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구간단속장비 설치 효과 분석 및 사고예측모형 개발
A Study on Effectiveness Analysis and Development of an Accident Prediction Model of Point-to-Point Speed Enforcement System 원문보기

한국안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34 no.5, 2019년, pp.144 - 152  

김다예 (도로교통공단 교통공학연구처) ,  이호원 (도로교통공단 교통공학연구처) ,  홍경식 (도로교통공단 교통공학연구처)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cording to the National Police Agency, point-to-point speed enforcement system is being installed and operated in 97 sections across the country. It is more effective than other enforcement systems in terms of stabilizing the traffic flow and inhibiting the kangaroo effect. But it is only 5.1% of ...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데이터 구축을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은 독립변수의 단위 변화에 대한 반응변수의 변화를 예측하는 것으로 데이터 간 단위가 달라지면 결과 값이 상이해질수 있다. 따라서, 교통량의 경우 다른 변수에 비해 단위의 규모가 크기 때문에 자연로그를 취하여 데이터 간 편차를 줄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사고예측모형의 경우 고속도로에 설치된 구간단속장비를 대상으로 한 것으로 도시부의 연속류 및 단속류 구간을 대상으로 일반화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발한 사고예측모형을 최근 고속도로 내 구간단속장비 설치구간 및 주요 고속도로(경부, 영동, 서해안 및 서울외곽순환)에 적용하여 인명피해사고 발생확률에 대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각 구간별 인명피해 사고 발생확률을 예측하여 확률이 50% 이상일 경우 위험구간으로 평가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에 설치된 구간단속 장비를 대상으로 공학적 평가 방법론을 적용하여 속도 및 교통사고 감소 효과에 대한 정량적 분석을 수행하고, 효과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구간단속장비 설치 구간에 대한 사고예측모형 개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개발된 사고예측모형을 구간단속장비 최근 설치구간과 주요 고속도로에 적용하여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구간단속장비 설치 기준 수립을 위한 기초 및 확대 보급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에 설치된 구간단속장비를 대상으로 공학적 평가 방법론을 적용한 속도 감소 및 교통사고 감소 효과에 대한 정량적 분석을 수행하고,효과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구간단속장비 설치 구간에 대한 사고예측모형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또한 개발된 사고예측모형을 구간단속장비 최근 설치 구간과 주요 고속도로에 적용하여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구간단속장비 설치 기준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및 확대 보급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에 설치된 구간단속 장비를 대상으로 공학적 평가 방법론을 적용하여 속도 및 교통사고 감소 효과에 대한 정량적 분석을 수행하고, 효과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구간단속장비 설치 구간에 대한 사고예측모형 개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개발된 사고예측모형을 구간단속장비 최근 설치구간과 주요 고속도로에 적용하여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구간단속장비 설치 기준 수립을 위한 기초 및 확대 보급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에 설치된 구간단속장비를 대상으로 공학적 평가 방법론을 적용한 속도 감소 및 교통사고 감소 효과에 대한 정량적 분석을 수행하고,효과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구간단속장비 설치 구간에 대한 사고예측모형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또한 개발된 사고예측모형을 구간단속장비 최근 설치 구간과 주요 고속도로에 적용하여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구간단속장비 설치 기준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및 확대 보급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분석 범위는 고속도로에 설치된 구간단속장비 전체를 대상으로 설치 전⋅후 최대 3년 간의 설치 효과를 비교분석함으로써 효과 분석 결과의 신뢰성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 비교그룹방법은 분석 대상그룹과 유사한 특성을 가진 비교그룹을 선정하고, 비교그룹의 사전⋅사후 변화 비율에 의해 대상그룹의 “사후 개선사업 미시행” 시를 추정하여 그 추정치와 사후 대상그룹의 실제 사고 및 속도의 차이를 시행 효과로 판단하는 방법으로 산출식은 식(2)와 같다. 이 방법은 외부요인의 영향을 배제하고 분석이 가능하나 평균으로의 회귀와 관련된 오차가 발생할 수 있어 본 연구에서는 분석년도를 최대 3년까지 확대하여 해당 오차를 줄이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설치 기준 및 선행연구검토 결과를 토대로 사고 및 속도 관련 평가지표를 세분화하여 선정하고, 단순비교방법과 비교그룹방법을 모두 활용하여 구간단속장비의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사고 관련 평가지표는 전체사고건수, EPDO 및 인명피해사고건수를 선정하였으며, 속도 관련 평가지표는 평균속도와 제한속도 초과비율을 선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교그룹방법은 무엇인가? 비교그룹방법은 분석 대상그룹과 유사한 특성을 가진 비교그룹을 선정하고, 비교그룹의 사전⋅사후 변화 비율에 의해 대상그룹의 “사후 개선사업 미시행” 시를 추정하여 그 추정치와 사후 대상그룹의 실제 사고 및속도의 차이를 시행 효과로 판단하는 방법으로 산출식은 식(2)와 같다. 이 방법은 외부요인의 영향을 배제하고 분석이 가능하나 평균으로의 회귀와 관련된 오차가 발생할 수 있어 본 연구에서는 분석년도를 최대 3년까지 확대하여 해당 오차를 줄이고자 하였다.
국내 무인교통단속장비의 규모는 어떠한가? 국내 무인교통단속장비는 1997년 전국 32개 지점에 도입되었으며, 교통사고 발생건수 및 사망자수의 현저한 감소 효과로 확대 설치되어 2019년 5월 기준 총 8,801대를 운영 중에 있다. 이 중 2007년에 최초 도입된 구간단속장비는 현재 97개 구간에서 447대의 카메라를 운영하고 있으며, 사고감소 기여도에 비해 운영 비율이 전체 무인교통단속장비의 약 5.
무인교통단속장비 설치에 있어 문제점은 무엇인가? 이와 관련하여, 경찰청에서는 교통류 안정화, 캥거루 효과 억제 등 사고 예방효과가 큰 구간단속장비 확대 보급의 필요성을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설치 지점 선정 시 정량적 설치 기준 없이 사고다발지점을 위주로 고려하고 있으며, 다양한 설치 주체와 예산의 한계 등을 이유로 대형사고가 발생한 후에야 설치되거나 필요한 구간에 설치되지 않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어 설치 우선순위 산정 등 설치 기준 수립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Austroads, "Point-to-point Speed Enforcement", 2012. 

