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적 지식 탐색 과정에서 초등학생들의 인식적 정서와 이를 이끄는 인지적 평가 요인 탐색
Exploring the Epistemic Emotions of Elementary-School Students and the Cognitive Appraisal Factors Leading Their Emotions in the Process of Scientific Knowledge Exploration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38 no.4, 2019년, pp.496 - 509  

허민아 (안산슬기초등학교) ,  오필석 (경인교육대학교) ,  한문현 (부천초등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plores the types of epistemic emotions that elementary-school students experience in science classes and the cognitive appraisal factors that affect these emotions. Thirty-two fourth-grade students of an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do, South Korea, participated in 20 science periods a...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우리는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하여 전반적인 과학 수업에서 나타나는 인식적 정서의 종류는 무엇이며, 그러한 인식적 정서를 경험하도록 이끄는 인지적 평가 요인들은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를 질적으로 탐색하고자 한다.
  • 이를 통해 그들이 경험한 인식적 정서들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으며, 이 정서에 영향을 미친 인지적 평가 요인들이 무엇이었는지를 파악하였다. 그리고 정서 일지 및 사후 면담 자료를 검토하면서 연구자가 이해하기 어렵거나 추가 정보가 필요한 경우 반복해서 면담하여 학생들의 인식적 정서 및 인지적 평가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과학 수업 전반에 걸쳐 초등학생들이 경험하는 인식적 정서의 종류를 탐색하고자 최대한 많은 차시의 수업들을 포함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총 20차시에 해당하는 과학 수업에서 하위 범주인 운동과에너지, 물질, 생명 영역을 포함하는 수업들로부터 학생들이 어떠한 인식적 정서를 경험하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학생들이 참여한 과학 수업들은 다음과 같다(Table 1).
  • 본 연구에서 학생들은 정서 일지에서 과학 수업에서 경험한 인식적 정서가 무엇인지를 표현하고, 어떠한 이유에서 그러한 정서를 경험하게 되었는 지를 기록하였다. 학생들의 인식적 정서 파악을 위한 정서 일지 작성 절차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졌다.
  • 본 연구에서는 과학 수업 전반에 걸쳐 초등학생들이 경험하는 인식적 정서의 종류를 탐색하고자 최대한 많은 차시의 수업들을 포함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총 20차시에 해당하는 과학 수업에서 하위 범주인 운동과에너지, 물질, 생명 영역을 포함하는 수업들로부터 학생들이 어떠한 인식적 정서를 경험하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세 단계에 걸쳐 과학 수업에서 학생들이 경험한 인식적 정서를 분석하였다. 첫 번째, 선행 연구에서 인식적 정서를 다룬 연구들을 고찰하여 인식적 정서를 범주화하기 위한 참조 자료를 만들었다.
  • , Han & Kim, 2017, 2018; Kim & Kim, 2013). 본 연구에서는 이를 통해 얻은 지식을 바탕으로 과학 수업에서 학생들이 경험한 인식적 정서가 어떠한 종류인지를 범주화하는데 사용할 참조 자료를 만들었다.
  • 본 연구에서는 인식적 실행을 포함하는 전반적인 과학 수업에서 초등학생들이 어떠한 인식적 정서를 경험하고, 이러한 인식적 정서에 바탕이 되는 인지적 평가 요인들은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를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생들은 긍정적인 인식적 정서로 재미있음, ‘아하’ 정서, 신기함, 만족, 호기심, 성공감, 친숙함, 설명할 수 있음, 자기 주도감, 자신감을 경험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경험하는 인식적 정서의 종류 및 인식적 정서의 기반이 되는 인지적 평가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탐색하기 위한 두 종류의 질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첫째, 매 차시 과학 수업의 막바지 때 학생들이 작성한 정서 일지이다(Fig.
  • , 2015). 우리는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들이 경험하는 인식적 정서가 인지적, 사회적으로 구성될 수 있음을 논의하고자 한다. 먼저 과학 수업 전반에 걸쳐 초등학생이 경험하는 인식적 정서는 인지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 그렇다면 이렇게 학생들이 부정적인 인식적 정서를 잦은 빈도로 경험하고 있는 것을 교사가 잘못 지도한 것으로 볼 수 있는가? 우리는 이에 대한 단서를 과학자들의 실행에서 찾고자 한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과학자들은 서로의 아이디어에 동의하지 않아 힘듦을 느끼기도하고(Plantin, 2004), 자신 이 틀렸을 것 같다는 부정적 정서를 경험하기도 한 다(Arango-Muñoz & Michaelian, 2014).
  • 우리는 정서 일지 및 사후 면담 자료를 분석하여 학생들이 과학 수업에서 경험하는 인식적 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적 평가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들의 인식적 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크게 7가지 범주로 나누어질 수 있으며, 이는 교과 지식, 실험 재료, 실험 내용, 자기 자신, 친구, 교사, 복합적 요인이었다(Table 4).
  • 두 번째, 각각의 과학 수업 이후에 진행된 학생들과의 사후 면담이었다. 이를 통해 그들이 경험한 인식적 정서들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으며, 이 정서에 영향을 미친 인지적 평가 요인들이 무엇이었는지를 파악하였다. 그리고 정서 일지 및 사후 면담 자료를 검토하면서 연구자가 이해하기 어렵거나 추가 정보가 필요한 경우 반복해서 면담하여 학생들의 인식적 정서 및 인지적 평가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우리는 학생들의 정서 일지에서 이를 뒷받침하는 여러 경험적 증거들을 확인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학생들의 정서 일지 예시를 통해 살펴보자.
  • 마지막으로 이렇게 정교화된 연구 결과는 다 시 현장 교사 2인(현장 과학교육 경력 각각 4, 10년 및 모두 과학교육 박사 과정)의 검토를 받았고, 우리는 그들의 제안을 받아들여 연구 결과를 수정하였다. 한편, 본 연구는 질적 연구로서 특정 이론의 일반화를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과학 수업 전반에 걸쳐 학생들이 경험하는 인식적 정서들이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인식적 정서의 다양함을 이해하는 데 있으며, 또한 과학 수업에서 경험하는 학생들의 인식적 정서에 관한 후속 연구 기반을 만드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가설 설정

