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항만도시 도심재생을 위한 수변공간재활성화사업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Waterfront Revitalization Project for the Downtown Regeneration in Harbor City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11, 2019년, pp.309 - 320  

최강림 (경성대학교 건축디자인학부)

초록

항만과 성쇠를 함께 해 온 항만도시의 도심재생에 있어서 수변공간재활성화의 중요성은 세계적인 추세이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항만도시 도심재생을 위한 수변공간재활성화사업에 있어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친수공간의 공공성과 도심과의 연계에서 대표적 성공사례라고 할 수 있는 시드니 '달링하버'와 보스턴 '로즈 케네디 그린웨이'를 대상으로 이론적 고찰과 사례분석을 진행하였다. 사례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토지이용에 있어서는 공공성과 다양한 체험을 제공하는 여가 위락을 위한 건축물과 시설을 조성하고 역사문화유산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둘째, 친수공간조성에 있어서는 수변보행로와 공원 광장 녹지 등 다양한 규모와 성격의 오픈스페이스와 가로시설물을 조성하였다. 셋째, 도심연계에 있어서는 보행 및 도시경관 차원에서 도심과 수변공간의 적극적인 연계가 이루어졌고, 이를 통한 도심과 수변공간의 상승작용을 유도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aterfront revitalization is an important issue for the downtown regeneration of harbor c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implications for waterfront revitalization project to regenerate the downtown of harbor city.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case studies were conducted on Darling ...

주제어

표/그림 (1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현재 국내에서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항만도시의 도심재생을 위한 도시수변공간재활성화사업에있어서 계획방향 및 지침수립 등에 필요한 방법론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친수공간의 공공성과 배후 도심과의연계에 있어서 대표적 성공사례라고 할 수 있는 시드니 ‘달링하버’와 보스턴 ‘로즈 케네디 그린웨이’를 대상으로이론적 고찰과 사례분석을 진행하였다.
  •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도시전체의 발전 및 도심재생을 위한 항만 수변공간재활성화를 성공적으로 거둔 사례로서, 특히 친수공간의 공공성과 배후 도심과의 연계를 위하여 노력한 국외 선진사례를 분석하여 향후 국내 항만도시의 도심재생을 위한 수변공간재활성화사업에 있어서 계획방향 및 지침수립 등에 필요한 방법론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외 수변도시재생의 과정과 계획요소의 특징은 무엇인가? 국외 수변도시재생의 과정은 장기간에 걸쳐 유연한 계획을 수립하여 도시변화에 대응하고 있으며, 계획요소는 수변이라는 매력적인 요소를 최대한 활용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을 적용하는데, 접근성 및 이용성 강화를 위하여 보행로, 공공공간 확보, 앵커시설 등을 조성하고 있다[3]. 즉, 그 지역 고유의 자원을 활용한[14] 항만수변의 공공디자인 계획방향으로서, 수변으로의 접근성을 적극적으로 확보하고 친수공간을 조성하여 광장과 녹지공원 등 오픈스페이스(open space)와 에스플러나드(esplanade)를 전시‧콘서트‧예술교육 프로그램 등 이벤트 장소로 활용하며, 도심과 항만수변지역을 적극적으로 연계하고 주거‧직장‧여가를 위한 친수공간을 조성하여 경제성장과 도시활성화‧고용‧인구증가‧거주기능 등 경제적‧사회적 측면을 포함한다[15].
국외 수변도시재생의 특징은 무엇인가? 국외 수변도시재생의 과정은 장기간에 걸쳐 유연한 계획을 수립하여 도시변화에 대응하고 있으며, 계획요소는 수변이라는 매력적인 요소를 최대한 활용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을 적용하는데, 접근성 및 이용성 강화를 위하여 보행로, 공공공간 확보, 앵커시설 등을 조성하고 있다[3]. 즉, 그 지역 고유의 자원을 활용한[14] 항만수변의 공공디자인 계획방향으로서, 수변으로의 접근성을 적극적으로 확보하고 친수공간을 조성하여 광장과 녹지공원 등 오픈스페이스(open space)와 에스플러나드(esplanade)를 전시‧콘서트‧예술교육 프로그램 등 이벤트 장소로 활용하며, 도심과 항만수변지역을 적극적으로 연계하고 주거‧직장‧여가를 위한 친수공간을 조성하여 경제성장과 도시활성화‧고용‧인구증가‧거주기능 등 경제적‧사회적 측면을 포함한다[15].
항만이란 무엇인가? ‘항만’이란 관련법2)’에 의하면, 선박의 출입, 사람의 승선‧하선, 화물의 하역‧보관 및 처리, 해양친수활동 등을 위한 시설과 화물의 조립‧가공‧포장‧제조 등 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시설이 갖추어진 곳을 말한다. 즉, 선박이 안전하게 출입하고 정박할 수 있도록 자연적‧인공적으로 보호되어 여객을 승‧하선시키고 화물‧우편물 등을 적양하는 장소를 가리킨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H. C. Lee. (2016). The Study on Factors Successful Urban Regeneration -Compared the Relative Importance between External and Internal Factor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8), 195-201. 

