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도성 페이스트 도포량 변화에 따른 결정질 태양광 모듈의 전기적 특성에 대한 영향성 분석
Influence of the Amount of Conductive Paste on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c-Si Photovoltaic Module 원문보기

한국재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v.29 no.11, 2019년, pp.720 - 726  

김용성 (충남대학교 에너지과학기술대학원) ,  임종록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신.재생에너지 연구소 태양광 연구실) ,  신우균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신.재생에너지 연구소 태양광 연구실) ,  고석환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신.재생에너지 연구소 태양광 연구실) ,  주영철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신.재생에너지 연구소 태양광 연구실) ,  황혜미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신.재생에너지 연구소 태양광 연구실) ,  장효식 (충남대학교 에너지과학기술대학원) ,  강기환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신.재생에너지 연구소 태양광 연구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research on cost reduction and efficiency improvement of crystalline silicon(c-Si) photovoltaic(PV) module has been conducted. In order to reduce costs, the thickness of solar cell wafers is becoming thinner. If the thickness of the wafer is reduced, cracking of wafer may occur in high te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은 박형 결정질 실리콘 태양광 모듈의 제조공정 중 하나인 저온 태빙 공정에 이용하는 전도성 페이스트 도포량에 대한 연구이다. 도포량은 디스펜서의 속도만을 조절하였고 도포량에 따른 모듈을 제작하였다.
  • 본 실험은 도포량 변화에 따라서 표면 단차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이다. 알파스텝(KP-10 SURFACE PROFILER)은 바늘로 시료 표면을 긁어 단차를 전기적 시그널로 증폭하여 기록, 측정하는 장비로 시료의 단면의 형태, 폭을 확인할 수 있다.
  • 또한 도포량이 적을 경우에는 소도포로 인해 리본과 태양전지의 접합 문제가 발생하며, 이로 인해 전기적 결합의 문제가 발생하여 직렬 저항이 증가할 가능성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전도성 페이스트의 최적 도포량을 위한 연구를 진행 하였다. 먼저 디스펜서(dispenser)의 도포 속도와 도포량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도포량에 따른 출력 특성을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이 과정에서 박형 태양전지와 리본의 열 팽창계수 차이로 미세 균열이 생기거나 기존 미세 균열이 커지는 현상이 발생한다.8) 미세 균열이 생기면 태양전지의 전류가 낮아져서 태양광모듈 출력의 손실이 발생한다. 박형 태양전지를 태빙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고온 납땜 공정 과정을 생략하고 적층(lamination)만으로 태양전지와 리본을 결합시키는 저온 태빙 공정이 제안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반적인 결정질 실리콘 태양광 모듈 공정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박형 태양전지는 결정질 실리콘 웨이퍼의 두께가 얇 기 때문에 기계 강도가 약하며, 이로 인해 태빙(tabbing) 공정에서 미세 균열(micro crack)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일반적인 결정질 실리콘 태양광 모듈 공정은 셀 등 급 분류(cell sorting), 셀 납땜 및 직결연결(tabbing & string), 모듈 시트 적층(lay-up), 적층 및 큐어링(lamination & curing), 프레임 및 단자박스 조립(assembly), 모듈 출하시험(module testing)로 이루어지는데, 7) 이중 셀 납땜 및 직렬연결(tabbing & string) 공정은 태양전 지에 플럭스를 도포한 후에 리본을 올리고 고온으로 납 땜하여 태양전지를 서로 직렬로 연결한다. 이 과정에 서 박형 태양전지와 리본의 열 팽창계수 차이로 미세 균열이 생기거나 기존 미세 균열이 커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전세계의 모든 재생 가능 에너지 기술로 무엇이 있는가? 재생에너지는 무공해하고 고갈될 염려가 없으며, 화석 연료와 원자력을 대체할 수 있는 에너지이다. 전세계의 모든 재생 가능 에너지 기술로는 바이오 연료, 태양열, 태양광, 풍력, 수력, 파도, 조력, 지열 등이 있으며, 1) 그 중 태양광 발전은 2015년 약 63 GW, 2016년 약 82 GW, 2017년 98 GW로 연간 설치되는 양이 증가하고 있다. 2)
결정질 실리콘 태양광 모듈 공정 중에서 이중 셀 납땜 및 직렬연결 공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무엇인가? 일반적인 결정질 실리콘 태양광 모듈 공정은 셀 등 급 분류(cell sorting), 셀 납땜 및 직결연결(tabbing & string), 모듈 시트 적층(lay-up), 적층 및 큐어링(lamination & curing), 프레임 및 단자박스 조립(assembly), 모듈 출하시험(module testing)로 이루어지는데, 7) 이중 셀 납땜 및 직렬연결(tabbing & string) 공정은 태양전 지에 플럭스를 도포한 후에 리본을 올리고 고온으로 납 땜하여 태양전지를 서로 직렬로 연결한다. 이 과정에 서 박형 태양전지와 리본의 열 팽창계수 차이로 미세 균열이 생기거나 기존 미세 균열이 커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8) 미세 균열이 생기면 태양전지의 전류가 낮아 져서 태양광모듈 출력의 손실이 발생한다. 박형 태양 전지를 태빙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고온 납땜 공정 과 정을 생략하고 적층(lamination)만으로 태양전지와 리본 을 결합시키는 저온 태빙 공정이 제안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J. Twidel, T. Weir, Renewable Energy Resources, 3rd, p. 36, Routledge (2015). 

  2. S. Philipps and W. Warmuth, Photovoltaics Report 2019, Fraunhofer Institute for Solar Energy Systems, Freiburg, Germany (2019). 

  3. M. Fischer, ITRPV 9th edition 2018 report release and key findings, PV Celltech Conference, Penang, Malaysia (2018). 

  4. J. Song, Y. Nam, M. Park, B. Yoo, J. Cho and R. B. Wehrspohn, Opt. Express, 24, 18 (2016). 

  5. J. H. Petermann, D. Zielke, J. Schmidt, F. Haase, E. G. Rojas and R. Brendel, Prog. Photovolt. Res. Appl., 20, 1 (2012). 

  6. L. Wang, A. Lochtefeld, J. Han, A. P. Gerger, M. Carroll, J. Ji, A. Lennon, H. Li, R. Opila and A. Barnett, IEEE J. Photovoltaics, 4, 1397 (2014). 

  7. G. H. Kang, G. J. Yu, K. U. Park, D. Y. Han and H. K. Ahn, KIEE, p. 1365-1367 (2003) 

  8. A. M. Gabor, M. Ralli, S. Montminy, L. Alegria, C. Bordonaro, J. Woods, L. Felton, 21st European Photovoltaic Solar Energy Conference, p. 4-8 (2006). 

  9. G. E. Jin, H. J. Song, S. W. Go, Y. C Ju, H. E. Song, H. S. Chang and G. H Kang, KSES, 37, 77 (2017). 

  10. H. S. Yoon, H. J. Song, M. G. Kang, H. S. Cho, S. W. Go, Y. C. Ju, H. S. Chang and G. H. Kang, KJMR, 28, 528 (201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