  • 2) 과학 수업에서 학생들이 부정적인 인식적 정서를 경험하는 것은 불가피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취 정서에 초점을 두었을 때 나타난 한계점은? , 2007), 이를테면 학생들은 인지적 과제를 달성하지 못하여 부정적 정서 중 하나인 좌절감을 느낄 수도 있고, 과제 수행을 달성하게 되면서 긍정적 정서 중 하나인 즐거움을 느낄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성취 정서 연구는 학생들이 과학 수업 중 인지적 과제를 달성해야 하는 맥락에서 경험할 수 있는 여러 성취 정서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였지만, 지식 탐색, 평가, 수정 과정에 초점을 두었을 때 경험하는 정서, 이를테면 인지적 비평형 상황에서 경험하는 힘듦과 같은 정서 이해를 제공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Brun et al., 2008; Pekrun et al.
인식적 정서란? , Han & Kim, 2017; Jaber & Hammer, 2016; Yoo & Oh, 2016). 인식적 정서는 학습자의 지식 탐색 맥락, 이를테면 학습자의 기존 정보와 새로운 정보 사이의 인지적 비평형이 발생하는 맥락에서 경험하게 되는 긍정적, 부정적 정서들을 일컬으며(Arango-Muñoz, 2014; Muis et al., 2018), 인지적 평가(cognitive appraisal) 요인을 기반으로 생성되는(Pekrun, 2006) 인지적인 성향이 강한 정서라고 알려져 있다(Muis et al., 2018).
인식적 정서에 바탕이 되는 요인을 7가지로 범주화하면? 예를 들어, 학생들의 정서 일지에서 그들이 인식적 정서를 느낀 이유(즉, 인지적 평가 요인)를 설명하는 단어가 ‘○○가’, ‘친구’, ‘우리 모둠’, ‘애들’이었다면 인식적 정서 평가 요인을 친구로 범주화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인식적 정서의 인지적 평가 원인을 교과 지식, 실험 내용, 실험 재료, 자기 자신, 친구, 교사, 복합적 원인 (총 7가지)으로 귀납적으로 범주화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Arango-Munoz, S. (2014). The nature of epistemic feelings. Philosophical Psychology, 27(2), 193-211. 