  2. J. G. Ahn & M. S. Park. (2010). A Study on the Urban Regeneration for the City of Shipping Industry - Focusing on Geoje City.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45(1), 101-110. 

  3. J. H. Lee, Y. R. Kim & D. H. Park. (2016. January). Cases and Suggestions of Abroad Waterfront Regeneration Planning and Policy, 411, 90-97. 

  4. Y. B. Im. (2005). A Study in the Urban Development Policy in the U.S. - Focused on Revitalization of the Downtown Atra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1(12), 247-254. 

  5. H. Smith & M. S. G. Ferrari. (2012). Waterfront Regeneration. New York : Routledge. 

  6. M. S. Kim, H. S. Kim, H. S. Min & J. S. Lee. (2010). A Study on Urban Design Criteria and their Weights in Urban Waterfront Regeneration-Focused on Han River Renaissance Projects-.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26(2), 87-105. 

  7. K. A. Robertson. (1995). Downtown redevelopment Strategies in the Unites States : an end-of-the-century.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61(4), 429-437. 

  8. Y. K. Lee, S. H. Lee & Y. T. Cho. (2018). A Study on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t Waterfront Areas in Korea _ Focusing on the Revitalization Plan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during 2016 and 2017.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Urban Design, 19(6), 111-130. 

  9. M. K. Kim & J. H. Lee. (2009).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Design for Renewal of New York Manhattan Waterfront for Downtown Revitalizatio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5(4), 45-54. 

  10. R. Marshall. (2007). Waterfronts in Post-Industrial Cities. New York : Spon Press. 

  11. G. S. Jeong, Y. Kim & I. J Seo. (2011). Comparative Analysis of Urban Regeneration Case Cities through Waterfront Regeneration. Journal of the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24(4), 267-298. 

  12. H. N. Kim. (2019. 6. 26). Start Rundown Harbor Redevelopment Projects. Hankyung. www.hankyung.com/print/201906269377e 

  13. Y. T. Lim & Y. T. Lim. (2013. August). Direction of Urban Regeneration in Harbor Area. KRIHS(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 Policy Brief, 433, 1-6. 

  14. J. S. Park. (2018).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torytelling for Culture and Tourism Market Development.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6), 367-374. 

  15. K. J. Lee. (2013). A Direction of Planning Public Design on the Harbour and Waterfront -A Case Study on Hamburg and Cardiff Bay Wale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9(2), 55-64. 

  16. Y. T. Leem & Y. T. Lim. (2013). Policy Directions for Urban regeneration in Harbour area : Focused on Busan North Port Regeneration Project.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48(6), 411-425. 

  17. Y. T. Lim & J. Y. Ryu. (2009. December). Alternative Strategy for Co-Development of Harbors and Cities. KRIHS(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 Policy Brief, 258, 1-8. 

  18. K. S. Kim. (2017. April). A Study on the Villagization of Urban Regeneration with Connection between Bujeon-cheon, Dong-cheon and Buk-hang. Busan Development Forum, 164, 97-98. 

  19. S. J. Hong & S. I. Kim. (2016). Policy case study for urban waterfront regeneration -Focused on Han River management foundation plan and London Thames gateway regeneration projec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8), 479-485. 

  20. S. H. Jung. (2003. July). Abroad Cases and Suggestions of Urban Waterfront Development. KRIHS(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 Policy Brief, 24, 1-4. 

  21. H. C. Kim, H. W. Lee & K. H. Ahn. (2013). Planning Characteristics and Spatial Strategies of Abroad Waterfront Developments by Scale Types of Regional, Urban, and Local levels - Focusing on Clyde Waterfront, Hafen City, Battery Park City.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Urban Design, 14(2), 81-98. 

  22. S. W. Cho & D. H. Song. (2012). Application of the Planning Factors on Urban Waterfront for Composition of the Landscape Characteristics - With Special Emphasis on the Urban Waterfront Development of the Domestic and Overseas Cases -.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Urban Design, 13(6), 103-117. 

  23. J. A. Park, H. C. Lee & M. K. Ha. (2009). A Study on Space Factors of the Waterfront Area for Urban Regeneratio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5(11), 141-148. 

  24. Y. S. Kwon. (2016). Waterfront as a Recreational Place. Review of Architecture and Building Science, 61(1), 29-33. 

  25. K. J. Lee. (2015). A Direction of Waterfront Design in Boston Harbor for the Public.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31(2), 99-110. 

  26. J. H. Jeon & K. J. Lee. (2015). A Direction of Urban Planning on the Waterfront for Public through Corresponding with Climate Change - A Case Study on the Design Competition in New York and Boston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31(11), 39-50. 

  27. S. H. Lee, D. H. Shim & D. W. Lee. (2016). Actual Cases of Internet of Thing on Smart City Industry. Journal of Convergence Society for SMB, 6(4), 65-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