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대구시 자동심장충격기 공간분포 특성에 따른 공공 거점후보지 선정 연구
A study on the selection of candidates for public bases according to the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in Daegu City 원문보기

한국측량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38 no.6, 2020년, pp.599 - 610  

백승렬 (Dept. of Convergence & Fusion System Engineer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김준현 (Dept. of Geograph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자동심장충격기(AE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는 건물 또는 특정 영역 내에 위치함에도 공간적 정확성 및 시간적 가용성에 대한 평가가 이뤄지지 않음으로 이에 대한 공간분석 입지 할당 분석을 통한 구획이 필요하다. 분석결과 기설치 AED공공데이터를 활용한 공간분석을 실시하고 GIS 입지분석 방법을 적용, 지역 주거특성에 맞는 365일 24시간 운용이 가능한 공공기관(119안전센터, 파출소(지서))을 공공 AED 거점후보지로 선정하고 후보지별 티센폴리곤을 생성, 권역별 구획을 실시하였다. AED 특성을 고려한 응급의료서비스 접근성 측면의 서비스권역 분석에서 연구지역 주요지역 대부분 응급의료 필요시간 4분내에 긴급차량이 도착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도심 외곽지는 이에 못 미치는 양상이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야간, 주말시간대의 AED 환자 대응을 위해 공공기관 차량 중심의 AED 거점 서비스센터 운영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고 공공기관 AED 서비스센터 구축을 위한 대구시 관할 119안전센터, 지구대(파출소)에 대한 위치기반 거리, 속성 분석, 중복 지역 최소화 등으로 기존 도보 방식의 AED 이용보다 차량을 이용하는 방법이 더 효율적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E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is not evaluated for spatial accuracy and temporal availability even if it is located within a building or a specific area that needed necessary to partition by spatial analysis and location allocat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patial anal...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양상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다중이용객이 많은 연구지 역주요 산지(팔공산, 앞산 등) 및 도시 인근 농촌 지역 15곳을 신규 AED 거점서비스센터로 지정함으로써 긴급차량의 이동 거리 및 시간을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이 중 선별 AED 거점 공공기관(119안전센터 및 경찰 지구대(파출소))은 24시간 운영 기기의 증가 폭은 낮으나 AED 환자에 대한 공간 전달 영역의 확대 및 시간 단축 측면에 적절한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본 연구는 AED 긴급전달방식에 있어 공공기관(119안전센터 등) 중심의 차량 전달체계 방식을 제안하였고, 이러한 공공기관 설치를 위한 거점서비스 센터 또는 적절한 공공기관의 위치 선정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한 기준이 된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차량 전달체계 방식중심의 공공기관시설 설치를 위한 선정기준은 정부 공공시설 배치 기준을 적용하였다.
  • 이 중 차량 설치는 총 27대이며 119 안전센터(5), 보건소(4), 교도소(1)이며 나머지 21대는 일반병원 구급 차량에 설치운용 중이며 구군별 분포를 살펴보면 남구(0), 중구(2), 달서구(1), 달성군(5), 동구(18), 북구(3), 서구(2), 수성구(0)가 이용 가능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공공기관 차량을 이용한 AED 전달방안을 제시하는 것으로 각 구군별 119안전센터를 거점서비스센터로 지정한다. 현재 각 구군별 119 안전센터를 살펴보면 남구(3), 중구(4), 달서구(7), 달성군 (6), 동구(6), 북구(11), 서구(4), 수성구(7) 총 48곳으로 조사되었다.
  • 본 연구는 신속한 AED 전달을 위해 기존 도보 전달 방식이 아닌, 차량을 이용한 전달 방식의 연구로서 효율성 증대를 위해 적정 AED 거점서비스 센터를 선정하고 운행 구역 구획 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공간 최적화에 맞춘 공간적인 상관성을 고려한 최적 위치를 선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시설물 입지선정 문제(facility location problem)와 선거지역 구획 등에 사용하는 지역경계 구분 문제(districting problem) 개념을 적용하고, QGIS DBSCAN기능을 이용하여 거점 센터 간의 군집화를 진행하고 공공AED 거점센터 최소반경 1.
  • 본 연구에서는 법적 의무 규정 등에 의해 설치된 연구지역 AED 공간데이터에 대한 시·공간 현황을 분석하고 AED의 효과적인 전달을 위한 긴급차량서비스센터 최적지 선정 및 배송지역을 구획하였다.
  • 공공 AED 거점센터 선정을 위해 119안전센터 중심의 객체선과 거리 중첩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구획 설정을 위해 QGIS DBSCAN 알고리즘 및 티센폴리곤을 형성하여 구획하였다. 이는 기존 법적 설치 의무방식을 개선한 공간배치 및 유지 관리 측면에 유리한 선정으로서 공공 AED 거점센터 중심의 긴급차량운행방식 AED 전달이 이뤄질 수 있도록 분석한 결과에 대해 기술하였다.