  2. Arango-Munoz, S. & Michaelian, K. (2014). Epistemic feelings, epistemic emotions: Review and introduction to the focus section. Philosophical Inquiries, 2/1, 97-122. 

  3. Bellocchi, A., Ritchie, S. M., Tobin, K., King, D., Sandhu, M. & Henderson, S. (2014). Emotional climate and high quality learning experiences in science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51(10), 1301-1325. 

  4. Bendixen, L. D. (2002). A process model of epistemic belief change. In Hofer, B. K. & Pintrich, P. (Eds.), Personal epistemology: The psychology of beliefs about knowledge and knowing (pp. 191-208). Mahwah, NJ: Erlbaum. 

  5. Brun, G. & Kuenzle, D. (2008). A new role for emotions in epistemology? In Brun, G., Doguoglu, U. & Kuenzle, D. (Eds.), Epistemology and emotions (pp. 1-32). Aldershot, UK: Ashgate. 

  6. Brun, G., Doguoglu, U. & Kuenzle, D. (Eds.). (2008). Epistemology and emotions. Aldershot, UK: Ashgate. 

  7. Chen, Y.-C., Benus, M. J. & Hernandez, J. (2019). Managing uncertainty in science argumentation. Science Education, 103(5), 1235-1276. doi:10.1002/sce.21527 

  8. Chiang, W-W. & Liu, C-J. (2014). Scale of academic emotions in science education: Development and valid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6(6), 908-928. 

  9. Corbin, J. & Strauss, A. (2014).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CA, US: Sage publications. 

  10. de Sousa, R. (2008). Epistemic feelings. In Brun, G., Doguoglu, U. & Kuenzle, D. (Eds), Epistemology and emotions (pp. 185-204). Aldershot, UK: Ashgate. 

  11. Efklides, A. & Touroutoglou, A. (2010) Prospective memory failure and the metacognitive experience of "Blank in the mind". In: Efklides, A. & Misailidi, P. (Eds.), Trends and prospects in metacognition research. Boston, MA: Springer. 

  12. Foster, M. I. & Keane, M. T. (2015). Why some surprises are more surprising than others: Surprises as a metacognitive sense of explanatory difficulty. Cognitive Psychology, 81, 74-116. 

  13. Goetz, T., Frenzel, A. C., Pekrun, R., Hall, N. C. & Ludtke, O. (2007). Between and within domain relations of students’ academic emotion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9(4), 715-733. 

  14. Han, M. (2018). Role of epistemic affect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tific modeling.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5. Han, M. & Kim, H. B. (2017). Elementary students’ cognitive-emotional rebuttals in their modeling activity: Focusing on epistemic affec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Science Education, 37(1), 155-168. 

  16. Han, M. & Kim, H. B. (2018). An introverted elementary student’s construction of epistemic affect during modeling participation pattern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8(2), 171-186. 

  17. Hutchinson, E. D. (1959). How to think creatively. New York: Abington-Cokesbury Press. 

  18. Jaber, L. (2014). Affective dynamics of students' disciplinary engagement in science. (Doctoral dissertation). Tufts University, MA. 

  19. Jaber, L. Z. & Hammer, D. (2016). Learning to feel like a scientist. Science Education, 100(2), 189-220. 

  20. Kang, M. J., Hsu, M., Krajbich, I. M., Loewenstein, G., McClure, S. M., Wang, J. T. & Camerer, C. F. (2009). The wick in the candle of learning: Epistemic curiosity activates reward circuitry and enhances memory. Psychological Science, 20, 963-973. 

  21. Kim, B. N., Park, M. J., Lee, H. K., Jung, H. S. & Choi, H J. (2016). Female scientists. Seoul: Medichi Media. 

  22. Kim, D. & Kim, H. N. (2013). Analysis of science academic emotion of elementary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3(2), 444-465. 

  23. King, D., Ritchie, S. M., Sandhu, M., Henderson, S. & Borand, B. (2017). Temporality of emotion: Antecedent and successive variants of frustration when learning chemistry. Science Education, 101(4), 639-672. 

