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가에 의한 도심 경계 설정의 타당성 및 도심의 지가 변화
The Validity of Delimitation of City Center by Land Values and the Change in the Land Values of City Center 원문보기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v.22 no.3, 2019년, pp.366 - 379  

박지은 (부산대학교 지리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최고지가에 대한 비율로 도심의 경계를 설정하는 방법을 검토하고 원도심과 신도심의 특성 및 영향력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시를 대상으로 2000년과 2015년의 표준지공시지가를 활용하여 도심 경계를 설정하고 원도심과 신도심의 지가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고지가에 대한 비율 8%와 10%를 적용해보았을 때 기존 연구의 도심 경계보다 도심의 범위가 넓게 추정되었다. 최고지가에 대한 비율로 도심의 경계를 설정하는 방법은 시간의 흐름 또는 각 도시의 사회적, 경제적 상황에 따라 달라지므로 신중하게 접근하여야 한다. 둘째, 도심의 지가가 주변지역까지 미치는 파급력은 원도심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최고지가지점(PLVI)이 신도심으로 이전되었을 뿐만 아니라 신도심의 지가가 많이 상승한 점으로 미루어 볼 때 앞으로 부산시의 신도심 지역이 더욱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how to set city center's boundaries in proportion to the highest land values an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influence of the original and the new city center. For this purpose, the land values was compared and analyzed the city of Busan as an example 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음으로 이 두 도심을 연결하는 선상에서 어떠한 지가 변화가 나타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주요 간선도로망을 중심으로 지가단면도를 작성하였다.
  • 최고지가를 산출하는 순간 그 지역에 있는 다른 지가가 가지고 있는 의미는 모두 사라져버리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원지가의 특징을 유지하기 위해 필지를 분석단위로 연구를 진행하고 국내 연구에서 많이 인용한 최고지가의 8%와 최고지가의 10%를 기초로 최고지가의 일정비율에 따라 도심 경계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한 타당성 여부를 부산시를 사례로 검증해보고자 한다.
  •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부산시를 사례로 도심의 경계를 설정하는 방법과 원도심과 신도심의 특성을 지가 측면에서 비교·분석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 엄정희·여홍구(2015)는 원도심의 경계를 북동쪽은 조금 적게, 그 외의 지역은 조금 더 넓게 획정하였고 신도심의 경계를 북쪽 및 동쪽은 넓게 설정하였다. 이러한 기존의 도심 경계의 기준을 참고하여 최고지가에 대한 비율이 도심 경계를 설정하는데 얼마나 유용한지 분석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공간구조 분석에서 지가가 널리 사용되어 온 이유는 무엇인가? 그 중에서도 도시공간구조 파악에 용이한 지가를 사용하여 도심의 경계를 설정한 연구들이 많았다. 도시공간구조 분석에서 지가가 널리 사용되어 온 이유는 지가가 토지이용과 이용 가치를 반영하고 결과적으로 도시의 발전적 동태를 반영하는 지표가 되기 때문이다(임석회, 2014). 하지만 지가를 활용한 도심 경계 설정 방법이 얼마나 유용한지, 토지이용 및 CBII와 CBHI 등을 사용하여 설정한 기존의 도심 경계와 얼마나 일치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사례는 드물다.
도심에 대한 연구를 하기에 앞서 실시해야 하는 작업은 무엇인가? 도심에 대한 연구는 도심의 기능 변화, 도심의 토지이용, 도심 재생 및 활성화, 도심 재개발, 도심 공동화 등 도심의 발전과 쇠퇴에 관한 내용이 주를 이룬다(김흥관·여성준, 2008; 남기범, 1998; 류연택, 2009; 박병호 등, 2008; 서민철, 2014; 이상율, 2003; 이현욱, 2014; 임석회, 2016; 임석회·송민정, 2013; 주경식·서민철, 1998). 이러한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어디까지가 도심인지를 파악하는 즉, 도심의 경계를 설정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박지은, 2012).
'도심'의 특징은? 다양한 경제활동이 이루어지는 대도시는 대체로 고차 상업기능이 밀집되어 있는 도심과 도심의 기능을 분담하는 부도심, 그리고 주거단지와 공장지역 등으로 분화되어 있다. 그 중에서도 도심은 도시의 어떤 다른 지역보다 경제활동이 집중된 곳으로 고층건물이 밀집되어 있고 차량과 사람들의 왕래가 혼잡한 지역이다. 또한 도심은 도시 내에서 입지 여건이 가장 양호한 곳으로 입지경쟁이 일어나 토지이용 면에서 가장 집약적인 기능인 중심 업무 기능과 상업 기능이 점유하고 있는 공간이기도 하다. 따라서 도심은 지가 혹은 지대가 최고인 지역, 즉 도시의 핵이라 볼 수 있다(형시영,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강수은, 2003, 부산시 공간구조 변천에 관한 연구: 인구, 고용, 지가분포를 중심으로, 동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구동회, 2010, "부산시 지가의 공간적 분포에 관한 연구," 국토지리학회지 44(2), pp.199-212. 

  3. 구자웅.송예나, 2016, "도시철도 역세권의 지가분포 변동: 광주시 사례연구,"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9(3), pp.423-436. 

  4. 김감영, 2012, "대구시 지가의 시공간적 변화 탐색,"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8(4), pp.414-432. 

  5. 김광성, 1984, 부산시 지가의 공간적 변화에 관한 조사연구, 부산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수령, 1992, "서울의 다핵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지가 및 서비스.업무 기능의 공간분석을 통하여," 지리교육논집 27, pp.31-53. 