  2. M. Lynch, M. White and R.Napier, "Investigation into the Use of Point-to-Point Speed Cameras", NZ Transport Agency Research Report, No. 465, 2011. 

  3. TSO of UK, "Handbook of Rules and Guidance for the National Safety Camera Programme for England and Wales for 2005/06", 2004. 

  4. TSO of UK, "Use of Speed and Red-Light Cameras for Traffic Enforcement : Guidance on Deployment, Visibility and Signing", 2007. 

  5. Norwegian Public Roads Administration, "Automatic Section Speed Control", 2011. 

  6. A. Montella, B. Persaud, M. D'Apuzzo and L. Imbriani, "Safety Evaluation of Automated Section Speed Enforcement System",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 TRB., Vol. 2281, pp. 16-25, 2012. 

  7. I. S. Yun, "Study of the Effect of the Point-to-Point Speed Enforcement System Using a Comparison-Group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oad Engineers, Vol. 13, No. 4, pp. 177-185, 2011. 

  8. NSW Government, "Annual NSW Speed Camera Performance Review", 2012. 

  9. Y. I. Jung, T. H. Baek, Y. H. Kim and B. H. Park, "Traffic Accident Reduction Effects of Section Speed Enforcement System(SSES) Operation in Freeways", J. Korean Soc. Transp., Vol. 32, No. 2, pp.119-129, 2014. 

  10. E. Cascetta, V. Punzo and M. Montanino, "Empirical Analysis of Effects of Automated Section Speed Enforcement System on Traffic Flow at Freeway Bottleneck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 TRB., Vol. 2260, pp. 83-93, 2011. 

  11. H. W. Lee, D. H. Joo, C. S. Hyun, J. H. Jung, B. H. Park and C. K. Lee, "A Study on the Analysis for the Effects of the Section Speed Enforcement System at the Misiryeong Tunnel Section", J. Korea Inst. Intell. Transp. Syst., Vol. 12, No. 3, pp. 11-18, 2013. 

  12. J. J. Park, Y. M. Lee, J. B. Park and J. K. Kang, "The Effect of Point to Point Speed Enforcement System on Traffic Flow Characteristics", J. Korean Soc. Transp., Vol. 26, No. 3, pp. 85-95, 2008. 

  13. D. M. Lee, D. H. Kim and K. S. Song, "Analysis of Effects from Traffic Safety Improvement on Roadways using C-G Method", J. Korean Soc. Transp., Vol. 29, No. 3, pp. 31-40, 2011. 

  14. J. H. Kim, K. H. Kim, J. W. Kim and S. B. Lee, "Estimation of Accident Effectiveness Based Upon the Location of Traffic Signal Using C-G Method", J. Korean Soc. Civ. Eng., Vol. 28, No. 6, pp. 775-789, 200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