  24. King, D., Ritchie, S., Sandhu, M. & Henderson, S. (2015). Emotionally intense science activiti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7(12), 1886-1914. 

  25. Lin, Y.-R. & Hung, J.-F. (2016). The analysis and reconciliation of students’ rebuttals in argumentation activiti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8(1), 130-155. 

  26. Mangan, B. B. (2003) The conscious "fringe": Bringing William James up to date. In Baars, B. J., Banks, WP. & Newman, J. B. (eds.), Essential sources in the scientific study of consciousness (pp. 741-759). Cambridge, MA: MIT Press. 

  27. Ministry of Education (2015). 2015 Science curriculum (Notification No.2015-74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28. Muis, K. R., Chevrier, M. & Singh C. A. (2018). The role of epistemic emotions in personal epistemology and self-regulated learning. Educational Psychologist, 53(3), 165-184. 

  29. OECD (2016). PISA 2015 results in focus. Retrieved June, 2017 from https://www.oecd.org/pisa/pisa-2015-resultsin-focus.pdf. 

  30. Pekrun, R. (2006). The control-value theory of achievement emotions: Assumptions, corollaries, and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research and practice.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18(4), 315-341. 

  31. Pekrun, R., Frenzel, A., Goetz, T. & Perry, R. P. (2007). The control-value theory of achievement emotions: An integrative approach to emotions in education. In Schutz, P. A. & Pekrun, R. (Eds.), Emotions in education (pp. 13-36). San Diego, CA: Academic Press. 

  32. Pekrun, R., Vogl, E., Muis, K. R. & Sinatra, G. M. (2015). Measuring emotions during epistemic activities: The epistemically-related emotion scales. Cognition and Emotion, 31(6), 1268-1276. 

  33. Plantin, C. (2004). On the inseparability of emotion and reason in argumentation. In Weigand, E. (Ed.), Emotion in dialogic interaction (pp. 265-276). Amsterdam, the Netherlands: John Benjamins. 

  34. Ritchie, S., Hudson, P., Bellocchi, A., Henderson, S., King, D. & Tobin, K. (2015). Evolution of self-reporting methods for identifying discrete emotions in science classrooms. Cultural Studies of Science Education, 11(3), 577-593. 

  35. Schlick, M. (1934). On the foundation of knowledge. In Muller, H. L. & van de Velde-Schlick, B. (Eds.), Moritz Schlick: Philosophical papers (Vol. 2, pp. 370-387). Dordrech, The Netherlands: Reidel. 

  36. Song, J., Kang, S.-J., Kwak, Y., Kim, D., Kim, S., Na, J., Do, J.-H., Min, B., Park, S. C., Bae, S., Son, Y.-A, Son, J. W., Oh, P. S., Lee, J.-K., Ihm, H., Jeong, D. H., Joung, Y. J. & Joung, J. (2018). A development of Korean science education standards (KSES) for the next generation. Seoul: KOFAC. 

  37. Thompson, V. A., Turner, J. A. P. & Pennycook, G. (2011). Intuition, reason, and metacognition. Cognitive Psychology, 63(3), 107-140. 

  38. Tiedens, L. Z. & Linton, S. (2001). Judgment under emotional certainty and uncertainty: The effects of specific emotions on information process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1, 973-988. 

  39. Tobin, K., Ritchie, S. M., Oakley, J. L., Mergard, V. & Hudson, P. (2013).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climate and the fluency of classroom interactions. Learning Environments Research, 16(1), 71-89. 

  40. Tomas, L., Rigano, D. & Ritchie, S. M. (2016). Students’ regulation of their emotions in a science classroom.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53(2), 234-260. 

  41. Trout, J. D. (2007). The psychology of scientific explanation. Philosophy Compass, 2(3), 564-591. 

  42. Tuan, H. L., Chin, C. C. & Shieh, S. H. (2005). The development of a questionnaire for assessing students’ motivation toward science lear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7(6), 639-654. 

  43. Yoo, Y. J. & Oh, P. S. (2016). Effects of modeling-based science inquiry instruction on elementary students’ learning in the unit of seasonal change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5(2), 265-27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