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현장 GPR 탐사자료와 지하공간통합지도 상호위치 정확도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Positional Accuracy between the GPR Survey Data and Underground Space Integration Map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23 no.4, 2020년, pp.208 - 216  

송석진 (지티에스(주)) ,  조해용 (지티에스(주)) ,  한담혜 (지티에스(주)) ,  김성길 (지티에스(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의 도심지에서 발생하고 있는 지반함몰침하, 노후 지하시설물 파손 등의 지하 안전에 관한 이슈가 증가하고 있어 보다 정확한 지하시설물의 관리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장에서 취득하는 GPR 탐사 성과로부터 취득한 지하시설물 공간정보와 지하공간통합지도의 공간정보를 상호 비교하는 기법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지하공간통합지도 연계 현장활용 서비스 프로토타입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강남역 주변 일부 구간에 대하여 현장 활용성 검증을 위한 GPR 탐사성과와 지하공간통합지도의 위치 정보를 비교한 결과 최대 0.879m, 최소 0.101m, 평균 오차는 0.625m로 나타났다. GPR탐사 성과의 정확도가 보장될 경우 지하공간통합지도의 위치정확도 개선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issues regarding underground safety such as sink hole, ground subsidence and damage to old underground facilities have been increasing in urban areas, raising the need for more accurate management of underground facilities. Thus, this study derived a technique for comparing spatial data of...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지하공간통합지도 갱신 자동화 및 굴착 현장 안전관리지원 기술개발』연구사업의 2세부『지하공간통합지도 현장 활용기술 개발』 연구 중 단위과제인『탐사 현장 지하 공간 통합지 도 실시간 활용 기술 개발』연구에 속하며, 총 4차년도에 걸쳐 추진되는 연차 추진 연구 단계의 1차년도 연구에 해당한다. 또한, 본 단위과 제는 실시간 지하 공간 통합지도 활용 기반 지하 정보 탐사 현장 지원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을 최종 목표로 추진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2-2 세 세부 성과인 지하 공간통합 지도의 3차원 지하시설물 객체와 2-1세 세부의 성과인 GPR 탐사 성과로부터 추출 및 구성하는 3차원 지하 시설물 공간정보의 상호 간 위치를 비교하는 프로토타입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지하 공간 통합지 도 데이터와 탐사 성과의 정확도를 검토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였다. 그림 2는 본 연구의 최종 목표 및 범위를 나타낸다.
  • 최근의 도심지에서 지하 안전에 관한 이슈가 증가하고 있어 더욱 정확한 지하시설물의 관리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지하시설물 탐사 현장 및 건설(굴착) 현장에서의 지하 공간 통합지도 활용이 매우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하 공간통합 지도를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활용하고, 현장에서 취득하는 GPR 탐사 성과로부터 지하시설물의 공간정보를 쉽게 취득하며, 취득한 지하시설물 공간정보와 인근 위치의 지하 공간통합 지도의 공간정보를 상호 비교하는 기법을 통해 지하공 간통합지도의 위치 정확도를 간접적으로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

  1. Lee, W.B., W.Y. Hao, B.P. Kyung and S.H. Ryu. 2015. Dismantling Simulation of Nuclear Reactor Using Par tial Mesh Cutting Method for 3D Model.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4):303-310. 

  2. Park, D.H., Y.G. Jang and H.S. Choi. 2018. A Study on the Construction Plan of 3D Geotechnical Information for the Support of Underground Space Safet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21(1):23-34. 

  3. Park, M.S., E.J. Kim, H.S. Lee, K.P. Lee and S.W. Suh. 2013. Real Time Safety Management Framework at Construction Site based on Smart Mobile,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14(4):3-14. 

  4. Travassos, X.L., S. L. Avila. R. L. da S, Adriano and N. Ida. 2018. A Review of Ground Penetrating Radar Antenna Design and Optimization, Journal of Microwaves, Optoelectronics and Electromagnetic Applications 17(3):385-402. 

  5. The Khronos Group Inc. 2020. gltf-20-reference-guide. https://www.khronos.org/developers/reference-cards/ (Accessed March 11, 202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