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RTK 무인기의 항공삼각측량 정확도 평가
Accuracy Assessment of Aerial Triangulation of Network RTK UAV 원문보기

한국측량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38 no.6, 2020년, pp.663 - 670  

한수희 (Dept. of Geoinformatics Engineering, Kyungil University) ,  홍창기 (Dept. of Geoinformatics Engineering, Kyungil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건물이 혼재한 준 도심 지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재난/재해를 가정하여 네트워크 RTK (Real Time Kinematic) 측위가 가능한 무인기를 이용한 항공삼각측량의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검사점 측위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검사점을 건물의 옥상에 설치하여 네 시간 이상의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정적 측위를 수행하였다. 객관적인 정확도 평가를 위해 소프트웨어에서 자동으로 인식 가능한 코드화된 대공 타겟을 사용하였다. 무인기에서는 네트워크 RTK 측위의 일종인 VRS (Virtual Reference Station) 방식을 이용하여 영상 취득 당시 카메라의 3차원 좌표를 측정하였고, IMU (Inertial Measurement Unit)와 짐벌 회전각 측정을 통해 카메라의 3축 회전각을 측정하였다. Agisoft Metashape를 이용하여 내·외부 표정요소를 추정·갱신한 결과, 항공삼각측량의 3차원 RMSE (Root Mean Square Error)는 영상의 중복도와 촬영 각도의 조합에 따라 크게는 0.153 m에서 작게는 0.102 m로 나타났다. 더욱 높은 수준의 항공삼각측량 정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연직 영상의 중복도를 높이는 것이 일반적이나 경사 영상을 추가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응 단계의 재난/재해 현장에서 긴급하게 무인기 매핑을 수행할 경우 중복도를 높이기 보다는 경사 영상도 함께 취득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present study, we assessed the accuracy of aerial triangulation using a UAV (Unmanned Aerial Vehicle) capable of network RTK (Real-Time Kinematic) survey in a disaster situation that may occur in a semi-urban area mixed with buildings. For a reliable survey of check points, they were installe...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위하여 네트워크 RTK 방식 중 하나인 VRS 측위가 가능한 무인기를 이용하여 연직 및 경사 방향으로 영상을 취득하고 검사점을 이용하여 항공 삼각측량의 정확도를 평가하고자 한다. 검사점은 건물의 옥상에 설치하여 GNSS 정지 측위를 수행함으로써 측량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검사점에는 소프트웨어에서 자동으로 인식 가능한 코드화된 대공 타겟을 설치함으로써 정확도 평가의 객관성을 제고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건물이 혼재한 준 도심 지역의 재해/재난 대응 및 복구 단계에서 긴급하게 무인기 매핑을 수행해야 하는 상황을 가정하여 지상 기준점을 사용하지 않고 정밀한 항공 삼각측량을 수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하여 네트워크 RTK 방식 중 하나인 VRS 측위가 가능한 무인기를 이용하여 연직 및 경사 방향으로 영상을 취득하고 검사점을 이용하여 항공 삼각측량의 정확도를 평가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건물이 혼재한 준 도심 지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재난/재해를 가정하여 네트워크 RTK 측위가 가능한 무인기를 이용한 항공삼각측량의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검사점 측위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검사점을 건물의 옥상에 설치하여 네 시간 이상의 GNSS 정적 측위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영상에서 검사점의 중심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검사점의 3차원 좌표를 정밀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코드화된 타겟 설치와 GNSS 정적 측위를 시행하였다. 코드화된 타겟은 Fig.
  • 등을 탐구하고자 한다. 아울러 더욱 높은 수준의 정확도를 확보하기 위해 무인기의 RTK/PPK 측위 방법도 탐구하고자 한다.
  • 4(c))으로 촬영하는 방식이다. 아울러 방식 1과 방식 2로 촬영한 영상의 총 매수는 서로 비슷하게 유지하고자 하였다.
  • 5). 이를 통해 경사 영상의 추가로 인한 항공삼각측량의 정확도 변화 추이를 살피고자 하였다.
  • 이후 무인기 영상의 항공삼각측량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도 수행되었다. Han(2017)은 고선명도 영상을 취득하기 위한 비행 및 카메라 설정 방법을 제시하고 DJI Matrice 600 무인기와 Sony ILCE-7M2 카메라로 110 m 높이에서 촬영한 영상과 GNSS 정지 측위로 취득한 지상 기준점을 이용하여 수평오차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Chung, D.K., Lee, M.H., Kim, H.Y., Park, J.Y., and Lee, I. (2020), Development of forest fire monitoring system using a long-term endurance solar powered drone and deep learn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Vol. 28, No. 2, pp. 29-3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Han, D., Park, J.B., and Huh, J. (2018), Orientation analysis between UAV video and photos for 3D measurement of bridg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 36, No. 6, pp. 451-45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Han, S. (2017), High-resolution and high-definition image acquisition using UAV and high-precision aerial triangul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Vol. 25, No. 3, pp. 101-10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Joo, Y.D. (2018),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near-real time drone image preprocessing system to use drone data in disaster monitoring,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Vol. 18, No. 3, pp. 143-14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Kim, H.Y., Choi, K.A., and Lee, I.P. (2018), Drone image-based facility inspection - focusing on automatic process using reference image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Vol. 26, No. 2, pp. 21-3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Kim, S.S., Song, B.G., Cho, S.B., and We, G.J. (2019), Applicability of drone mapping for natural disaster damage investig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Vol. 27, No. 2, pp. 13-2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Lee, K.R., Han, Y.K., and Lee, W.H. (2018), Comparison of orthophotos and 3D models generated by UAV based oblique images taken in various angl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 36, No. 3, pp. 117-12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Lee, K.R. and Lee, W.H. (2017), Comparison of orthophoto and 3D modeling using vertical and high oblique images taken by UAV,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Vol. 25, No. 4, pp. 35-4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Lee, S.C., Kim, J.H., and Um, J.S. (2017), Accuracy and economic evaluation for utilization of national/public land actual condition survey using UAV imag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 35, No. 3, pp. 175-18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Lee, Y.C. (2015), Assessing the positioning accuracy of high density point clouds produced from rotary wing quadrocopter unmanned aerial system based imagery,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Vol. 23, No. 2, pp. 39-4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Manyoky, M., Theiler, P.W., Steudler, D., and Eisenbeiss, H. (2011), Unmanned aerial vehicle in cadastral applications, ISPRS Zurich 2011 Workshop, ISPRS, Zurich, Switzerland, pp. 57-62. 