가설 설정

  • 7은 공공 AED 거점 서비스센터의 선정에 따른 서비스영역의 구획을 위해 연구지역 도로명 주소 주출입구를 사용하였고 각 구·군 AED 지점별 차량 반경(시간 대비 이동 거리) 에대한 자료를 적용하였다. 각 가정 주출입구는 대상지역 가상 신고 위치 점으로 가정하고 각 위치별 최적 119안전센터를 할당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해당 지역은 일반적인 공간구획에 많이 사용되는 기종점 OD행렬의 근접성 분석과 권역을 설정한 티센폴리곤을 생성하고 임의 신고 영역상의 최적 119안전센터를 할당하고 폴리곤 생성을 통한 가장 이상적인 119 긴급차량 영역을 도출, 각 서비스 센터 중심의 서비스 권역을 선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twood, C., Eisenberg, M. S., Herlitz, J., and Rea, T. D. (2005), Incidence of EMS-treated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in europe. Resuscitation, Vol. 67, No. 1, pp. 75-80. 

  2. Beak, S.Y. and Kim, J.H. (2019), A Study on the Improvement Method for Efficient Service of E-GEN AED using Time and Spatial Dat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 37, No. 4, 253-26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Cho, B.J. and Kim, S.R. (2014), The effect factors of survival rate in the patients with cardiac arres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5, No. 2, pp. 760-76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Daegu Statistical Information (2019), Daegu Geriatric Registration Statistics Report, Daegu Metropolitan City, Daegu, pp. 114-116. (in Korean) 

  5. Kim, M., Lee, E., and Jun, S. (2016), Knowledge, attitude and performance ability of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n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mong Korea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2, pp. 156-16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Kwon, P., Lee, Y., Yu, K., and Lee, W. (2016), A Study of optimal location and allocation to Improve accessibility of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 34, No. 3, pp. 263-27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won, P., Lee, Y., Huh, Y., and Yu, K. (2015), Rearranging Emergency Medical Service Region Using GIS Network Analysis - Daejeon Metropolitan City Case Stud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Vol. 23 No 3, pp. 11-2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Larsen, M.P., Eisenberg. M.S., Cummins. R.O., and Hallstrom, A.P. (1993), Predicting survival from out-of-hospitalcardiac arrest, A graphic model, Annals of Emergency Medicine, Vol. 22, No. 11, pp. 1652-1658. 

  9. Lee, H. (2016), A Study on the Application Methods of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in Daejeon, 2016-21, Daejeon Development Institute, Daejeon, pp. 37-38. (in Korean) 

  10. Lee, M.H., Jeon, I. W., and Jun, C.M. (2017), Clustering Public Transit Stops using an Improved DBSCAN Algorithm,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pp. 97-10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8), Emergency medical services act, No. 14927, http://www.law.go.kr/LSW/eng/engLsSc.do?menuId2&queryEMERGENCY%20MEDICAL%20SERVICE%20ACT#liBgcolor6 (last date accessed: 12 August 2019). (in Korean) 

  1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9), Guidelines for Public Access Defibrillation Placement & Management(4th),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jong. (in Korean) 

  13. Oh, C.S., Lee, S.W., Lee, I.M., and Kho, S.Y. (2012), A Spatial Analysis about Arrival Delay and Dispatch Distribution of the 119 Rescue-Aid Service utilizing GIS - Gyeongsangbuk-Do Case Study,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ivil Engineers D, 32(1D). 13-2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Park, C. (2013), The Implementation of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in sport facilities -focused on health/fitness facilities, The Korean Association of Sports Law, Vol. 16, No. 4, pp. 165-18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Park, I., Kim, Y., and Kim, S. (2014), Predictors of survival from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by four level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 34, No, 2, pp. 484-51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Park, S., Choi, H., Kang, B., Im, T., and Yeom, S. (2006), A study assessing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first responders about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Vol. 17, No. 6, pp. 545-55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Tomohiko, S., Taku, L., Tetsuhisa, K., Chika, N., Takashi, K., Kentaro, K., Hiroshi, T., Seishiro, M., Osamu, T., Tadahiko, S., Hiroshi, O., Yasuyuki, K., and Takeshi, S. (2011), Effectiveness of the new 'mobile AED map' to mind and retrieve an AED: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Resuscitation, Vol. 82, No. 1, pp. 69-73. 

  18. Stiell, I.G., Wells, G.A., Field, B.J., Spaite, D.W., De Maio, V.J., and Ward, R. (1999). Improved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survival through the inexpensive optimization of an existing defibrillation program: OPALS study phase II. ontario prehospital advanced life support.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Vol. 281, No. 13, pp. 1175-1181. 

  19. Valenzuela, T.D., Roe, D.J., Cretin, S., Spaite, D.W., and Larsen, M.P. (1997), Estimating effectiveness of cardiacarrest interventions: A logistic regression survival model. Circulation, Vol. 96, No. 10, pp. 3308-331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