  7. 김원경, 1983, "부산시 지가의 공간변화에 관한 연구," 부산여대 논문집 15, pp.403-434. 

  8. 김원경, 1984, "부산시 지가의 시기별 변화정도와 공간성에 관한 연구," 부산여대 논문집 16, pp.319-362. 

  9. 김호용.김지숙.이성호, 2012, "도심경계설정을 위한 공간통계학적 접근,"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5(4), pp.42-54. 

  10. 김현미, 2007, "지방도심 재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한국세무회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2, pp.119-142. 

  11. 김흥관, 2006, "GIS를 활용한 부산시공간구조변천에 관한 연구: 인구, 고용, 지가분포를 중심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9(4), pp.204-214. 

  12. 김흥관.여성준, 2008, "부산시 도심 기능의 유형별 도심재생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1(3), pp.174-182. 

  13. 남기범, 1998, "서울 도심 사무업무활동입지의 변화와 특성,"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2), pp.85-102. 

  14. 남영우, 1976, "지가에 의한 CBD 설정과 지가분포의 유형 분석," 지리학과 지리교육 6, pp.51-78. 

  15. 류연택, 2009, "도심 재활성화를 위한 사회자본 및 파트너십 형성,"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2(1), pp.38-55. 

  16. 박상규, 2001, 부산시 도심 토지이용의 변화 특성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박병호.한상욱.인병철, 2008, "우리나라 대도시 도심쇠퇴의 패턴에 관한 비교분석,"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1(3), pp.101-111. 

  18. 박지은, 2012, "지가에 의한 도심경계 설정의 타당성에 관한 검토," 대한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2(5), pp.285-287. 

  19. 부산광역시, 2011, 2030 부산도시기본계획, pp.99-111. 

  20. 손세욱.유상혁, 2000, "대전시의 중심지 식별과 특성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5(3), pp.51-66. 

  21. 손태민.강대욱, 1988 "부산시 도심부의 범위설정과 공간구조에 관한 연구," 도시연구보 2, pp.65-77. 

  22. 손현옥, 2009, 울산시 신구도심 내부구조,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서민철, 2014, "서울의 도심 및 부심 설정과 특화기능 탐색," 대한지리학회지 49(2), pp.275-298. 

  24. 엄정희.여홍구, 2015, "부산광역시 신.구도심의 토지이용 특성 및 경계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7(5), pp.209-228. 

  25. 이상율, 2003, "대구시 도심 토지이용 특성과 재개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9(4), pp.592-607. 

  26. 이선, 1978, "광주시 도심지역 설정과 지가분포의 회귀분석적 연구," 웅진지리 2.3, pp.61-86. 

  27. 이용태, 1985, 대도시 CBD 설정: 대구시의 경우,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이현욱, 1985, "광주시 지가분포의 변천과 공간분화," 대한지리학회지 32, pp.58-73. 

  29. 이현욱, 1994, "지가변동에 의한 도시내부구조의 변화," 국토계획 29(2), pp.173-192. 

  30. 이현욱, 2001, "지가에 의한 대도시의 토지이용예측: 5개 대도시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7(1), pp.83-95. 

  31. 이현욱, 2014, "광주광역시 신,구도심의 기능분포특성 비교,"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7(2), pp.33-48. 

  32. 임석회, 2014, "대도시 도심의 토지용도별 지가구조 분석: 대구시 중구의 사례,"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7(3), pp.482-501. 

  33. 임석회, 2016, "대도시 도심부의 인구변동과 쇠퇴 양상의 변화: 도심쇠퇴의 이완과 도심회귀 증후의 검토,"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2(3), pp.599-614. 

  34. 임석회.송민정, 2013, "대도시 도심부의 토지이용 변화 분석: 대구광역시를 사례로," 대한지리학회지 48(6), pp.856-878. 

  35. 전명진, 1995, "다핵도시공간구조에서 통근행태: 서울대 도시권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31(2), pp.223-236. 

  36. 전호근, 1995, 부산시 지가와 기능의 분포특성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정대영.김상수.김계현, 2009, "GIS를 이용한 지가분포특성에 따른 중심지 분석,"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17(3), pp.65-70. 

  38. 정현.윤창훈, 2002, "대구시 상업지역 지가의 분포패턴에 관한 연구," 부동산학연구 8(2), pp.45-54. 

  39. 주경식.서민철, 1998, "서울 도심의 경계, 기능 및 내부구조," 대한지리학회지 33(1), pp.41-56. 

  40. 최창환.이동본, 2008, "부산시 도심지가의 분포특성과 도심기능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부동산학보 135, pp.171-181. 

  41. 형시영, 2004, 지방 대도시의 도심재생 방안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2. 황의창.여홍구, 2013, "대전시 신.구도심의 경계설정에 관한 연구," 국토지리학회지 46(3), pp.263-274. 

  43. Bohnert, J. E. and Mattingly, P. F., 1964, "Delimitation of the CBD through Time," Economic Geography 40(4), pp.337-347. 

  44. Bowden, M. J., 1971, "Downtown Through Time: Delimitation, Expansion, and Internal Growth," Economic Geography 47(2), pp.121-135. 

  45. Gordon, P., Kumar, A. and Richardson, H., 1989, "The spatial mismatch hypothesis: Some new evidence," Urban Studies 26(3), pp.315-326. 

  46. Murphy, R. E., Vance, J. E. Jr. and Epstein, B. J., 1955, "Internal Structure of the CBD," Economic Geography 31(1), pp.21-4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