9. Nakai, T. 1914. Plantae novae Coreanae et Japonicae II. Repertorium specierum novarum regni vegetabilis 13. pp. 267-278. 

  10. Nakai, T. . 1936. Flora Sylvatica Koreana XXI. Imperial University of Tokyo, Tokyo, Japan. pp. 15-24. 

  11. Oh, B.U. 2008. A taxonomic review of Korean Asarum (Aristolochiacea). Korean J. Pl. Taxon. 38(3):251-270. 

  12. Oh, B.U. 2017. Asarum L.: In Flora of Korea Editorial Committee (ed.), Flora of Korea, Vol. 2a. Magnoliidae,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Korea. pp. 20-22. 

  13. Oh, B.U., D.G. Jo, K.S. Kim and C.G. Jang. 2005. Endemic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1-205. 

  14. Oh, B.U., O.H. Nam and J.G. Kim. 1997. A new species of Asarum sect. Asiasarum from Korea: A. misandrum B.Oh et J.Kim. Korean J. Pl. Taxon. 27(4):491-499. 

  15. Ohwi, J. 1984. Flora of Japan. Smithsonian Inst., Washington, D.C.. 

  16. Park, M.K. 1974. Keys to the Herbaceous Plants in Korea (Dicotyledonae). Jungumsa, Seoul, Korea. pp. 96-99. 

  17. So, S.K. and M.Y. Kim. 2008. A taxonomic study of Asarum (Aristolochiaceae) in Korea. Korean J. Pl. Taxon. 38(2):121-149. 

  18. So, S.K., Y. Hwang, C.H. Lee and M.Y. Kim. 2010. A new species of Asarum: A. Yeonbyeonense M. Kim & S. So. Korean J. Pl. Taxon. 40(4):255-261. 

  19. Turland, N.J., J.H. Wiersema, F.R. Barrie, W. Greuter, D.L. Hawksworth, P.S. Herendeen, S. Knapp, W.-H. Kusber, D.-Z. Li, K. Marhold, T.W. May, J. McNeill, A.M. Monro, J. Prado, M.J. Price and G.F. Smith. 2018. International Code of Nomenclature for algae, fungi, and plants (Shenzhen Code), The Nomenclature Section of the XIX International Botanical Congress, China, Doi: https://doi.org/10.12705/Code.2018. 

  20. Yamaji, H., J. Yokoyama, J.H. Park and M. Maki. 2004. No genetic differentiation between Asarum maculatum and A. sieboldii var. sieboldii (Aristolochiaceae) in Korea. Acta Phytotax. Geobot. 55(3):199-205. 

  21. Yamaji, H., T. Fukuda, J. Yokoyama, J.H. Park, C. Zhou, C. Yang, K. Kondo, T. Morota, S. Takeda, H. Sasaki and M. Maki. 2007. Reticulate evolution and phylogeography in Asarum sect. Asiasarum (Aristolochiaceae) documented in internal transcribed spacer sequences (ITS) of nuclear ribosomal DNA. Mol Phylogenet Evol. 44(2):863-884. 

  22. Yamaki, K., S. Terabayashi, M. Okada and J.H. Park. 1996. A new species and a variety of Asiasarum (Aristolochiaceae) from Korea. J. Jpn. Bot. 71(1):1-10. 

  23. Yook, C.S. and J.G. Kim. 1996. A new species and two new formas of Asiasarum. Kor. J. Pharmacogn. 27(4):342-34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