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음파방식으로 측정된 골밀도와 신체조성 및 배근력의 관계
Relationship of Bone Mineral Density Measured by Ultrasound Bone Densitometry and Body Composition or Backmuscle Strength 원문보기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13 no.5, 2019년, pp.721 - 728  

이원정 (대전보건대학교 방사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20대 초반의 남, 여를 대상으로 초음파 방식으로 측정된 골밀도와 신체조성 및 배근력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D대학에 재학 중인 61명의 학생에 대해 IRB 승인과 참여자 동의 후 설문조사, 초음파방식 골밀도 및 신체조성, 배근력을 측정하였다. 골밀도는 주로 사용하는 측 종골을 측정하여 T-값을 두 그룹($T-score{\geq}-1.0$; T-score<-1.0)으로 나누었다. 생체전기 저항법을 이용하여 신체조성을 측정하였고, 배근력은 2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 모든 통계분석은 SPSS ver. 22.0 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신체활동 또는 체질량지수가 증가할수록 골밀도 및 신체조성의 근육량도 증가하였다. T-값이 높은 그룹이 낮은 그룹 보다 신체조성의 근육량 및 골격근량, 신체발달이 높았지만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었다(p>0.05). 배근력에서도 T-값이 높은 그룹이 낮은 그룹 보다 높았다(101.1 vs. 92.1, p=0.308). 남, 여그룹에서 골밀도 T-값과 신체조성의 골격근과 근육량은 보통 수준의 유의한 양의 상관성을 보였고(p<0.05), 배근력은 신체조성의 골격근과 근육량, 신체발달에서 골밀도 보다 높은 유의한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p<0.001). 여자그룹이 남자그룹 보다 골밀도 T-값과 신체조성의 골격근과 신체발달에서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남자 그룹에서 배근력과 골밀도의 T-값과는 유의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지만(r=0.176, p=0.319), 여자 그룹에서는 보통 수준의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r=0.591, p=0.001). 이상과 같이 초음파 방식으로 측정된 골밀도와 신체조성, 배근력은 상호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bone mineral density (BMD) and body composition (BC) or backmuscle strength (BS). Sixty-one participants were measured by BMD using ultrasound bone densitometry and Inbody for BC (i.e., SLM=Soft lean mass, SMM=Skeletal muscle mass, F...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진대사가 활발한 20대 초반의 남, 여를 대상으로 정량적초음파 방식으로 측정된 골밀도와 신체조성 및 배근력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 X선 방식의 골밀도 측정의 단점은? X선 방식의 골밀도 측정은 낮은 선량을 사용하더라도 신진대사가 활발한 20대에는 감수성이 높아 영향이 커질 수 있어 인체에 해가 없는 정량적 초음파방식에 의한 골밀도 측정(quantitative ultrasonometry)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6,7]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유전적, 식생활습관, 약물중독, 신체활동, 스테로이드제 등과[7], 신체조성의 체질량지수 및 근육량 등에 밀접한 관련이 있다.[8]
청년기는 골밀도나 근력, 신체조성 향상을 위한 관리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주로 중장년층에 발생하게 되는 골다공증 등 근골격계질환이나 당뇨나 고혈압 등 대사성질환은 청소년기부터 식생활습관 등에 의한 오랜 시간이 지나면서 발생하게 된다. 특히, 신진대사가 활발한 20대 청년기는 골밀도나 근력, 신체조성 향상을 위한 관리가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Y. M. Lee, J. E. Shim, Y. J. Hoon, "Change of Children's Meal Structure in Terms of Temporal and Spatial Dimensions: Analysis of the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of 1998 and 2009,"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ol. 17, No. 1, pp. 109-118, 2012. 

  2. C. M. Cho, "Trend Analysis Associated Dietary Habit Factors on Obesity in Korean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Vol. 21, No. 1, pp. 97-107, 2014. 

