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대도시의 주거지 분리 추이와 대규모 아파트단지와의 상관분석
The Residential Segregation in Metropolitan Cities and Correlation with Large Apartment Complexes in Korea 원문보기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40 no.6, 2020년, pp.633 - 641  

박영민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  김종구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단지형 주거지 개발은 공동체 의식 촉진과 편의성 확보 등의 장점이 있지만, 폐쇄성이란 단점이 있다. 특히 1,000세대 이상의 대규모 아파트단지는 출입구에 입주민 전용 출입 시스템을 설치하는 등 물리적으로 단절된 형태들이 도시 공간을 더욱 폐쇄적으로 만들고 있다. 그러나 폐쇄적인 도시 공간은 소득·인종 등의 사회적 계층의 분화와 주거지 분리를 야기한다. 따라서 대규모 아파트단지가 주거지 분리와 관련 있다는 연구 가설을 제시한다. 가설 검정을 위해 먼저, 상이지수와 델타지수로 국내 광역시 주거지 격리의 추이를 살펴본다. 그 후, 주거지 분리와 대규모 아파트 단지와의 상관관계는 스피어만 상관분석으로 진행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sidential complexes offer a sense of community and convenience, but making closed and privated space have been criticized.Closed urban spaces have issues encouraging residential segregation.large apartment complexes over 1,000 households,the most poular housing type in Korea, seems to make urban s...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규모 고급아파트단지의 폐쇄성, 상품화에 관한 많은 논쟁이 있었으나, 아파트 지구의 재건축사업과 공공참여형 고밀 재건축 등을 보았을 때, 민과 관의 해당 문제에 대한 인식이 명확하지 않은 듯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규모 아파트단지가 주거지 분리현상과 관련 있다는 것을 핵심연구 가설로 선정하고 실증데이터로 검정하려 한다.
  • 따라서 단순히 불균등 도만 보는 것이 아닌, 집중도를 추가하여 보아야 한다. 추가로, 체커보드 문제의 유무를 국지적 공간 연관성 지표, LISA (local indicators of spatial auto correlation)’으로 확인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국내의 대규모 아파트단지는 폐쇄적이고 상품화된 도시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의 대규모 아파트단지가 주거지 분리와 연관성이 있다는 연구 가설을 세우고 가설을 검정하였다.
  • 0의 값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해석하거나 독립적인 관계로 해석한다. 유의성 검정의 귀무가설은 ‘두 변수 사이의 상관관계가 존재하지 않는다(ρ=0)’ 이다. ρ의 절댓값이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lakely, E. J. and Snyder, M. G. (1997). Fortress america: gated communities in the united states, Brookings Institution Press, Washington, DC, USA. 

  2. Bong, I. S. and Choi, H. J. (2015). A study on residential segregation in seoul metropolitan area, GRI (Gyeonggi Research Institute), pp. 1-98 (in Korean). 

  3. Choi, J. M. (2008). "A study on the social recognition toward the mixed-use skyscraper."Seoul Studies, Vol. 9, No. 3, pp. 59-78 (in Korean). 

  4. Duncan, O. D. and Duncan, B. (1955). "A methodological analysis of segregation indexes."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 20, No. 2 , pp. 210-217. DOI: https://doi.org/10.2307/2088328. 

  5. Duncan, O. D., Cuzzort, R. P. and Duncan, B. (1961). Statistical geography: Problems in analyzing areal data, Free Press, NY, USA. 

  6. Gelezeau, V. (2007). Seoul, ville geante, cites radieuses, Humanitas (in Korean). 

  7. Hoover, E. M. (1941). "Interstate redistribution of population, 1850-1940."The Journal of Economic History, Vol. 1, No. 2, pp. 199-205. DOI: https://doi.org/10.1017/S0022050700052980. 

  8. Jun, S. I. (2009). Apartment madness: Housing sociology in modern korea, Esoop (in Korean). 

  9. Jung, H. M. (2012).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gated communities."Seoul Studies, Vol. 13, No. 1, pp. 37-56 (in Korean). 

  10. Kim, S. K. (2004). "Gated Community, the epitome of a safe community."Architectural Culture, Vol. 10, pp. 160-169 (in Korean). 

  11. Kline, R. B. (2005).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2nd ed.), Guilford, NY, USA. 

  12. Le Goix, R. and Vesselinov, E. (2015). "Inequality shaping processes and gated communities in US western metropolitan areas."Urban Studies, Vol. 52, No. 4, pp. 619-638. 

  13. Lee, S. R. (2012). "The effects of the income residential segregation on the low income classes' mental health."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Vol. 28, No. 4, pp. 277-302 (in Korean). 

  14. Lim, S. H. (2002). "Half a century housing policy: Changes in the political economy and the development of housing policy."The 40th Anniversary of LH Housing Culture, Vol. 1 (in Korean). 

  15. Massey, D. S. and Denton, N. A. (1988). "the dimensions of residential segregation."Social Forces, Vol. 67, No. 2, pp. 281-315. DOI: https://doi.org/10.1093/sf/67.2.281. 

  16. Newcastle University (2020). Academic skills kit, Newcastle University, Newcastle upon Tyne, UK. 

  17. White, M. J. (1983). "The measurement of spatial segregation."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Vol. 88, No, 5, pp. 1008-1018. DOI: https://doi.org/10.1086/227768. 

  18. Yoon, I. J. (1998). "A study on the dividuation of residential areas by social classes in seoul and its social implications."Seoul Studies, Vol. 10, pp. 228-269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