  12. Rijsdijk, M., van Hinsbergh, W.H.M., Witteveen, W., ten Buuren, G.H.M., Schakelaar, G.A., Poppinga, G., van Persie, M., and Ladiges, R. (2013), Unmanned aerial systems in the process of juridical verification of cadastral border, UAV-g2013, ISPRS, Rostock, Germany, pp. 325-331. 

  13. Shin, J.I., Seo, W., Kim, T., Woo, C., and Park, J. (2019), Analysis of availability of high-resolution satellite and UAV multispectral images for forest burn severity classification,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 35, No. 6-2, pp. 1095-110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Shin, W.J. and Lee, Y.T. (2017),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local forest fire monitoring and situational response platform using UAV with multi-sensor, Th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Vol. 10, No. 6, pp. 626-63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Sung, S.M. and Lee, J.O. (2016), Accuracy of parcel boundary demarcation in agricultural area using UAV-photogrammet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 34, No. 1, pp. 53-6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Tomastik, J., Mokros, M., Surovy, P., Grznarova, A., and Merganic, J. (2019), UAV RTK/PPK method-an optimal solution for mapping inaccessible forested areas?, Remote Sensing, Vol. 11, Issue 6, p. 721. 

  17. Wu, C., Ju, B., Wu, Y., Lin, X., Xiong, N., Xu, G., Li, H., and Liang, X. (2019), UAV autonomous target search based on deep reinforcement learning in complex disaster scene, IEEE Access, Vol. 7, pp. 117227-11724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