  3. J. W. Park, E. S. Kim, "A Longitudinal Study on Fatness and Fitness Change in Accordance with the Growth of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Wellness, Vol. 10, No. 4, pp. 317-325, 2015. 

  4. Y. A. Lee, J. S. Lim, "Body Composition Changes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ediatric Endocrinology, Vol. 15, No. 1, pp. 7-13, 2010. 

  5. S. Y. Lee, C. H. Shin, S. W. Yang, "Alteration of Bone Metabolism Markers according to The Progression of Puberty."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Vol. 47, No. 2, pp. 140-149, 2004. 

  6. S. M. Ahn, Y. K. Kim, M. H. Lee, et al., "Factors Influencing Bone Mass Measured by Ultrasonography in Korean Male College Students," Korean Society of Osteoporosis, Vol. 4, No. 1, pp. 36-40, 2006. 

  7. W. J. Lee, "Sex Differences in Bone Marrow Density Measured by Quantitative Ultrasonometry: For 20 Year Old College Student,"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 40, No. 3, pp. 401-405, 2017. 

  8. J. K. Lee, E. J. Kim, M. H. Suk, E. Y. Kim, "Factors Influencing Osteoporos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ol. 14, No. 2, pp. 253-262, 2003. 

  9. H. T. Chen, Y. C. Chung, Y. J. Chen, S. Y. Ho, H. J. Wu,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Muscle Strength, and IGF-1 in the Elderly with Sarcopenic Obesity,"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Vol. 65, No. 4, pp. 827-32, 2017. 

  10. H. T. Chen, H. J. Wu, Y. J. Chen, S. Y. Ho, Y. C. Chung, "Effects of 8-week Kettlebell Training on Body Composition, Muscle Strength, Pulmonary Function, and Chronic Low-grade Inflammation in Elderly Women with Sarcopenia," Experimental Gerontology, Vol. 112, No. 1, pp. 112-8, 2018. 

  11. S. C. Chiu, R. S. Yang, R. J. Yang, S. F. Chang, "Effects of Resistance Training on Body Composition and Functional Capacity among Sarcopenic Obese Resident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a Preliminary Study," Biomedcentral Geriatrics, Vol. 18, No. 21, pp. 1-11, 2018. 

  12. W. J. Lee, S. C. Jeong, "A Study of Body Composition and Backmusclestrenght according to Physical Activity,"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 41, No. 6, pp. 637-641, 2018. 

  13. J.G. Yoon, K.H. Lee, H.S. Rhyu, "The Effect of 16-Weeks' Spinning Exercise on the Body Composition, Fitness, Blood Parameters in Middle School Girls," Journal of Wellness, Vol. 13, No. 2, pp. 545-553, 2018. 

  14. M. Bayramoglu, S. Sozay, M. Karatas, S. Kilinc, "Relationships between Muscle Strength and Bone Mineral Density of Three Body Regions in Sedentary Postmenopausal Women," Rheumatology International, Vol. 25, No. 7, pp. 513-7, 2005. 

  15. R. V. Marin, M. A. C. Pedrosa, L. D. F. Moreira-Pfrimer, S. M. M. Matsudo, M. Lazaretti-Castro, "Association between Lean Mass and Handgrip Strength with Bone Mineral Density in Physically Active Postmenopausal Women," Journal of Clinical Densitometry, Vol. 13, No. 1, pp. 96-101, 2010. 

  16. Z. Zhou, L. Zheng, D. Wei, M. Ye, X. Li, "Muscular Strength Measurements Indicate Bone Mineral Density Loss in Postmenopausal Women," Clinical Interventions in Aging, Vol. 8, No. 1, pp. 1451-9, 2013. 

  17. I. J. Lee, "Comparative of Bone Mineral Density according to the Body Mass Index and Eating Habits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 40, No. 4, pp. 581-7, 2017. 

  18. S. W. Lee, S. H. Lee, Y. R. Kweon, H. J. Lee, "Factors Relating to Bone Mineral Density of Adult Man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Vol. 24, No. 2, pp. 158-165, 200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