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 예비교사들의 '배추흰나비 한살이' 탐구에서 나타난 지식변환 유형 탐색
A Study on Knowledge Conversion Types i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nquiring 'The Life Cycle of Cabbage Butterfly'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38 no.4, 2019년, pp.484 - 495  

김동렬 (대구교육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ivided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knowledge conversion into four types, socialization, externalization, combination and internalization, based on their inquiry activities on the life cycle of cabbage butterfly. As research subjects, this study collected results from 24 pre-s...

주제어

표/그림 (10)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암묵지란 무엇인가? 즉, 언어를 통해 전달될 수 없거나 표현할 수 없는 암묵지(tacit knowledge)가 존재한다(Nonaka & Konno,1998). 암묵지는 겉으로 드러나지 않으며 개인들에게 내재되어 있어 언젠가 관련 일을 수행할 때 도움이 되는 작용을 하거나 자신도 모르게 적용되는 경험화 된 지식을 말한다(Hast, 2017; Howe et al., 2003).
암묵지와 형식지는 어떻게 체득할 수 있는가? 암묵지와 형식지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체득할 수 있으며, 암묵지와 형식지의 상호작용은 본질적으로 사회적인 프로세스로 이러한 상호작용은 집단이라는 장에서 개인들의 상호작용이 전제가 된다(Na, 1998). 이러한 맥락에서 어떠한 지식변환의 유형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모둠(그룹)활동을 통해 지식변환의 유형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
한 사람의 지식을 평가할 때 형식지만으로 평가를 하면 암묵지를 놓치는 이유는? 형식지는 지식을 전달하기 위한 형태로 어느 정도 객관화되어 있으며, 밖으로 표출되는 지식이므로 형식화되었거나 검증된 지식일 가능성이 높다. 즉, 암묵지는 내재되어 있는 기술이나 경험이며, 형식지는 교과서나 지도서에 있는 실험방법에 관한 매뉴얼이다. 쉽게 말하면, 빙산에서 겉으로 드러나 있는 것이 형식지이며, 바닷속에 들어가 있는 몸체가 암묵지로 표현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n, H. (2009). Polanyi's theory of integrated curriculum. Seoul: Wonmisa. 

  2. Choi, Y., Yang, J. & Hong, S. (2016). The effects of smart media based STEAM program of "chicken life cycle" on academic achievement, scientific process skills and affective domai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5(2), 166-180. 

  3. Hast, M. (2017). Technology and early science education: Examing generalist primary school teachers’ views on tacit knowledge assessment tools. International Education Studies, 10(11), 135-147. 

  4. Howe, C., Devine, A. & Taylor-Tavares, J. (2013). Supporting conceptual change in school science: A possible role for tacit understand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5(5), 864-883. 

  5. Kim, D. (2014). A study on difficulties experienced by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carrying out a research on "the life cycle of a common cabbage butterfly".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3(2), 306-321. 

  6. Kim, M. (2003). Narrative natures of science teaching based on Polanyi's epistemolog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7. Kim, M. & Kim, B. (2003). Focused on Michael Polanyi’s epistemology A study on the objectivity of scientific knowledg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3(1), 100-116. 

  8. Kim, S., Lim, C., Kim, S. & Hong, J. (2016). Effects of a brain-based evolutionary approach using rapid-cycling brassica rapa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erests in life cycle of plant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5(3), 336-347. 

  9. Lee, M. (2014). A study on tacit knowledg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orking as an artist in elementary art educ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0. Lee, M. & Jang, W. (2004). Knowledge-information society and digital contents. Gwangju: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ress. 

  11. Lofgren, R., Schoultz, J., Hultman, G. & Bjorklund, L. (2013). Exploratory talk in science education: Inquirybased learning and communicative approach in primary school. Journal of Baltic Science Education, 12(4), 482-496. 

  12. Na, S. (1988). Knowledge management. Seoul: Book21. 

  13. Nonaka, I. & Konno, N. (1998). The concept of "ba": Building a foundation for knowledge creation.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40(3), 40-54. 

  14. Nonaka, I. & Takeuchi, H. (1995). The knowledge-creating company. How Japanese companies create the dynamics of innov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15. Nonaka, I., Toyama, R. & Konno, N. (2000). SECL, ba and leadership: A unified model of dynamic knowledge creation. Long Range Planning, 33(1), 5-34. 

  16. Polanyi, M. (1958). Personal knowledge: Towards a postcritical philosoph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17. Takala, T. (2008). Tacit and explicit knowledge from the point of learning processes sketching critical approach. Problems and Perspectives in Management, 6(3), 64-74. 

  18. Yoon, S. (2011). The effect of the tacit knowledge and customer orientation on the sales performa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oongsil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