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연장 무대부 화재 시 자연배출구 및 방화막 영향 검토를 위한 축소모형 실험
Reduced-scale Model Experiment for Examination of Natural Vent and Fire Curtain Effects in Fire of Theater Stage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33 no.4, 2019년, pp.41 - 49  

백선아 (부경대학교 소방공학과 대학원) ,  양지현 (부경대학교 소방공학과 대학원) ,  정찬석 (부경대학교 소방공학과 대학원) ,  이치영 (부경대학교 소방공학과) ,  김동균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실존하는 공연장을 대상으로 1/14 비율로 축소하여 제작한 모형을 이용하여 공연장 무대부 화재 시 자연배출구 및 방화막 영향을 검토하였다. 자연배출구가 개방되고 방화막이 미설치된 경우에 무대부 온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객석부 온도의 경우 자연배출구가 개방되고 방화막이 설치된 경우에 낮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한편, 객석부 프로시니엄 개구부에 근접한 위치에서의 온도 상승 시점 분석을 통해 자연배출구 개방이 무대부에서 객석부로의 연기 유출 시작 시점을 지연시키고 객석부 온도 상승을 억제할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실험 조건에서 방화막 설치 여부는 자연배출구를 통한 유출 유동의 속도 및 질량 유량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는데, 이는 무대부에 존재하는 개구부 때문으로 판단된다. 본 실험 결과는 실제 공연장 화재 시 자연배출구 및 방화막 영향 평가를 위한 기초 데이터로 활용 가능할 뿐 아니라 전산시뮬레이션의 신뢰성 검증을 위한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present experimental study, based on a real-scale theater, a 1/14 reduced-scale model was constructed, and the effects of natural vent and fire curtain in fire of a theater stage were investigated. The case without fire curtain under the opened natural vent showed lower temperatures in the 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실존하는 공연장을 1/14 비율로 축소시켜 제작한 모형을 이용하여 공연장 무대부 화재 시 자연배출구 및 방화막 조건이 연기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주요 결과를 아래에 요약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실존하는 극장을 대상으로 일정 비율(1/14)로 축소한 실험 장치를 구축하여 자연배출구 및 방화막이 공연장 무대부 화재 시 연기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축소모형 실험을 통해 자연배출구 및 방화막 조건에 따라 무대부 화재 시 무대부 및 객석부 공간 내 온도 분포와 객석으로의 연기 유출 시점, 무대부 자연 배출구를 통해 유출되는 유동의 속도 및 질량 유량을 측정 및 검토하였다.
  • . 본 연구에서는 이 중 연기배출구와 방화막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Survey on the Performing Art" (2018). 

  2. W. S. Lee, S. H. Park, D. Kim, J. K. Park, H. S. Jang J. S. Ryu and M. S. Kang, "Manual for Theatre Safety", Theater Safety Center in Korea Testing Laboratory (2015). 

  3. National Fire Agency, "Act on Fire Prevention and Installation, Maintenance, and Safety Control of Fire-fighting Systems" (2018). 

  4. D. M. Lee, B. S. Son and H. K. Jeon, "Smoke Management Engineering", Donghwa Technology Publishing, Paju, Korea, pp. 70-75 (2013). 

  5. Theater Safety Center in Korea Testing Laboratory, "Safety Guidelines and Technical Standards for Stage Facilities in Theatre" (2011). 

  6. Code of Practice (COP), "Code of Practice for Minimum Fire Service Installations and Equipment" (2012). 

  7.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ANSI), "ANSI E1.22, Entertainment Technology - Fire Safety Curtain System" (2016). 

  8. D. G. Kim, "Stage Facility Analysis Report", Theater Safety Center in Korea Testing Laboratory. 

  9. Y. J. Yeo, "A Study on the Major Design Factors affecting Ventilation in the Performance Hall Fires", Ph.D. Dissertation, Hoseo University (2012). 

  10. J. H. Kim, D. Kim and C. Y. Lee, "Effects of Fire Curtain and Forced Smoke Ventilation on Smoke Spread to Auditorium in Stage Fire of Theater",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31, No. 5, pp. 28-36 (2017). 

  11. D. H. Kim, C. Y. Lee and D. Kim, "Prediction of the Fire Curtain Effect through a Numerical Simulation a Reduced Scale Model for Fires in Theaters",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32, No. 3, pp. 51-59 (2018). 

  12. J. H. Kim, C. Y. Lee, L. G. Jeong and D. Kim, "Analysis of Smoke Behavior in Fire within Real-scale Theater Using FDS: Influence of Fire Curtain and Natural Smoke Vent Area",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32, No. 6, pp. 7-14 (2018). 

  13. C. H. Hwang, B. H. Yoo, C. E. Lee, S. M. Kum, J. Y. Kim and H. J. Shin, "An Experimental Study of Smoke Movement in Tunnel Fire with Natural and Forced Ventilations",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B, Vol. 29, No. 6, pp. 711-721 (2005). 

  14. P. A. Croce and Y. Xin, "Scale Modeling of Quasi-steady Wood Crib Fires in Enclosures", Fire Safety Journal, Vol. 40, No. 3, pp. 245-266 (2005). 

  15. H. Ingason, "Model Scale Railcar Fire Tests", Fire Safety Journal, Vol. 42, No. 4, pp. 271-282 (2007). 

  16. D. Yang, R. Huo, X. L. Zhang and X. Y. Zhao, "Comparison of the Distribution of Carbon monoxide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Rise in Channel Fires: Reduced-scale Experiments", Applied Thermal Engineering, Vol. 31, No. 4, pp. 528-536 (2011). 

  17. Y. Z. Li and H. Ingason, "Model Scale Tunnel Fire Tests with Automatic Sprinkler", Fire Safety Journal, Vol. 61, pp. 298-313 (2013). 

  18. R. R. Leisted, M. X. Sorensen and G. Jomaas, "Experimental Study on the Influence of Different Thermal Insulation Materials on the Fire Dynamics in a Reduced-scale Enclosure", Fire Safety Journal, Vol. 93, pp. 114-125 (2017). 

  19. J. H. Klote and J. A. Milke, “Principles of Smoke Management”, American Society of Heating, Refrigeratingand Air-Conditioning Engineers, Atlanta, GA, pp. 217-224 (2002). 

  20. B. Karlsson and J. G. Quintiere, “Enclosure Fire Dynamics”, CRC press, Boca Raton, pp. 88-89 (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